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ification Type of Vascular Plants in Ecological Forest Site on the Gujaebong (Mt.), Hadong

하동 구재봉 생태숲 조성부지의 관속식물상 유형별 분류

  • Oh, Hyun-Kyu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0.03.17
  • Accepted : 2010.08.09
  • Published : 2010.08.30

Abstract

The vascular plants in ecological forest site on the Gujaebong (Mt.), Hadong were listed 338 taxa; 85 families, 219 genera, 290 species, 1 subspecies, 40 varieties and 7 forms. Divided into 338 taxa; woody plants were 121 taxa (35.8%) and herbaceous plants were 217 taxa (64.2%). Based on the legal protection species, endangered wild plants II were recorded; Aconitum austro-koreense, Corylopsis gotoana var. coreana and rare plants (IUCN) by the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5 taxa were recorded; Botrychium virginianum, Aconitum austro-koreense, Coreanomecon hylomecoides, Corylopsis gotoana var. coreana, Viola albida. Based on the list of Korean endemic plants, 13 taxa were recorded; Cephalotaxus koreana, Thalictrum actaefolium, Vicia nipponica, Indigofera koreana, Stewartia koreana, Weigela subsessilis, etc. Based on the list of approved for delivering overseas of plants, 5 taxa were recorded; Coreanomecon hylomecoides, Vaccinium oldhami, Paulownia coreana, Asperula lasiantha, Carex okamotoi. Specific plant species by floral region were total 21 taxa (6.2% of all 338 taxa of vascular plants); Aconitum austro-koreense, Corylopsis gotoana var. coreana in class V, Cimicifuga heracleifolia, Coreanomecon hylomecoides in class IV, 4 taxa (Stewartia koreana, Phacellanthus tubiflorus, Lonicera subhispida, etc.) in class III, Potentilla dickinsii, Viola orientalis in class II, 11 taxa (Aconitum jaluense, Angelica anomala, Erythronium japonicum, etc.) in class I. The naturalized plants in the surveyed sites were 8 families, 15 genera, 15 taxa (Phytolacca americana, Crassocephalum crepidioides, Lolium perenne, etc.) and naturalization rate was 4.4% of all 338 taxa of vascular plants.

Keywords

References

  1. 강효진․문흥규․이재선. 2003. Thidiazuron 처리에 의한 히어리나무의 기내번식. 식물생명공학회지 30(3) : 263-267.
  2. 고갑천․임동옥. 2006. 한국특산 히어리의 기내증식. 한국원예학회지 24(2) : 272-278.
  3. 김갑덕․김재생. 1983. 백운산 삼림군집의 식물 사회학적 연구. 서울대 농대 연습림보고 19 : 1-19.
  4. 김갑덕․김태욱․김준선. 1991. 전남 백운산 벌채지역의 삼림생태계 천이에 관한 연구(I)-전남 백운산 북사면 천연림 개체군 분 포 및 군집의 천이-. 서울대학교 농대 연습림보고 27 : 54-64.
  5. 김무열. 2004. 한국의 특산식물. 솔과학. 서울.
  6. 김정석. 1988. 경남의 녹지자연도. '88자연생태계 전국조사(I-2). 환경청. pp.143-164.
  7. 김종홍․신정식. 1999. 순천․광양 소권역의 식생.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3차년도-. 환경부. pp.129-157.
  8. 김종홍․이석면. 1990. 백운산 삼림식생의 유형분석. 순천대학교 기초과학연구 1 : 163-170.
  9. 김철환. 2000. 자연환경 평가-I. 식물군의 선정-. 한국환경생물학회지 18(1) : 163-198.
  10. 김태욱․김준선․장석모. 1992. 전남 백운산 벌채지역의 삼림생태계 천이에 관한 연구(III)-전남 백운산 남사면 천연림의 군집구조 및 신갈나무 개체군 분포-. 서울대 농대 연습림보고 28 : 1-12.
  11. 문현식․노일․김종갑. 2004. 전남 곡성지역 히어리 군락의 입지환경 및 식생구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6(3) : 196-203.
  12. 문흥규․노은운․하유미․심경구. 2002. 액아배양에 의한 유묘 및 성숙 히어리나무의 기내번식. 식물생명공학회지 29(2) : 117-121.
  13. 박수현․신준환․이유미․임종환․문정숙. 2002. 우리나라 귀화식물의 분포. 임업연구원․국립수목원.
  14. 박인협․김갑덕. 1986. 백운산지역 천연림생태계의 삼림구조 및 물질생산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바이오에너지학회 임산에너지 6(1) : 1-45.
  15. 백원기. 1994. 한국특산식물의 실체와 분포 조사. 한국자연보존협회 자연보존연구보고서 13 : 5-84.
  16. 백원기. 1999. 특산식물의 현황과 21세기 우리의 책무. 식물분류학회지 29(3) : 263-274.
  17. 산림청․국립수목원. 2008. 한국 희귀식물 목록집.
  18. 산림청․임업연구원. 1996.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보존지침 및 대상식물-.
  19. 송호경. 1991. 경남의 식생. '90자연생태계전국조사(II-2). 환경처. pp.305-342.
  20. 심경구․하유미․이선아․박장혁․김동수. 2005. 히어리속 식물의 조경소재 이용을 위한 형태적 특성. 한국조경학회지 33(5) : 94-103.
  21. 심경구․하유미․이원한․김영해․김동수. 2003. 한국특산 희귀식물 히어리의 분포 및 형태적 특성. 한국원예학회지 44(2) : 260-266.
  22. 여준호․장우환. 2007. 순천 히어리 군락지역의 생물다양성 보전가치 추정. 한국임학회지 96(4) : 483-493.
  23. 유주한. 2005. 충청북도 제천시 생태숲 조성예정지의 관속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9(1) : 31-45.
  24. 유주한․나정화․조현주․구지나. 2009. 백두대간 생태숲 조성예정지의 관속식물상과 활용방안.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2(5) : 42-58.
  25. 이영노. 2006. 새로운 한국식물도감(I,II). 교학사. 서울.
  26. 이영노․오용자. 1974. 한국귀화식물(1). 생활과학논총 12 : 25-31.
  27. 이우철. 1996. 원색 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서울.
  28. 이우철․임양재. 1978. 한반도 관속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식물학회지 8(부록) : 1-33.
  29. 이은혜․류지은․임동옥․정흥락․이재석. 2007. 히어리 개체군의 선택적 사면분포와 미기상학적 요인. 한국환경생물학회지(환경생물) 25(4) : 363-369.
  30. 이정환. 2005. 괘관산 생태숲 조성지역 식물자원조사 보고서. 산림조합중앙회 엔지니어링사업본부.
  31. 이정환․강호철․안현철․조현서. 1999. 한국특산 히어리 군락의 식생구조와 맹아지 동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3(3) : 280-287.
  32. 이창복. 2003. 원색 대한식물도감(상, 하). 향문사. 서울.
  33. 이호준․정흥락․배병호. 1995. 청량산 삼림식생의 군락분류 및 종간연관 분석. 한국생태학회지 18(1) : 121-136.
  34. 임동옥․정흥락․김종홍․황인천․김철환․이현우. 2005a. 보호종인 히어리의 자생지내외 보전과 지역사회 협력 모델 개방-2. 순천(전남) 청소골지역 히어리 개체군의 분포특성 및 동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9(3) : 269-278.
  35. 임동옥․황인천․정흥락. 2005b. 보호종인 히어리의 자생지내외 보전과 지역사회 협력 모델개방-1. 히어리 분포지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9(2) : 162-176.
  36. 임동옥․황인천․정흥락. 2006. 보호종인 히어리의 자생지내외 보전과 지역사회 협력 모델 개방-3. 몇 개의 히어리 자생집단과 벌채집단 간 개체군 비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2) : 227-234.
  37. 임양재․전의식. 1980. 한반도의 귀화식물 분포. 식물학회지 23(3-4) : 69-83.
  38. 임형탁․홍행화. 1999. 백운산(순천․광양)과 인근산지의 식물상.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 -3차년도-. 환경부. pp.100-128.
  39. 전승훈. 1997.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평가 및 조사지침. 환경부.
  40. 정우규․윤석․김상희. 2005. 울산의 멸종위기 및 희귀식물. 울산생명의 숲․울산광역시.
  41. 정진철․장규관․송호경․안영환. 1999. Ordination과 Classification에 의한 백운산의 산림군락과 환경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3(3) : 244-253.
  42. 정진철․장규관․최정호․장석기. 2001. 백운산 산림군락 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생명자원과학연구소. 생명자원과학연구 23 : 111-120.
  43. 환경부. 2002. 국외 반․출입 규제대상 생물종.
  44. 환경부. 2005. 야생 동․식물보호법(제2조 관련)-멸종위기 야생 동․식물 I, II급-.
  45. 沼田眞. 1975. 歸化植物, 環境科學ライブラリ-13. 大日本圖書.
  46. Cuenca, S., J. B. Amo-Marco and R. Parra. 1999. Micro-propagation form inflorescence stems of the spanish endemic plant Cnetaurea paui Loscos ex Willk (Compositae). Plant Cell Reports. 18 : 674-679. https://doi.org/10.1007/s002990050641
  47. Kim, J. W. 1992. Vegetation of northeast Asia. On the syntaxonomy and syngeography of the oak and beech forests. Ph. D. Thesis. Wien University.
  48. Lee, T. B. 1984. Outline of Korean endemic plants and their distribution. Kor. Jou. Pla. Tax. 14(1) : 21-32. https://doi.org/10.11110/kjpt.1984.14.1.021
  49. Melchio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eaeger. Berlin.
  50. Nakai, T. 1952. A synoptical sketch of Korean flora. Bull. Nat. Sci. Tokyo. 31 : 1-52.
  51. Yim, Y. J., and Kira, T., 1975.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 Peninsula I. Distribution of some indices of thermal climate. Jap. J. Eco. 25 : 77-88.
  52. http : //www.kndaily.com(경남매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