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Optimization of Hyperbolic Settlement Prediction Method with the Field Data for Preloading on the Soft Ground

쌍곡선법을 이용한 계측 기반 연약지반 침하 거동 예측의 최적화 방안

  • 추윤식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 김준현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 황세환 ((주)현대산업개발) ;
  • 정충기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Received : 2010.04.27
  • Accepted : 2010.07.21
  • Published : 2010.07.31

Abstract

The settlement prediction is very important in preloading method for a construction site on the soft ground. At the design stage, however, it is hard to predict the settlement exactly due to limitations of the site survey. Most of the settlement prediction is performed by a regression settlement curve based on the field data during construction. In Korea, hyperbolic method has been most commonly used to align the settlement curve with the field data, because of its simplicity and many application cases. The results from hyperbolic method, however, may differ by data selections or data fitting methods. In this study, the analyses using hyperbolic method were performed about the field data of $\bigcirc\bigcirc$ site in Pusan. Two data fitting methods, using an axis transformation or an alternative method which is a direct regression method, were applied with various data groups. If data was used only after the ground water level being stabilized, fitting results using both methods we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measured data. Regardless of the information about the ground water level, the alternative method gives better results with the field data than the method using an axis transformation.

연약지반 개량을 위한 선행재하 공법에서 현장 시공 조건에 따른 연약지반의 침하 거동을 예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실제 지층의 구성이나 물성치를 정확히 평가하는 것은 매우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은 침하 계측 데이터에 기반을 둔 침하량 추세 분석 방법을 통하여 최종 침하량 및 지반 물성치를 추정한다. 현재 다양한 침하량 추세 분석 방법이 제안되었으며, 국내 시공 현장에서는 쌍곡선법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동일한 현장에 대하여 쌍곡선법을 사용하더라도 계측 침하 자료의 회귀 방법, 그리고 분석 대상 구간을 선정함에 따라 침하랑 결과는 상이하게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쌍곡선법을 이용하여 부산 $\bigcirc\bigcirc$ 현장의 현장 계측 데이터로부터 침하 곡선을 추정하였다. 이때 쌍곡선법의 적용 조건을 다양하게 적용하였으며, 그에 따른 결과들을 비교, 분석하여 최적의 적용 방법을 제안하였다. 회귀 방법과 계측 데이터의 분석 구간에 따른 추정 치 변화를 평가하였으며, 이후 검증 시험을 통하여 적용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해석 결과 성토에 따른 지하수위 상승이 안정화된 시점 이후 해석하는 것이 안정적이며, 해석 방법에 대해서는 현장 데이터를 직접 회귀하는 것이 더 정확하게 침하 곡선을 추정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수, 김대만 (2009), Levenberg-Marquardt 알고리즘의 지반공학 적용성 평가, 한국지반환경 공학회 논문집, 제10권, 제 5호, pp.49-57.
  2. 정성교, 최관희, 최호광, 조기영 (1998), 압밀해석을 위한 $\sqrt{s}$ 예측 기법, 한국지반공학회지, Vol.14, No.2, pp.41-53.
  3. Asaoka, A. (1978), Observational procedure of settlement prediction, Soils and Foundations, JSSMFE, Vol.18, No.4, pp.87-101.
  4. Donald Marquardt (1963), An Algorithm for Least-Squares Estimation of Nonlinear Parameters, SIAM Journal on Applied Mathematics, Vol.11, pp.431-441. https://doi.org/10.1137/0111030
  5. Hoshno (1962), Problems of foundation s in recent years, Society of civil engineering, Vol.47, No.7, pp.63-67 (Japanese).
  6. Kenneth Levenberg (1944), A Method for the Solution of Certain Non-Linear Problems in Least Squares, The Quarterly of Applied Mathematics, Vol.2, pp.164-168.
  7. Monden, H. (1963), A new time fitting method for the settlement analysis of foundation on soft clays, Menoir Fac. Eng., Hiroshima University, Vol.20, No.1, pp.21.
  8. Tan T. S., Inoue. T., Lee. S. L. (1991), Hyperbolic method for consolidation analysis, Journal of Geotechnical Engineering, Vol.117, No.11, pp.1723-1737. https://doi.org/10.1061/(ASCE)0733-9410(1991)117:11(1723)
  9. Hagan (1996), Neural Network Design, University of Colorado, chap 12-19.
  10. Press, William H., Flannery, Brian P., Teukolsky, Saul A., Vetterling, William T. (1999), Numerical Recipes in C, Cambridge University, pp.681-6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