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학습자 수준에 맞는 차별적 콘텐츠 구성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Differential Contents Organization System based on Each Learner's Level

  • 허선영 (한국기술교육대학교) ;
  • 김은경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컴퓨터공학부)
  • 투고 : 2011.08.03
  • 심사 : 2011.10.07
  • 발행 : 2011.12.31

초록

많은 학습시스템이 학습효율을 높이기 위해 자기 주도적 학습을 적용하고 있다. 동일한 수준의 학습자라 할지라도 학습 내용을 이해하는 정도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제공된 콘텐츠를 이해하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정해진 난이도와 학습과정에 따라 획일적으로 학습이 진행되는 방법은 효율적인 학습효과를 나타내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런타임시 변화된 학습자의 수준에 적합한 학습 콘텐츠를 재구성할 수 있도록 SCORM의 기능을 확장하고, 이 확장된 SCORM을 기반으로 DCOS(Differential Contents Organization System)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DCOS는 학습자의 수준에 적합한 학습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재구성하기 위하여, 학습자의 수준 이외에 학습 콘텐츠의 구성단위인 학습객체 간의 관련성 및 학습 목표 달성 정도를 기반으로 콘텐츠를 재구성하도록 하였다. 각 30명의 학생이 기존 시스템과 DCOS에서 학습한 결과, DCOS에서 학습한 학습자들의 평균점수와 시스템 만족도가 전체적으로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Many learning systems are applying Self-Directed Learning to improve learning efficiency.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the same learning contents can be different even if the learner's level is same.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represent an effective learning experience because the learning is progressed by the determined difficulty of learning and the learning process even thought the provided content is difficult to understand. In this paper, we augmented SCORM to reconstruct the learning contents which are suitable for the changed level of each learner in real-time. Also, we designed and implemented this augmented SCORM based DCOS(Differential Contents Organization System). In order to provide the suitable contents for each learner, DCOS reorganizes learning contents based on the learner's level, the learner's achievement of learning objective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learning objects, that is the component of the learning content. Each 30 Each 30 students studied e-learning contents, which are constructed based on the existing System and DCOS respectively. And the average score and system's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who studied DCOS based e-learning contents was higher.

키워드

참고문헌

  1. Brockett. R. G., & Hiemstra, R. "Self-direction in adult learning: Perspective, 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NY: Routledge, 1991.
  2. Corno, L.,& Mandinach, E.B. "The role of cognitive engagement in classroom learning and motivation". Educational Psychologist, 18. pp.88-108, 1983. https://doi.org/10.1080/00461528309529266
  3. 백소영, 김명, "수준별 개별 학습을 지원하는 문제은행 시스템의 설계와 구현", 한국 컴퓨터 교육학회 논문지, 제3권 제2호, pp.31-37, 2000.
  4. 성태제, 문항반응이론의 이해와 적용, 교육과학사, 2001.
  5. 문종배, "IBM DB2 Intelligent Miner를 이용한 진단학습 시스템", 전북대학교 석사 논문, 2002. 2.
  6. 송은하외 3인, "문항반응이론에 의한 학습자 평가 시스템 설계 및 구현", 한국 컴퓨터 교육학회 논문지, 제6권 제2호, pp.1-8, 2003.
  7. 한상훈, "성인학습자의 교육 참여 동기와 자기주도 학습의 관계", 평생교육학연구 제9권 제3호, 2003.
  8. 한향숙 외 4명, "SCORM 기반의 e-Learning 시스템에서 적응형 학습자 수준 판단기법", 한국정보과학회 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30, No.1, pp.566-568, 2003. 4.
  9. Kwang-Hoon Kim , Hyun-Ah Kim, and Chang-Min Kim, "SCO Control Net for the Process-Driven SCORM Content Aggregation Model", ICCSA2005, pp.38-.47, 2005. 5.
  10. 조성호, "컴퓨터기반 시험 시스템 설계 및 구축",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제5권 제1호, pp.1-8, 2005.
  11. 최숙영, 양형정, 백현기, "문항반응 이론에 의한 컴퓨터 적응적 평가와 동적 학습내용 구성에 기반한 적응형 교수 시스템", 정보과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응용 제32권 제5호, 2005.
  12. 김은정, "웹기반 학습 시스템의 평가 문제에 대한 출제 방법 및 난이도 재조정에 대한 연구", 정보처리학회논문지 D, 제12-D권 제3호, pp.471-480, 2005. https://doi.org/10.3745/KIPSTD.2005.12D.3.471
  13. Xin Li,S and K. Chang, "A Personalized E-learning System Based on User Profile Constructed Using Information Fusion," The eleven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istributed Multimedia Systems (DMS'05), Banff, Canada. Sep., 5-7, pp.109-114, 2005.
  14. ADL (2006). SCORM 2004 3rd Edition Content Aggregation Model (CAM) Version1.0. SCORM 2004 3ED DocSuite.
  15. 방영주, "교사-학생간의 홈페이지를 활용한 자기주도적 학습의 효과", 영어어문교육 12권 3호, 2006.
  16. 강신천, 박혜진, "학습양식에 따른 개별화 학습 지원 시스템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열린교육연구 Vol.14, No.2, pp.101-122, 2006.
  17. 정영희, "학업성취도 분석을 통한 단계별 완전학습 시스템 구현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논문, 2008. 8.
  18. 정화영, 홍봉화, "효율적인 이러닝 시스템 개발을 위한 SCORM API 상호 연결", 한국통신학회논문지, Vol.33, No.12, 2008. 12, pp.441-446, 2008.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