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직사유별 일자리 이행경로 및 결정요인 분석

Job Transition Process by Reasons of Job Separation and Its Determining Factors

  • 투고 : 2010.05.26
  • 심사 : 2010.08.23
  • 발행 : 2010.08.31

초록

본 연구는 고용보험 DB(2000~2007)를 사용하여 이직사유별로 일자리 이행 경로 및 성과를 비교하고, 미취업탈출 및 취업탈출 확률의 결정요인에 대한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자발적 이직의 경우 자발적 이직에 비해 새로운 일자리에서 일자리 기간이 크게 감소하고 실질임금 증가율도 매우 낮다. 이러한 일자리 이행성과의 차이는 체계적인 직장탐색 부족에 따른 우수한 일자리 매칭 확보의 어려움, 노동시장에서의 부정적 신호효과, 이전 일자리에서 축적된 인적자본의 활용 가능성 저하 등 비자발적 이직의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실업급여 수급 여부는 미취업탈출 확률을 줄이는 효과를 가지지만 동시에 실업급여 수급 후 진입한 새로운 일자리에서는 취업탈출 확률을 낮추는 긍정적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job transition process and its lahor market performance by reasons of job separation, using the Employment Insurance DB(2000~07). The findings show that involuntary job changers lend to suffer greater loss in job spell and real wage than voluntary job changers, which seems to reflect their characteristics such as lower quality of job matching due to unsystematic job search, negative signaling effect in the labor market and decreasing availability of human capital in previous job. In addition, unemployment benefit eligible for involuntary job changers tends to prolong the period of unemployment, while increasing job spell in the following employmen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