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Origin and Destination Decision for a Direct Bus Line in a City with Transit Mobility and Potential Demand

대중교통 이동성과 잠재수요를 이용한 도시 내 지역 간 직결노선버스 기종점 선정에 관한 연구

  • 장경욱 (남서울대학교 첨단교통환경연구소) ;
  • 김황배 (남서울대학교 GIS공학과, 첨단교통환경연구소) ;
  • 박홍식 ((주)내경엔지니어링 기술연구소) ;
  • 박선복 ((주)건화 교통계획부)
  • Received : 2011.05.16
  • Accepted : 2011.05.28
  • Published : 2011.08.31

Abstract

This study has redefined the concepts of mobility indexes and potential demand, standards to evaluate areas with the worst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and applied the relevant indexes to select the areas with the worst public transportation mobility and present a method to set direct public transportation lines between these regions. The mobility indexes and indexes to evaluate potential demand were applied to select the regions with the worst public transportation systems in four metropolitan cities and case studies were carried out on direct lines provided between these region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in public transportation mobility blind spots, public transportation takes much longer than driving an automobile or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s are not provided. In addition, the analysis showed that a direct lines system to solve such worst off regions should be built to have public transportation take as much time as driving an automobile by establishing lines for automobiles only, minimize time lost from hopping up and down a bus and maximize connections.

본 연구는 대중교통취약지역 평가척도인 이동성 지표와 잠재수요에 대한 개념을 새로 정립하고 이들 지표를 적용하여 대중교통이동성 취약지역 선정과 이들 지역 간을 연결하는 대중교통 직결노선 선정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동성 지표와 잠재수요평가지표를 적용하여 4개 대도시권의 대중교통 취약지역을 선정하고 이들 지역 간을 운행하는 직결 버스 노선을 사례연구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중교통 이동성 사각지대는 대중교통통행시간이 승용차에 비해 현저히 높게 소요되거나 대중교통노선의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은 지역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이러한 대중교통취약지역을 해소하기 위한 직결버스노선은 대중교통통행시간을 승용차 통행시간과 동등한 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자동차 전용도로로 운행하고 승 하차로 인한 통행시간 손실을 최소화 시키고 연계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노선체계가 구축되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노현수, 도철웅, 김원근, 조종석, 신성일(2005) 대중교통망 이동성 지표 개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3권 제8호.
  2. 신성일, 이창주, 조용찬(2008) 대중교통 카드 자료를 이용한 지역간 대중교통 서비스 평가 방안, 교통 기술과 정책, 제5권 제1호.
  3. TRB, TCRP report 100 part 3.
  4. TRB, TCRP report 88, A Guidebook for Developing a Transit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5. Florida DOT (2000) Florida's Mobility Performance measure Program Transit.
  6. CTA (2001), Chicago Transit Author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