Evaluation of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Aggregate Base Materials and Developing the Empirical Correlation Model

입도조정기층 재료의 공학적 특성 평가 및 경험적 상관모형 개발

  • Received : 2010.03.17
  • Accepted : 2010.05.12
  • Published : 2010.06.15

Abstract

To evaluate the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aggregate base materials, cyclic triaxial, CBR and permeability tests were performed for 15 samples. The CBR values of aggregate base materials have wide range from 32 to 110(average 81) and the amount of swelling in submerged conditions has below 0.04mm. The Modulus of aggregate base material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volumetric stress, linear volumetric model was best for fitting. The modulus of aggregate base materials were determined within range of 100MPa~600MPa, 80~270 and 0.1~0.6 for model coefficient $k_1$ and $k_2$ respectively. The empirical correlation model was suggested that prediction the modulus from the basic properties obtained from particle size distribution test and compaction test.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of the proposed correlation model was 0.423 for model coefficient $k_1$, 0.920 for model coefficient $k_2$ and 0.872 for modulus with stress level.

입도조정기층 재료의 역학적 특성평가를 위하여 15개 시료에 대해 반복재하 삼축압축시험, CBR 시험, 투수계수시험을 수행하였다. 입도조정기층 재료의 CBR 값은 32~110 범위(평균 81)에서 매우 폭넓게 결정되었으며, 수침조건에서 팽창량은 0.04mm 이하로 나타났다. 입도조정기층 재료의 탄성계수는 체적응력의 영향을 매우 크게 받았으며 선형체적응력모델의 적용성이 가장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입도조정기층 재료의 탄성계수는 100MPa~600MPa, 모델계수 $k_1$은 80~270, 모델계수 $k_2$는 0.1~0.6 사이에서 결정 되었다. 체가름시험과 다짐시험에서 결정된 지수물성치로부터 입도조정기층 재료의 탄성계수를 결정하는 경험모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경험모형의 결정계수는 모델계수 $k_1$ 결정에 있어서는 0.423, 모델계수 $k_2$ 결정에 있어서는 0.920, 응력단계별 탄성계수 결정에 있어서는 0.872로 평가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성철, 이강원, 조윤호 (2005), "반사균열을 억제한 시멘트 안정처리 기층 재료개발" 한국도로학회논문집, 제7권 2호, pp. 33-43.
  2. 건설교통부 (2000), "도로설계편람"
  3. 건설교통부 (2005), "도로설계기준", 한국도로교통협회
  4. 국토해양부 (2009), "한국형 포장설계법 개발과 포장성능 개선방안 연구: 설계입력변수 정량화, 쇄석기층 물성정량화" KPRP-I-09.
  5. 권기철, 김동수 (2000), "현장공진주시험을 이용한 보조기층 재료의 대체 MR 시험법", 한국도로포장공학회논문집, 제2권, 제2호, pp. 149-161.
  6. 권기철, 황창일 (2007), "시편 성형기법에 따른 국내 다짐 노상토의 변형특성" 한국도로학회논문집, 제9권, 제4호, pp. 55-63.
  7. 권기철, 최준성, 이승준 (2009), "쇄석기층 적용에 따른 시공기준분석" 동의대학교 산업기술연구지 제23권, pp. 5-10.
  8. 이승우, 전범준, 김종원 (2004), "저수축 시멘트 안정처리 기층의 특성분석" 한국도로학회논문집, 제6권 2호, pp. 61-70.
  9. 한국도로공사 (2005), "고속도로공사 전문시방서 토목편 (제 8장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기층공사)".
  10. AASHTO (2002), "AASHTO Guide for Design of New and Rehabilitated Pavement Structures", AASHTO, Washington D.C.
  11. Kim, D. S., Kweon, G. C. and Lee, K. H. (2001), "Alternative Method of Determining Resilient Modulus of Subgrade Soils Using Static Triaxial Test", Canadian Geotechnical Journal, Vol 38, No. 1, pp. 107-116.
  12. Memphis DOT (2005), "Standard construction specification 2005", Memphis DOT, (http://www.memphistn.gov)
  13. NH DOT (2006), "Standard construction specification Division 300 2006", NH DOT, (www.nh.gov)
  14. Wisconshin DOT (2008), "Standard construction specification 2008", Wisconshin DOT, (www.dot.state.wi.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