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for Forest Research using Airborne Laser Scanning

항공레이저측량을 이용한 산림조사 방법에 관한 연구

  • 김은영 (한진정보통신(주) 공간영상개발팀) ;
  • 위광재 (성균관대학교 토목환경시스템공학과, 한진정보통신(주) 공간영상개발팀) ;
  • 조흥묵 (강원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국토지리정보원 공간영상과) ;
  • 양인태 (강원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Received : 2010.03.31
  • Accepted : 2010.06.24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Depending on the progress of the surveying and information processing technology, the rapidly developing field of spatial information and the 3D real world spatial information for a variety of content on the computer was able to easily access. In this research, to study on the spot or to use aerial photographs to measure trees of the acquired data, calculate the trees height, forest area and capacity, determine the distribution of the density of acquired points in the forest and analyze accurate and objective information was acquired. The United States, Canada and so on through the capacity of trees biomass, forest resource analysis, time series monitoring, wildfire behavior modeling and applied research and has been declared. During worldwide is increasing interest in forest resources. In nationally, extensive research and analysis of the forest consists of the correct management and protection of forest resources to be effective.

측량 및 정보처리기술의 진보에 따라 공간정보 분야는 급속히 발전되고 있으며, 다양한 공간정보 콘텐츠와 3차원 현실세계를 컴퓨터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국내에 항공레이저측량과 고해상도 디지털카메라의 보급이 최근 몇 년 동안 빠르게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항공레이저측량의 적용이 지도제작 및 지형분석 등에 국한되어있어 다양한 활용이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현지조사나 항공 사진측량으로 이루어졌던 산림조사를 항공 라이다데이터를 이용하여 수목의 표고분포, 면적 및 용량산출, 수목밀도분포도를 3차원적으로 분석하여 산림지역에 대한 과학적인 정보를 제작해 보았다. 이미 미국, 캐나다 등에서는 항공레이저측량을 이용한 수목의 용량을 통하여 생체량(biomass), 산림자원분석, 시계열 모니터링, 산불거동모델링 등 다양한 연구와 적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산림자원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는 가운데 이제 국내에서도 광범위한 산림의 과학적 조사와 분석이 이루어져 산림자원관리 및 보호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겠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은영, 김승용, 이강원 (2006), 항공 레이저 측량 데이터를 이용한 지반고 추출 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도로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도로학회, pp. 429-438.
  2. 김은영, 한성만 (2008), 식생밀도분포 및 등고선의 단계별 필터링에 관한 연구, 공동추계학술대회 논문집,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pp. 21-25.
  3. 송철철, 이우균 (2008), 산림조사에서의 항공라이다 최득 인자에 따른 영향분석을 위한 시뮬레이션 모델개발, 공동춘계학술대회 논문집, 한국GIS학회, pp. 310- 317.
  4. 이동근, 류지은 (2008), LiDAR 데이터를 이용한 산림구조 분석,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지,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제17권 제 5호, pp. 279-288.
  5. 이규성, 이창환 (2005), 항공 LiDAR를 이용한 산림측정,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Tech-Issue Emerging S&T Report.
  6. Andersen, (2004), Estimating forest canopy fuel parameters using LIDAR data, Remote Sensing And Environment. Elesevier Science Direct, pp. 441-449.
  7. Arefi. H, Hahn. M. A, (2005), Morphological Reconstruction Algorithm for Separating Off-Terrain Points From Terrain Points in Laser Scanning Data, ISPRS WG III/3, III/4, V/3 Workshop. pp. 120-125.
  8. CHEN, GUEVARA (1987), Systematic selection of very important points (VIP) from digital terrain model for constructing triangular irregular networks. In Eigh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Computer-Assisted Cartography - Auto-Carto 8, Baltimore, Maryland, USA, Proceedings, pp. 50-56.
  9. Chen, Liao, Estimating Tree Height and Location Using Airborne Lidar Data in Big Tree Area.
  10. Danilin, Medvedev, (2008), Forest Inventory And Biomass Assessment by the use of Airborne Laser Scanning Method(Example From Siberia), International Archives of Phothogrammetry, Remote Sensing and Spatial Information Sciences, Vol. XXXVI-8/W2, pp. 139-144.
  11. Glotzer, Time-dependent, four-point density correlation function description of dynamical heterogeneity and decoupling in supercooled liquids, Journal Of Chemical Physics Volume 112, Number 2.
  12. Turner, (2006), An airborne lidar canopy segmentation approach for estimating above-ground biomass in Coastal Eucalypt forests. PhD thesis. School of Biological,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Sydney, NSW, Australia.
  13. Turner, (2007), An overview Airborne LiDAR applications in New South Wales state forests, ANZIF Conference, pp. 1-22
  14. Xiaowei, Yu., (2005), Applicability of first pulse derived digital terrain models for boreal forest studies, ISPRS WG III/3, III/4, V/3 Workshop, pp. 97-102.
  15. Zhao, Popescu., (2007), Hierarchical Watershed Segmentation of Canopy Height Model for Multi-Scale Forest Inventory, ISPRS Workshop, pp. 438-4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