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ffects of Fire-Resistant Coating Materials for Prevention of Concrete Spalling

콘크리트 폭렬 저감에 대한 내화 피복재의 영향에 관한 연구

  • 정의담 (충북대학교 대학원 도시공학과) ;
  • 송명신 (강원대학교 화학공학연구소) ;
  • 강현주 (강원대학교 화학공학연구소) ;
  • 강승민 (강원대학교 화학공학과)
  • Received : 2010.08.09
  • Accepted : 2010.09.27
  • Published : 2010.10.31

Abstract

Recently, the high-compressive strength concrete where the use is extending was weak in fire because of spalling that was occurring with rise of internal vapor pressure by high temperature. For preventing spalling of high-strength concrete in fire, Organic fibers have been using in concrete generally. By melting of organic fibers in concrete in fire, the internal moistures of concrete moves quickly to the outside, and so, preventing of spalling of high-strength concrete. But this method will be able to prevent the spalling of high-strength concrete, but makes the decrease of the concrete strength after fire. This study make a comparison between properties of preventing of spalling and remaining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using intumescence Alkali-Silicates fire-resistant material and that of concrete with organic fibers. Using organic fibers for preventing of spalling of concrete are P.P and Nylon fibers, and anti-fire intumescence material for protection of concrete surface is alkali-silicate materials. Fire resistance test executed as long as 3 hr under the flame temperature $1,200^{\circ}C$ over. In the case of concrete with P.P fibers, don't occurred the spalling, but the remaining compressive strength will not be able to measure, the concrete using intumescence Alkali-Silicates system fire-resistant material is not only preventing of the spalling but also the remaining compressive strength maintained until the maximum 96%.

최근 사용이 늘어나고 있는 고강도 콘크리트는 화재에 취약하여 고열에 의해 내부 수증기압의 상승으로 폭렬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폭렬 현상의 방지 방안으로 유기질 섬유를 이용한 방법이 가장 많이 연구되고 있지만 이 방법은 결국 화재 후 콘크리트의 강도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포비성 Alkali-Silicates계 내화재를 피복하여 유기질 섬유를 적용한 경우와 폭렬 특성 및 잔존 압축강도 특성을 검토하였다. 유기질 섬유의 혼입 방법으로 P.P, Nylon 섬유를 사용하였고, 내화 피복의 방법으로 포비성 Alkali-Silciates계 내화재를 사용하였다. 내화 시험은 자체 제작한 가열로에서 화염방사기를 이용하여 3시간 동안 화염 실험을 실시하였다. P.P 섬유를 혼입한 경우 폭렬은 방지 하였지만 잔존 압축강도는 측정할 수 없었고, 포비성 Alkali-Silicates계 내화재로 피복한 경우 폭렬 방지뿐만 아니라 잔존 압축강도가 최고 96%까지 유지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소양섭 (2002) 고성능콘크리트의 내화성능. 콘크리트학회지, 한국콘크리트학회, 제14권 2호, pp. 37-44.
  2. 송훈, 고정원, Shinichi Sugahara (2008) 고강도콘크리트의 내화특성 및 폭렬현상. 콘크리트학회지, 한국 콘크리트학회, 제20권 5호, pp. 26-32.
  3. 신성우, 유석형 (2006) PP 섬유를 함유한 고강도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폭열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학회지, 한국구조물진단학회, 제10권 2호, pp. 83-90.
  4. 이병열 (2001) 화재시 고성능 콘크리트의 폭렬방지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청주대학교.
  5. 한천구 (1998) 비폭열성 콘크리트, 콘크리트 학회지, 한국콘크리트학회, pp. 5-10.
  6. 한천구, 양성환, 한민철, 김성운, 이승훈, 김우재 (2008) 고강도콘크리트의 최신 폭렬 방지 기술. 콘크리트학회지, 한국콘크리트학회, 제20권 5호, pp. 43-52.
  7. Copier, W.J. (1979) The spalling of normal-weight and light-weight concrete on exposure to fire, Herson, pp. 92.
  8. Dale, P.B. (2000) Fibers, Percolation, and Spalling of High- performance concrete, ACI Materials Journal, pp. 351-359.
  9. Long, T. Phan (2002) High performance concrete at high temperature - an overview, NIST report
  10. Han, C.-G., Hwang, Y.-S., Yang, S.-H., Gowripalan, N. (2005) Performance of spalling resistance of high performance concrete with polypropylene fiber contents and lateral confinement,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pp. 1747-1753.
  11. Pierre Kalifa, Francois-Dominique Menneteau, Daniel Quenard (2000) Spalling and pore pressure in HPC at high temperatures,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pp. 1915-1927.
  12. Song Hun (2003) A Study on the Fire Resistant Performance of the High Strength Concrete,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Tokyo, Jap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