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the Compensation Level and Portfolio for Advanced S&T Manpower

고급 과학기술인력의 보상 수준과 포트폴리오에 관한 분석

  • Received : 2010.05.10
  • Accepted : 2010.06.25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the compensation model by analyzing the compensation level for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manpower.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dvanced S&T manpower has preferred not only economic rewards, but also non-economic rewards which comprises both social reputation, self-satisfaction for job and other aspects of life. Second, the way of what high grade human resources in S&T have preferred to be rewarded differs among agencies. While professors in universities prefer research environment, researchers working for GRIs(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want to have job stabilization and researchers in companies want to have higher monetary reward. Third, two main factors to change their occupation have been turned out to be monetary reward and social reputation. It means that the compensation system should satisfy what advanced S&T manpower at GRIs and companies need upgrading their social reput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고급 과학기술인력의 보상 수준과 포트폴리오를 분석함으로 써 고급 과학기술인력의 보상체계 모형을 도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급 과학기술인력은 보상항목 간의 중요도 측면에서 금전적 보상뿐만 아니라 사회적 위상, 직업성취도 등과 같은 비금전적 보상도 중시하고 있으며 그 비중은 이미 5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급 과학기술인력의 보상선호는 연구주체별로 차이를 보였다. 대학교수의 경우 보다 나은 연구환경조성을 원하는 반면, 정부 출연(연)의 연구자들은 직업안정성에 대한 개선, 그리고 산업계의 경우 더 높은 금전적 보상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상에 있어 경제적 보상과 사회적 위상이 이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출연(연)과 산업계에 종사하는 고급 과학기술인력의 사회적 위상제고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급 과학기술인력의 보상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해서 비금전적 측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