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tracted] Acquisition of 9th Grade Students' Conception of Earth's Rotation According to Individual Difference of the Spatial Sensibility

[논문 철회] 9학년 학생의 공간 능력 차이에 따른 지구자전 개념의 획득

  • Lee, Kyung-Hoon (Busan Science High School) ;
  • Lim, Jong-Ok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이경훈 (부산과학고등학교) ;
  • 임종옥 (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Received : 2010.04.27
  • Accepted : 2010.06.04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tudent's Acquisition about the conception of the Earth Rotation between difference of their Spatial Sensibility. In this study, four students were selected out of 83 9th graders in Gwangju, Korea. The spatial sensibility test instrument was developed by the Korean Testing Center, and the test instruments of 'the movement of celestial bodies' were developed by Kim (1997). The results were as follows: Students with higher spatial sensibility understood precisely about the Earth's rotation in stereoscopic space. However, those with lower spatial sensibility failed to grasp the Earth's rotation and memorized it as fragmentary concepts. As for gender effect, male student with higher spatial sensibility explained the concepts clearly, while that with lower spatial sensibility has difficulty with the Earth's rotation in relation to the diurnal motion of celestial bodies. On the other hand, female student with higher spatial sensibility explained the concepts correctly in detail, while that with lower spatial sensibility had difficulty explaining the concepts in stereoscopic space. Therefore, students with higher spatial sensibility should be presented with problems in which they form their own solution. Those with lower spatial sensibility should be allowed to understand the phenomena intuitively. In developing teaching methods, female students should interact with the concepts in stereoscopic space directly, while male students should consider the celestial objects from various viewpoints. Then spatial sensibility in relation to the movement of celestial bodies would be expected to improve.

본 연구의 목적은 9학년 학생의 공간능력 차이에 따른 지구자전 개념을 알아보는 것이다. 광역시 소재 9학년 학생 83명중 천체의 공간운동 개념 평가(김기정, 1997)에서 개념 획득 정도가 비슷하면서 공간능력에 차이가 있는 남학생 2명과 여학생 2명을 각각 표집하여 질적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연구 결과, 공간능력이 높은 학생일수록 개념이 올바르고 개념들을 입체적 공간으로 재구성하여 이해하였다. 공간능력이 낮을수록 개념이 불완전하고 단편적인 개념들을 암기하고 있었다. 성별에 따라서는 공간능력이 높은 남학생은 개념들을 간단 명료하게 표현하였고, 낮은 학생은 자전에 대한 방향을 일주운동과 연관시켜 해석하지 못했다. 반면에 여학생은 공간능력이 높을 때 개념들을 구체적으로 표현하였으며, 낮을수록 개념들을 입체적으로 표현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공간능력이 높은 학생은 문제 상황을 제시하여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고, 낮은 학생은 현상들을 직접 관찰하여 쉽게 이해 할 수 있도록 학습 자료를 개발하여야겠다. 여학생은 공간을 입체적으로 조작해 볼 수 있도록 하고 남학생은 사물을 여러 관점으로 생각해 볼 수 있도록 교수 전략 및 학습 자료 등을 개발 한다면 천문단원의 공간능력이 향상되고, 개념 획득이 잘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구자홍, 2000, 고등학생들의 공간능력과 천체운동개념과의 상관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8 p.
  2. 김기정, 1997, 지구와 달의 운동에 대한 개념 성취도와 공간능력과의 상관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8 p.
  3. 김상달, 이용섭, 이상균, 2005, 초등학생들의 공간 능력과 천체 운동 개념 및 과학탐구능력과의 관계. 한국지구과학회지, 26, 461-468.
  4. 김영문, 1994, 고등학생의 지구 및 행성에 관한 개념.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3 p.
  5. 김주리, 1998, 초등학생의 공간능력과 천체운동 개념 성취도의 관련성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2 p.
  6. 명전옥, 2001, 예비 교사들의 지구과학 문제 해결 실패 요인: 달과 행성의 운동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2, 339-349.
  7. 변재성, 정재구, 문병찬, 정진우, 2004, 지구와 달의 운동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생각. 한국지구과학회지, 25, 519-531.
  8. 이수진, 2002, 공간능력 학습이 천문단원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2 p.
  9. 정진우, 정재구, 문병찬, 문상연, 2004, 흥미와 학습양식에 따른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지구의 자전 관련 개념. 한국지구과학회지, 25, 532-544.
  10. 최호순, 1999, 중학교 학생들의 공간능력과 천체운동개념 및 과학탐구능력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7 p.
  11. 하옥선과 이용복, 1997, 지구자전에 대한 초등학교 학생들의 개념 유형에 관한 연구. 초등과학교육, 16, 103-122.
  12. Callison, P.L. and Wright, E.L., 1993, The effect of teaching strategies using models o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 conceptions about Earth-Sun-Moon relationships.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ED 360 171, 2-17.
  13. Kali, Y. and Orion, N., 1996, Spatial Ability of high-school student in the perception of geologic Structur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 369-391.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604)33:4<369::AID-TEA2>3.0.CO;2-Q
  14. Lohman, D.F., 1979, Spatial ability: A review and reanalysis of the correlational literature. Technical Report No. 8, Aptitude Research Project, School of Education, Stanford University, 230 p.
  15. McGee, M.G., 1979, Human Spatial abilities psychometric studies and of the causes of season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 553-563.
  16. Sadler, P.D., 1987, Misconceptions in astronomy. Proceedings of the second international seminar on misconceptions and educational rategies in science and mathematics, 3, 421-425.

Cited by

  1. Gender Differences among 9th Grade Students in Academic Achievement in the Science vol.57, pp.1, 2013, https://doi.org/10.5012/jkcs.2013.57.1.138
  2. A Case Study on Spatial Thinking Revealed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Class on Solar System and Stars vol.35, pp.2, 2015,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2.0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