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Watertightness Improvement of Cementitious Material for Durability Improvement of Concrete

콘크리트 내구성 향상을 위한 시멘트 재료의 수밀성 개선에 관한 연구

  • 강현주 (강원대학교 화학공학연구소) ;
  • 송명신 (강원대학교 화학공학연구소) ;
  • 정의담 (충북대학교 대학원 도시공학과)
  • Received : 2010.08.26
  • Accepted : 2010.09.27
  • Published : 2010.10.31

Abstract

We studied on the watertightness improvement of cementitious material for durability enhancement of concrete. For improvement of watertightness of OPC and OPC with fly ash, we used various materials with watertightness properties to OPC and OPC with fly ash. The performance of watertightness improvement of cementitious materials closely related to formation of CSH by pozzolanic reaction and to reducing of size of contact angle in cement pore by using organic fatty acid. And volume of CSH formation at early hydration have an influence of watertightness improvement and reduction of long-term water absorption rate. In using of fly ash, improvement of workability by using the spherical fly ash caused to densify on the structures of cement material and CSH formation by pozzolanic reaction and cement using fly ash also caused watertightness improvement of cementitious materials. For improvement of concrete durability by watertightness, cementitious materials need using watertightness materials and at using fly ash, also it have to the effect of improvement of watertightness of cementitious materials by pozzolanic reaction.

콘크리트의 내구성능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서 시멘트 재료의 수밀성능 증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및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와 플라이애쉬의 혼합계 재료에 다양한 성능의 수밀성능 개선제를 혼합하여 수밀성 실험을 진행한 결과, 시멘트 재료의 수밀성능 향상은 시멘트 수화생성물인 CSH의 생성과 유기지방산에 의한 수화물과의 접촉각의 크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수화초기에 활발하게 생성되는 CSH는 수밀성과 장기적인 흡수율 저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멘트 재료의 작업성 개선을 위하여 플라이애쉬를 사용하는 경우, 구형 플라이애쉬의 작업성 증진에 의해 시멘트 재료의 조직이 치밀화 되고 포졸란 재료의 특성에 의한 CSH의 생성으로도 수밀성이 향상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종류의 수밀성 재료를 혼합하여 흡수율 및 수화 생성물의 변화에 대해 실험한 결과, 콘크리트의 내구성 향상을 위해서는 어떠한 형태이든 시멘트 재료에 수밀성 혼화제의 혼합 사용이 바람직 한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오병환, 정원기, 차수원, 장봉석 (1996) 콘크리트의 투수성 측정 및 초저투수성 콘크리트 개발 연구. 콘크리트학회논문집, 제8권 5호.
  2. 오상근 (1994) 콘크리트 방수의 현황과 대책. 콘크리트학회지, 제6권 2호
  3. 이민석 (2000) 습기와 물의 건축적 설계, 건설도서
  4. KS F 2204 목재의 흡수량 측정 방법
  5. KS F 2503 굵은 골재의 비중 및 흡수율 측정 방법
  6. KS F 7518 석재의 흡수율 및 비중 시험 방법
  7. KS F 2609 건축 재료의 물 흡수 계수 측정 방법
  8. El-Dieb, A.S. and Hooton, R.D. (1994) A high pressure triaxial cell with improved measurement sensitivity for saturated water permeability of high performance concrete, Cem. Concr. Res. Vol. 24, No. 5, pp. 854-562. https://doi.org/10.1016/0008-8846(94)90005-1
  9. Scherer, G.W. (2004) Measuring permeability of rigid materials by a beam-bending method: IV, Transversely isotropic plate, J. Am. Ceram Soc. Vol. 87, No. 8, pp. 1517-1524.
  10. Valenza, J.J. and Scherer, G.W. (2004) Measuring permeability of risid materials by a beam-bending method: V. Isotropic rectangular plates of cement paste, J, Am. Ceram. Soc. Vol. 57, No. 10, pp. 1927-1931.
  11. Vichit-Vedakan, W. and Scherer, G.W. (2003) Measuring permeability and stress relaxation of young cement paste by beam-bending, Cem. Concr. Res. Vol. 33, pp. 1915-1932. https://doi.org/10.1016/S0008-8846(03)00317-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