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ool for Measuring High School Students' Scientific Experience

고등학생의 과학 경험 측정을 위한 도구의 개발 및 적용

  • Kim, Nak-Kyu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Ryu, Chun-Ryol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김낙규 (충북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 류춘렬 (충북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Received : 2010.05.17
  • Accepted : 2010.06.18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asurement tool quantifying the degree of high school students' scientific experience. Based on previous studies, we divided the factors that compose school scientific experience into three categories: general activity experience, scientific inquiry experience and laboratory apparatus experience. While, outside of school scientific experience was divided into general activity experience, interesting activity experience and field trip experience. Items consisting each factor were selected from scientific experience measurement tools used in previous researches, most frequent answers showed in open questionnaire about scientific experiences, and exploratory analysis of textbooks. After the measurement tool developed by pilot-questionnaires and previous researches were preliminary tested and then was secondarily tested for a group of 413 high school students. The content validity and construct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 was evaluated by two school teachers and two experts in science education and by factor analysis, respectively. The reliability of the tool was estimated with Cronbach Alpha. The results of validity and reliability revealed that the tool was appropriate for measuring scientific experience.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들의 과학 경험의 정도를 정량화하는 측정 도구를 제시하는 것이다. 측정 도구를 구성하는 요인들은 선행연구를 통해 학교 안 과학 경험은 일반 활동 경험, 과학 탐구 경험, 실험 기구 경험으로 나눌 수 있었다. 학교 밖 과학 경험은 일반 활동 경험, 취미 활동 경험, 현장 견학 경험으로 세분화 할 수 있었다. 각각의 요인을 구성하는 문항은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과학 경험 측정 도구에서 일부를 발췌하고 더불어 과학 경험에 대한 개방적인 설문지를 통하여 얻은 답변 중 빈도가 많은 답변과 중등 교과서의 탐색적 분석을 통해 선정하였다. 사전 설문조사와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개발한 측정 도구는 예비 검사를 실시한 후, 고등학교 1학년 학생 413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개발한 측정 도구의 내용타당도는 현직 중등교사 2명과 과학교육전문가 2명이 각 문항이 측정하고자 하는 목적에 부합하는지 검사하였고, 구인타당도는 요인분석을 통해 검사하였다. 측정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 $\alpha$를 통하여 추정하였다. 측정 도구 6개 영역의 요인에 대하여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 결과 과학 경험을 측정하는 도구로서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계수, 2008,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한나래, 서울, 681 p.
  2. 김동규, 2002, 초등학생의 과학적 경험과 인지갈등과의 상관관계.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5 p.
  3. 김수미, 한미희, 김재근, 2005, ‘달리는 과학열차-DMZ 생태 탐구와 허준선현 묘소 탐방’ 프로그램 중 생태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한국생물교육학회지,33, 433-442.
  4. 김승화, 1996, 공변량구조분석에 의한 과학탐구능력과 학습자특성과의 인과관계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5 p.
  5. 박승재, 강호감, 김희준, 송진웅, 유준희, 윤혜경, 장경애, 정병훈, 한인옥, 2000, 청소년 학교 밖 과학 활동 진흥 방안 연구. 과학기술부 정책연구 2000-18, 과학기술부,411 p.
  6. 박영애, 2005,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경험과 과학에 대한 태도의 상관관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1 p.
  7. 박효은, 2006, 학교 밖 과학 활동에 대한 중학생의 반응. 대구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4 p.
  8. 서혜예, 전영석, 현종오, 류성철, 한재영, 최원호, 김현빈, 조수민, 임혁, 2001, 신나는 과학 놀이마당 평가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 473-486.
  9. 성태제, 2002, 타당도와 신뢰도. 학지사, 서울, 191 p.
  10. 신영준, 2000, 과학 학습 배경의 성차 분석에 근거한 여학생 친화적 과학 수업 전략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3 p.
  11. 윤석찬, 2001, 과학 전람회 참여가 초등학생들의 과학적 태도와 과학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70 p.
  12. 이문원, 조희형, 1985, 고교생의 성별에 따른 과학과목의 성취도 차이의 원인에 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5, 35-47.
  13. 이미경, 정은영, 2004, 학교 과학 교육에서 과학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24, 946-958.
  14. 이순목, 2006, 요인분석의 기초. 교육과학사, 서울, 163 p.
  15. 이충형, 2003, 과학 놀이 활동이 초등학교 학생의 과학적 태도 및 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8 p.
  16. 임청환, 김승화, 양일호, 1997, 초.중학생들의 과학 탐구능력에 미치는 인지적, 정의적 특성에 대한 공변량 구조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 1-10.
  17. 장경애, 1993, 남녀 학생의 물리관련 경험, 태도, 희망직업 및 성취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2p.
  18. 홍정수, 장난기, 1997, 중등학교 과학과 야외활동 실태 및 개선방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 85-92.
  19. Barman, C., 1997, Students’ views of scientists and science:Results from a national study. Science and Children,35, 18-23.
  20. Bresler, C.A., 1991, Museums and environmental education.National Adapted Physical Education Conference, Quarterly, 2, p. 6.
  21. Dierking, L.D., Falk, J.H., Rennie, L., Anderson, D., andEllenbogen, K., 2003, Policy statement of the “informal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 108-111. https://doi.org/10.1002/tea.10066
  22. Driver, R., 1983, Theories in action: Some theoretical and empirical issues in the study of students' conceptual frameworks in science. Studies in Science Education,10, 37-60. https://doi.org/10.1080/03057268308559904
  23. Farenga, S.J. and Joyce, B.A., 1997, What children bring to the classroom: Learning science from experience.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7, 248-252.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7.tb17270.x
  24. Feher, E., 1990, Interactive museum exhibits as tools for learning: Explorations with light,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cne Education, 12, 35-49. https://doi.org/10.1080/0950069900120104
  25. Galen, D.F., 1993, Science fair: A successful venture.American Biology Teacher, 55, 464-467. https://doi.org/10.2307/4449716
  26. Good, T. and Grouws, D., 1975, Process-Product relationships in forth grade mathematics classrooms(Final report). Grant NEG-00-3-0123,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 123 p.
  27. Gowen, L.F. and Marek, E.A., 1993, Science fairs: Step by step, Science Teacher, 60, 37-41.
  28. Kahle, J.B. and Lakes, M.L., 1983, The myth of equality in science classroo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 131-140. https://doi.org/10.1002/tea.3660200205
  29. Kahle, J.B., Lakes, M.L., and Cho, H.H., 1985, An assessment of the impact of science experiences on the career choices of male and female biology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2, 385-394. https://doi.org/10.1002/tea.3660220502
  30. Klopfer, L.E., 1971, Evaluation of learning in science. In Bloom, B.S., Hasting, J.T., and Madaus, G.F. (eds), Handsbook on Formative and summative evaluation of student learning. MaGraw-Hill, NY, USA, 932 p.
  31. Lewin, A.W., 1989, Childern's museums: A structure for family learning. Marriage and Family Review, 13, 51-73. https://doi.org/10.1300/J002v13n03_04
  32. Myers, R.E.III. and Fouts, J.T., 1992, A cluster analysis of high school science classroom environments and attitude toward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 929-937. https://doi.org/10.1002/tea.3660290904
  33.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Progress, 1978, The Third Assessment of Science, 1976-1977. NAEP Educational Commission of the State, Denver, USA, 350 p.
  34. Reynold, A.J. and Welberg, H.J., 1991, A structural model of science achieve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3, 97-107. https://doi.org/10.1037/0022-0663.83.1.97
  35. Stuessy, C.L., 1989, Path analysis: A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science reasoning ability in adolesc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6, 41-53. https://doi.org/10.1002/tea.3660260105
  36. Wellington, J.J, 1990, Formal and informal learning in science: The role of interactive science centers. Physics Education, 25, 247-252. https://doi.org/10.1088/0031-9120/25/5/307
  37. Wellington, J.J., 1994, Secondary science: Contemporary issues and practical approaches. Routledge, NY, USA,297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