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Hierarchical Analysis of Astronomical Space Concepts Based on the Knowledge Space Theory

지식공간론에 기초한 천문학적 공간개념의 위계 분석

  • Yoon, Ma-Byong (Deajeon Dunsan Girl's High School) ;
  • Kim, Hee-Soo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 윤마병 (대전둔산여자고등학교) ;
  • 김희수 (공주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Received : 2010.04.15
  • Accepted : 2010.05.24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hierarchy of astronomical concepts and an individual student's knowledge state are analyzed by using the knowledge space theory that allows one to infer an individual's entire knowledge on a subject based on fragmentary information coming from that student's answers. The hierarchy of astronomical space concepts is: spatial position$\ll$spatial reasoning$\ll$spatial variation. In addition, an analysis of assessment materials using the knowledge space theory shows not only the relationship of assessment questions but also the knowledge state of individual students, which the current evaluation method is not able to reveal. Therefore, the assessment analysis of this study using the knowledge space theory becomes critically instrumental in providing information of an instructional differentiation amenable to individual learners for deciding their level of understanding and selecting suitable curriculum.

학습자의 개별 정답 문항에서 얻어지는 단편적인 정보들로부터 평가에 관련되는 지식 전체에 대한 정보를 추론할 수 있는 지식공간론을 활용하여 고등학생의 천문학적 공간개념에 대한 위계와 개별 학생의 지식상태를 분석하였다. 천문학적 공간개념을 구성하는 요인의 위계는 '공간위치$\ll$공간추리$\ll$공간변화'로 분석되었다. 또한 지식공간론을 활용한 평가 자료의 분석은 기존의 평가 방법으로는 알 수 없었던 평가 문항과 문항 간의 관계와 학생 개개인의 지식상태를 알 수 있게 함으로서 학습자의 수준별 개별화 학습과 교육과정 선정에서 많은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구자홍, 2000, 고등학생들의 공간능력과 천체운동 개념과의 상관관계.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7 p.
  2. 김범기, 이항로, 김기정, 1996, 천문 개념 성취도와 공간능력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5, 315-325.
  3. 김상달, 이용섭, 이상균, 2005, 초등학교 학생들의 공간능력과 천체운동개념 및 과학탐구능력과의 관계. 한국지구과학회지, 26, 461-468.
  4. 김석천, 박상태, 이희복, 정기주, 2007, 지식상태분석법을 이용한 학습 진단평가도구로의 활용성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 346-353.
  5. 김승동, 김응환, 김태균, 노영순, 박달원, 변두원, 이덕호(공주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2, 지식공간론 입문. 도서출판 보성, 대전, 148 p.
  6. 김현재, 김순남, 1988, 아동의 Euclid적 공간개념 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8, 23-32.
  7. 김희수, 서창현, 이항로, 2003, 천문학적 공간개념 수준에 관한 검사도구 개발. 한국지구과학회지, 24, 508-523.
  8. 명전옥, 2001, 예비교사들의 지구과학 문제 해결 실패 요인.한국지구과학회지, 22, 339-349.
  9. 박상태, 변두원, 이희복, 김준태, 육근철, 2005, 지식상태분석법을 통한 예비교사들의 학년별 물리개념 위계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 746-753.
  10. 변두원, 박달원, 이덕호, 2002, 지식공간론에 기초한 학습경로 탐색 알고리즘 연구. 공주대학교 과학교육연구, 33, 175-188.
  11. 변두원, 정인철, 박달원, 노영순, 김승동, 2004, 수학 교육에서 평가결과에 기초한 개별화 학습과정의 위계도. 한국수학교육학회지, 43, 75-85.
  12. 변재성, 정재구, 문병찬, 정진우, 2004, 지구와 달의 운동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생각. 한국지구과학회지, 25, 519-531.
  13. 임청환, 1992, 서열화 이론을 이용한 논리적 사고력의 위계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13, 290-303.
  14. 임청환, 김학목, 1994, 대기압과 달의 운동에 관한 중학생들의 개념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15, 157-169.
  15. 정진우, 조선형, 임청환, 1996, 과학개념의 위계적 분석 및 그 적용을 통한 교수 효과와 과학교육과정 계열성의 타당화 평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 1-12.
  16. 최호순, 1999, 중학생들의 공간능력과 천체운동 개념 및 과학탐구능력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55 p.
  17. AAAS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1993, Benchmarks for science literacy. Oxford University Press, NY, USA, 448 p.
  18. Airasian, P.W. and Bart, W.M., 1975, Validating a priori instructional hierarchies. Journal of Educational Measurement,12, 163-173. https://doi.org/10.1111/j.1745-3984.1975.tb01018.x
  19. Bart, W.M., 1976, Some results of ordering theory for Guttman scaling.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36, 41-148
  20. Bart, W.M. and Krus, D., 1973, An ordering-theoretic method to determine hierarchies among items.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33, 281-300.
  21. Bergan, J.R., 1980, The Structural analysis of behavior: An alternative to the learning-hierarchies model.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0, 625-646. https://doi.org/10.3102/00346543050004625
  22. Doignon, J.P. and Falmagne, J.C., 1999, Knowledge Spaces. Springer-verlag, NY, USA, 300 p.
  23.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National Academic Press, Wasington DC, USA, 262 p.
  24. Pallrand G.J. and Fred, S., 1984, Spatial ability and achievement in introductory physic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1, 507-516. https://doi.org/10.1002/tea.3660210508
  25. Piaget, J. and Inhelder, B., 1967, The child’s conception of space. Norton, NY, USA, 490 p.
  26. Smith, W.S. and Schroeder, C.K., 1979, Instruction of fourth grade girls and boys on spatial visualization. Science Education, 63, 61-66. https://doi.org/10.1002/sce.3730630110
  27. Tracy, D.M., 1990, Toy-Playing Behavior, Sex-Role Orientation, Spatial Ability, and Science Achieve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7, 637-649. https://doi.org/10.1002/tea.3660270704
  28. Walter, M., 1981, Geometry for Young Students in the 80'.Teacher, 98, 434-442.

Cited by

  1. Middle School Students' Knowledge State Analysis about Light vol.32, pp.8, 2012,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8.1345
  2. An Analysis of Systems Thinking Revealed in Middle School Astronomy Classes: The Case of Science Teachers’ Teaching Practices for the Unit of Stars and Universe vol.36, pp.6, 2015, https://doi.org/10.5467/JKESS.2015.36.6.5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