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Spatial Distributions of Rainfall Derived from Rain Gages and a Radar

우량계와 강우레이다에 의해 관측된 강우량의 공간 분포 비교

  • 김병식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실) ;
  • 김형수 (인하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공학과) ;
  • 양동민 (노아솔루션(주) 기술연구소)
  • Received : 2009.10.21
  • Accepted : 2010.04.30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Rainfall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nput data of hydrologic models. Rain gage is used to estimate areal rainfall for hydrologic models using several interpolation method such as Thiessen polygon, Inverse Distance Squared(IDS) and Kriging. However, it is still difficult to derive actual spatial distribution of the rainfall using the aforementioned approaches. On the other hand, radar can offer a significant analytic improvement for rainfall analysis by providing directly more representative of the true spatial distribution of rainfall. In this study, In this study, spatial distributions of rainfall derived form rain gages using IDS and Kriging and rainfall from radar are compared. As results, it is found that using radar can provide actual spatial distribution than rain gages.

수문학적 강우-유출 모형의 가장 중요한 입력 자료는 강우량 자료이다. 기존에는 지상 우량계 관측자료의 점 우량을 티센, 역거리제곱법, 크리깅 등의 내삽방법을 사용하여 유역의 면적강우량을 산정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도 여전히 유역 내의 정확한 강우의 분포 추정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강우 레이다의 경우 공간적인 측정을 통하여 보다 정확하게 강우의 공간적 분포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상 우량계에서 관측된 점 우량을 역거리제곱법(Inverse Distance Squared, IDS)과 크리깅 기법으로 면적강우량의 공간분포를 산출하였고, 이를 강우레이다로부터 추정된 레이다 강우의 공간분포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레이다에 의해 측정된 강우가 현실적인 강우의 공간 분포를 제공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2005). 강우레이다에 의한 돌발홍수예보시스템 개발 1차년도 보고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 김병식, 홍준범, 김형수, 최규현(2007) "조건부 합성방법을 이용한 레이다 강우와 지상 강우자료의 조합", 대한토목학회 제 27권 (3B) pp. 255-265
  3. Curtis, D.C., Clyde, B.S. (1999), Comparing spatial distributions of rainfall derived from rain gages and radar, Journal of Floodplain Management
  4. Lee Gyu Won. (2003), Errors in rain measurement by radar: Effects of variability of drop size distributions, Doctoral dessertation, McGill University, Montreal, Quebec, Canada
  5. Hoblit, B.C., Curtis, D.C. (2000), Next generation rainfall data, ASCE Watershed and Operations Management 2000 Conference, Ft. Collins.
  6. Joss, J. and A. Waldvogel. (1990), Precipitation measurement and hydrology. Radar in Meteorology, Ed. D. Atlas, Amer. Meteor. Soc., pp. 577-606.
  7. Keckler, Doug. (1995), Surfer for windows, Golden Software
  8. Sinclair, S., Pegram, G. (2004), Combining radar and rain gauge rainfall estimates for flood forecasting in south Africa, Six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Hydrological Application of Weather Radar, Melbourne, Australia.
  9. Sun, X., Mein, R.G., Keenan, T.D., Elliot, J.F. (2000), Flood estimating using radar and raingauge data, Journal of Hydrology, Vol. 239, pp. 4-18. https://doi.org/10.1016/S0022-1694(00)00350-4
  10. Zawadzki, I., C. Desrochers and E. Torlaschi. (1986), A Radar-raingauge Comparison. Preprints, 23rd Conf. on Radar Meteorology, Snowmass, Colorado, Amer. Meteo. Soc., pp. 12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