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zing Carbon-Neutral Campus Development Measures through Recognition Analysis of Students - Focused 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학생 설문조사를 통한 탄소중립캠퍼스 조성요인 분석 - 충북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

  • Woo, Hye-Mi (Dept. of Environment and Urban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Baek, Jong-In (Dept. of Environment and Urban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Kwak, Joo-Hyeon (Graduate Student, Dept. of Urban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Min, Suk-Gi (Graduate Student, Dept. of Urban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Choi, Choel-Gyu (Graduate Student, Dept. of Urban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Ban, Yong-Un (Dept. of Urban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우혜미 (충북대학교 환경.도시공학과) ;
  • 백종인 (충북대학교 환경.도시공학과) ;
  • 곽주현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
  • 민석기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
  • 최철규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
  • 반영운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 Received : 2010.01.12
  • Accepted : 2010.07.28
  • Published : 2010.08.30

Abstract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under a university level, this study has intended to find carbon-neutral campus development measures for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BNU), which is composed of such facilities as education, research, and residential buildings. To reach this goal, we reviewed related literatures to find development measures for carbon neutral campus, employed a survey method asking students to show their preference and suitability toward provided measures, and statistical analyses to find appropriate measures using factor analysis. We have foun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based on literature review, we have identified several concepts regarding carbon-neutral city and has found the elements of carbon-neutral campus development. Second, we have drawn carbon-neutral campus development measures of CBNU through factor analysis. Finally,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the present carbon-neutral campus conditions of the CBNU, we presented development measures.

Keywords

References

  1. 강은주 외. 2006. 미국 에코스쿨의 계획 기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22(11) : 57-69.
  2. 국무총리실. 2008. 기후변화대응 종합기본계획 후속계획.
  3. 김기호. 2008. 탄소중립도시 실현을 위한 인센티브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협성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병호. 2005. 기후변화에 대응한 한국의 온실가스 저감정책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지형. 2006. 에코캠퍼스 운동의 현주소와 과제. 환경과생명 47 : 168-189.
  6. 김홍배 외. 2010. 도시 내 탄소발생량 산정과 저탄소도시 개발의 핵심부문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5(1) : 35-48.
  7. 김홍주. 2009. 저탄소사회를 향한 지방정부의 탄소제로도시 정책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1(2) : 145-162.
  8. 남궁근 외. 2010. 에너지 소비특성에 따른 도시유형별 정책방향 연구. 국토계획 45(1) : 237-250.
  9. 노미영 외. 2008. 친환경 캠퍼스 평가 기준 도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노형진. 2007. SPSS에 의한 다변량 데이터의 통계분석. 효산.
  11. 녹색연합. 2009. 저탄소 그린캠퍼스 가이드북.
  12. 박만귀. 2005. 기후변화대책으로서의 태양열시스템, 한국태양에너지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7-27.
  13. 반영운 외. 2008. 기후변화에 대응한 국토 및 도시개발전략. 도시정보 Sep : 3-17.
  14. 변병설 외. 2009. 기후변화대응계획 지표 개발 연구. 국토지리학회지 43(4) : 611-620.
  15. 손수진 외. 2008. 에코캠퍼스의 이론적 고찰 및 국내.외 사례 분석. 한국환경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85-90.
  16. 손형진. 2009. 저탄소를 위한 대학들의 노력. 그린캠퍼스 운동 사례 1, 2회, 녹색연합 전문칼럼.
  17. 왕광익. 2008. 저탄소사회 실현을 위한 국내외 주요도시의 사례. 국토 318 : 45-57.
  18. 위정호 외. 2008. 국내 전력발전 및 산업부문에서 탄소포집 및 저장기술을 이용한 이산화탄소배출 저감. 대안환경공학회지 30(9) : 961-973.
  19. 유근옥. 2008. 산림바이오 순환림 조성 수종으로 적합한 백합나무. 산림과학정보 210 : 8-19.
  20. 이강복 외. 2009. 탄소중립단지의 계획요소기술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 계획계 29(1) : 313-316.
  21. 이경선. 2009. 지속가능한 캠퍼스 디자인의 계획 및 개선 방향 비교 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지 7(1) : 61-72.
  22. 이일재 외. 2001. 패시브 디자인 개념을 이용한 건축 계획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1(1) : 143-146.
  23. 이재준 외. 2009.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지구단위계획 차원에서의 탄소완화 계획요소 개발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4(4) : 119-131.
  24. 임성진. 2005. 지구온난화방지를 위한 독일의 에너지정책. 국제정치논총 45(3) : 287-311.
  25. 임재규. 2008. 호주의 탄소중립프로그램과 배출권거래제의 도입 사례 및 우리나라에 대한 시사점. 에너지경제연구원.
  26. 정교민. 2008. 탄소중립적 자생주거단지 계획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건축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최상진. 2003. 국내외 이산화탄소 저감 연구개발 프로그램 분석'. 한국에너지공학회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217-222.
  28. 환경부. 2008. 저탄소형 녹색행사 가이드라인.
  29. 小澤紀美子. 2008. 일본의 에코스쿨 추진에 관한 사례. 한국환경교육학회 2008 춘계 학술대회 자료집.
  30. 에너지 관리공단 탄소중립 사이트. http://zeroco2.kemco.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