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sessment of the Wetland Soil Development in Constructed Wetlands using the Soil Properties of a Reference Wetland

기준습지 토양특성을 활용한 인공습지의 토양발달 평가

  • 이자연 (부경대학교 생태공학과 대학원) ;
  • 강대석 (부경대학교 생태공학과) ;
  • 성기준 (부경대학교 생태공학과)
  • Received : 2009.08.12
  • Accepted : 2010.04.13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Changes in wetland soil properties of two constructed wetlands after their constructions were compared to those of a natural wetland to determine if they could be used for the evaluation of the success of constructed wetlands and the assessment of their functions. One natural wetland as a reference wetland and two constructed wetlands(treatment wetland and experimental wetland) with different contaminant inflow characteristic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Maj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wetland soil such as soil texture, water content, pH, CEC(cation exchange capacity), organic matter content, total nitrogen, and available phosphorus were monitor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undation and accumulation of organic matters and nutrients on the wetland soil development.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in soil texture between the natural wetland and the constructed ones, with the high sand content in the constructed wetlands as compared to the high clay content in the natural one. Gradual increases of silt and clay contents over time were observed in the constructed wetlands. The soil of the natural wetland was higher in water content and organic matter but lower in pH than those of the constructed wetlands. The pH of the constructed wetlands reached near neutral ranges after initial increase. CEC and nutrient concentrations of the constructed wetlands seemed to be affected mainly by outside inflows of organic matter and contaminants. Concentrations of organic matter and nutrients decreased over time in the experimental wetland where surface and deep soil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were mixed during its construction, suggesting that changes in soil properties during wetland constructions may affect the development of wetland soils or wetland biogeochemistry. This study showed that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s in constructed wetlands could be used to assess the success of constructed wetlands and their functions, and also the importance of reference wetlands for the appropriate assessment.

인공습지 토양의 변화 특성을 인공습지의 성공 여부와 습지의 기능 평가에 활용할 수 있을 지 알아보고자 인공습지 조성 후 토양의 변화를 기준습지 토양의 변화특성과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준습지로 자연습지 1곳과 오염물질 유입 특성이 다른 인공습지 2곳(처리습지, 실험습지)을 선정하여 주요 토양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습지토양의 침수조건에 따른 물리화학적 특성변화 및 유기물 축적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토성, 함수율, pH, CEC 및 유기물함량을 측정하였으며, 습지의 영양물질의 축적 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총질소와 유효인산의 농도변화를 분석하였다. 토성의 경우 전체적으로 자연습지에서는 점토의 함량이, 인공습지에서는 모래의 함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자연습지와 인공습지의 토성은 큰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인공습지 토양의 실트와 점토 함량이 점차 증가하였다. 함수율과 유기물함량의 경우 여름철과 가을철 모두 자연습지가 인공습지보다 높았다. 토양의 pH는 자연습지가 인공습지에 비하여 낮았으며, 인공습지의 경우에도 습지 조성 후 중성으로 변화하였다가 다시 pH가 낮아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CEC, 총질소, 유효인산의 농도는 외부의 유기물질이나 오염물질 유입과 관련 있는 것으로 판단되나, 오랜 기간 동안 영양물질을 보유한 자연습지에서 인공습지보다 모든 항목이 높게 나타났다. 실험습지의 경우 조성과정에서 오염도가 높은 표토와 낮은 심토가 섞여 유기물과 영양물질의 농도가 감소하였는데, 습지 조성과정에서 나타나는 토양 특성변화도 습지의 생지화학적 기능이나 습지 토양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이 연구는 인공습지 토양의 물리적 특성변화와 유기물 및 영양물질 보유량 변화 등과 같은 습지토양의 발달특성을 활용하여 인공습지 조성의 성공 여부나 인공습지의 기능 평가에 활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이를 위하여 자연습지와 같은 기준습지의 역할이 중요함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윤, 김진이, 이광섭, 성기준, 이석모, 자연습지와 저류형인공습지의 비점오염물질저감효율 비교·평가, 2008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추계학술발표회, pp. 37-38, 2008.
  2. 김영윤, 이광섭, 이석모, 강대석, 성기준, 낙동강 수계 자연습지의 계절별 수질변화특성 분석, 한국물환경학회, 제25권, 제5호, pp. 713-719, 2009.
  3. 김종구, 유선재, 새만금지역 하구갯벌의 유기물 분해능력 평가, 한국환경과학회지, 제10권, 제5호, pp. 315-321, 2001.
  4. 농업기술연구소, 토양화학분석법, 1988.
  5. 문현숙, 습지의 발달 환경과 특성: 경기도 산지를 중심으로, 한국지형학회지, 제12권, 제4호, pp. 55-67, 2005.
  6. 박소영, 이인철, 이병호, 이자연, 이용민, 성기준, 해양 준설토를 이용한 인공염습지 현장시험구 조성 후 초기 환경변화,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제11권, 제2호, pp. 63-69, 2008.
  7. 성기준, 안중수, 박태국, 이용민, 정용현, Reference wetland를 이용한 비점오염저감습지 조성, 한국환경과학회 2008 가을학술발표회 논문집, pp. 186-190, 2008
  8. 송호경, 박관수, 박혜림, 소순구, 김효정, 김무열, 신안군 장도 산지습지 식생과 토양특성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0권, 제4호, pp. 407-414, 2006.
  9. 신영호, 김성환, 박수진, 양산 신불산 산지습지의 토양특성 및 퇴적환경, 대한지리학회지 춘계학술대회, 제20권, pp. 42-42, 2004.
  10. 윤춘경, 권태영, 우선호, 오수처리용 인공습지내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조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제5권, 제2호, pp. 24-29, 1999.
  11. 최병선, 이성백, SAS를 이용한 현대통계학, 세경사, 2003.
  12. 한국수자원공사, 시화호 인공습지 운영관리 방안연구, 2002.
  13. 환경부, 훼손된 자연생태계 복원기술 대체습지의 수질정화기능 강화기술, 2005.
  14. 환경부, UNDP/GEF국가습지보전사업관리단, 2007 전국내륙습지 일반조사, 2007.
  15. 해양수산부, 해양환경공정시험방법, 2005.
  16. Anderson, C. J., Kettlewell, C. I., Mitsch, W. J., Soil development of two wetland creation areas at the Olentangy River Wetland Research Park in Columbus, Ohio, Annual report (Olentangy River Wetland Research Park) 2002, pp. 51-56, 2004.
  17. Atkinson, R. B., Daniels, W. L., Cairns, JR. J., Hydric soil development in depressional wetlands: A case study from surface mined landscapes:13, p. 182–197. In Majumdar, S. K., Miller, E. W., Brenner, F. J., (eds.) Ecology of Wetlands and Associated Habitats. Pennsylvania Academy of Science, Philadelphia, PA, USA, 1998.
  18. Broennum, R., Hunter, M., Reed, S., Created wetland soil development after four years flooding, Annual report (Olentangy River Wetland Research Park) 2000, pp. 127- 131, 2001.
  19. Bruland, G. L., Richardson, C. J., Comparison of Soil Organic Matter in Created, Restored and Paired Natural Wetlands in North Carolina, Wetlands Ecology and Management, Vol. 14, No. 3, pp. 245-251, 2006. https://doi.org/10.1007/s11273-005-1116-z
  20. Campbell, D. A., Cole, C. A., Brooks, R. P., A comparison of created and natural wetlands in Pennsylvania, USA, Wetlands Ecology and Management, Vol. 10, No. 1, pp. 41- 49, 2002. https://doi.org/10.1023/A:1014335618914
  21. Craft, C., Broome, S., Campbell, C., Fifteen years of vegetation and soil development after brackish-marsh creation, Vol. 10, No.2, pp. 248-258, 2000.
  22. Giese, L. A. B., Flannagan C. T., Soil Properties in Northern Virginia Created Forested Wetlands, Hydrology and Management of Forested Wetlands.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ASABE, pp. 34-40, 2006.
  23. Lu, J., Wang, H., Wang, W., Yin, C., Vegetation and soil properties in restored wetlands near Lake Taihu, China, Hydrobiologia, Vol. 581, pp. 151-159, 2007. https://doi.org/10.1007/s10750-006-0495-3
  24. Kadlec, R. H., Knight, R. L., Treatment wetlands. CRC Lewis Publishers, Boca Raton, New York, 1996.
  25. Kadlec, R. H., Wallace, S., Treatment Wetlands(2nd edition), CRC Press, Boca Raton, 2009.
  26. Mitsch, W. J., Gosselimk, J. G., Wetlands (3rd edition),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2000.
  27. Mitsch, W.J., Jorgensen, S.E. Ecological Engineering and Ecosystem Restoration.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411, 2004.
  28. Stolt M. H., Genthner M. H., Daniels W. L., Groover V. A., Nagle S., Haering K. C., Comparison of soil and other environmental condition in constructed and adjacent palustrine reference wetlands, wetlands, Vol. 20, No. 4, pp. 671-683, 2000. https://doi.org/10.1672/0277-5212(2000)020[0671:COSAOE]2.0.CO;2
  29. Tiner, R.W., Wetland indicators, Lewis Publisher, New York,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