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Children's Individual Variables and Maternal Parenting on Children's Playfulness

유아의 개인적 요인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1.03.31
  • Accepted : 2011.06.03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hildren's temperament, self-control and maternal parenting on children's playfuln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88 3-, 4- and 5- years 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s and pathway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sex, sociability temperament, self-control and maternal authoritarian parenting directly affected children's playfulness. Children's sex indirectly affected children's playfulness through children's activity level and self-control. Children's sociability and emotionality temperament indirectly affected children's playfulness through maternal authoritarian parenting. Maternal authoritarian parenting indirectly children's playfulness affected through children's self-control. Second, the most important variable predicting children's playfulness was maternal authoritarian parenting.

본 연구는 유아의 놀이성에 대한 유아의 기질과 자기통제의 개인적 특성과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교사-유아 관계의 직 간접적 영향을 경로분석을 통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시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3세, 4세, 5세 유아 288명과 그들의 어머니 288명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유아의 놀이성 척도(Barnett, 1990), 기질 척도(Buss & Plomin, 1984)와 자기통제 척도(이경님, 1997)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 척도(박주희, 2007)이다. 예비조사를 거쳐 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적률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하여 분석 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놀이성에 성, 사회성 기질, 자기통제 및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행동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성은 유아의 활동성 기질과 자기통제를 매개로, 사회성 기질은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행동을 매개로,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행동은 자기통제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놀이성에 정서성 기질은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행동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 영향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놀이성에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행동이 가장 큰 인과효과를 보였고 그 다음으로 유아의 사회성 기질, 자기통제, 정서성 기질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유아의 연령, 활동성 기질,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은 그 효과가 미약하였다. 이러한 결과로써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행동은 유아의 놀이성을 가장 저해하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아의 놀이성에 기질은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이 중 사회성 기질은 긍정적인 영향을, 부정적 정서성 기질은 부정적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유아의 놀이성에 유아의 자기통제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동아대학교

References

  1. 고소영. (2003). 유아의 창의성과 놀이성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김계숙. (2007). AMOS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서울: 한나래출판사.
  3. 김기순. (2002). 아버지의 양육행동 및 놀이성과 유아의 놀이성과의 관계.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김미정. (2010). 걸음마기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곽혜경. (1998). 유아의 기질, 유아가 제공한 통제계기, 어머니의 통제책략과 유아의 자기통제행동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6. 김근희. (2006). 유아의 놀이성과 또래 유능성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김나희. (2010). 어머니의 인성특성 및 유아의 기질과 과보호.통제적 양육행동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김민정, 엄정애. (2005). 유아의 혼자 놀이와 기질 및 문제행동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26(5), 1-14.
  9. 김영희. (1995). 아동의 놀이성 군(群)확인과 관련 변인 탐색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0. 김지혜, 김광웅. (2006). 유아의 놀이성과 정서능력과의 관계. 놀이치료연구, 9(1), 91-105.
  11. 류자혜. (2003). 유아의 놀이성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지각.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청구논문.
  12. 문인정. (2008). 만 5세 유아의 놀이성 및 환상성과 행동적 자기조절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박성연, 이숙. (1990). "어머니의 양육행동 척도" 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8(1). 146-156.
  14. 박성연, 한세영. (1996). 아동과 어머니의 기질적 조화/부조화에 따른 어머니의 일상적 양육 스트레스. 아동학회지, 17(1), 245-258.
  15. 박영태, 이경님. (2011).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교사-유아 관계가 자 기통제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6(1), 235-256.
  16. 박윤자. (2005). 어머니 양육행동과 유아의 자기조절력 및 놀이성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박주희. (2007). 구성놀이 질과 유아의 문제해결력 간의 관계 및 관련변인 연구. 성 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8. 박주희, 한석실. (2007). 유아의 놀이성과 가정환경과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7(2), 55-72.
  19. 박호선. (2002). 유아의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방식과 유아의 자기조절행동 발달 간의 관계.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 백수정. (2003). 부모화합도와 아동의 정서지능 및 놀이성과의 관계.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심숙영, 김점연. (2005). 유아의 놀이행동과 놀이성에 대한 보육 프로그램의 질 평가 변인예측.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1), 361-383.
  22. 우수경. (2008). 유아의 성, 기질, 정서능력 및 사회적 능력이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1), 259-280.
  23. 이경님. (1997). 인지적-행동적 자기통제훈련이 아동의 자기통제능력과 과제수행능력의 개선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 발달, 10(1), 125-145.
  24. 이경님. (2000). 아동의 자기통제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인간발달연구, 7(1), 99-120
  25. 이경님. (2001). 아동의 자기통제와 관련변인간의 인과관계 - 아동의 사려성, 자아개념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9(2), 97-110.
  26. 이경민. (2002). 유아의 지능, 감성지능, 창의성의 관계 및 관련변인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7. 이경실. (2004). 유아의 놀이성(Playfulness) 관련 연구 분석. 논문집, 24, 13-20.
  28. 이미라. (1999). 아동의 인지양식 및 어머니 양육행동과 아동의 욕구충족 지연행동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이숙재. (2004). 유아를 위한 놀이의 이론과 실제. 서울: 창지사.
  30. 이영순. (1999). 어머니 양육태도와 유아의 또래지위 및 자아지각과의 관계 분석.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1. 이주란, 이소은. (2004).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방식에 따른 유아의 자기통제력. 생활과학연구논총, 8(1), 93-115.
  32. 이지희, 문혁준 (2001).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적, 외적 요인 에 대한 구조 분석. 아동학회지, 31(3), 17-32.
  33. 임양미. (1994). 어머니 양육방식의 관련요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4. 장은정. (2001).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놀이성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5. 정인희, 황혜정. (2009). 만 3-5세 유아의 기질 측정을 위한 부모용 검사도구 개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4(5), 96-115.
  36. 정지영, 도현심, 최미경. (2005). 유아의 기질 및 부모의 언어적 통제 유형과 유아의 자기통제력 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6(6), 305-319.
  37. 조은옥. (2002). 유아의 기질에 따른 놀이성향과 놀이 행동에 관한 연구. 수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8. 천희영. (1991). 아동용 기질 측정도구의 개발 연구. 아동학회지, 12(2), 78-95.
  39. 최지현. (2001).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자기통제와의 관계. 계 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한미현. (2002). 유아의 창의성, 놀이성 및 정서지능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1. 허지은. (2005). 유아의 기질과 놀이성에 관한 연구. 성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2. 황윤세. (2006). 유아의 놀이성과 또래유능성 및 교사-유아 관계성간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1(2), 211-228.
  43. 황윤세. (2007). 유아의 기질, 자기조절력과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와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2(1), 145-166.
  44. 황윤세. (2008). 유아의 행동적 자기조절력과 정서지능이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3(6), 293-309.
  45. 황윤세, 최미숙. (2007). 기질 사회적 유능감이 유아 놀이성에 미치는 구조모형 분 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2(2), 49-66.
  46. Barnett, L. A. (1990). Playfulness: Definition, design, measurement. Play & Culture, 3, 319-336.
  47. Barnett, L. A. (1991). The playful child : Measurement of a disposition to play. Play & Culture, 4, 51-74.
  48. Buss, A. H., & Plomin, R. (1984). Temperament : Early developing personality traits. Hillsdale, NJ : Erlbaum.
  49. Bornstein, M. C. & Lamb, M. E. (2009) Developmental science, 발달과학.(곽금주, 김 민화, 신혜은, 김연수, 이새별, 이승진 공역). 서울: 학지사 (원판 2005).
  50. Coie, J. D., Dodge, D. A., & Kupersmidt, J. B. (1983). A behavioral analysis of emerging social status in boy's groups, Child Development, 54, 1400-1416. https://doi.org/10.2307/1129803
  51. Donovan, W. Z., Leavitt, I. A., & Walsh, R. O. (2000). Maternal illusory control predicts socialization strategies and toddler compliance. Developmental Psychology, 36, 402-411. https://doi.org/10.1037/0012-1649.36.3.402
  52. Humphrey, L. L. (1982). Children's and teacher's perspective on children's self-control : the development of two rating scale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0, 624-633. https://doi.org/10.1037/0022-006X.50.5.624
  53. Kendall, P. C. & Wilcox, L. E. (1979). Self-control in children : Development of a rating scale. Journal of Consulting & Clinical Psychology, 47(6), 1020-1029. https://doi.org/10.1037/0022-006X.47.6.1020
  54. Kail, R. V. (2007). Children and their development(5th). Pearson Prentice Hall.
  55. kochanska, G., & Aksan, N. (1995). Mother-child mutually positive affect, the quality of child compliance to requests and prohibitions, and maternal control as correlates of early internalization. Child Development, 66, 236-254. https://doi.org/10.2307/1131203
  56. Kochanska, G., Murray, K. T., & Harlan, E. T. (2000). Effortful control in early childhood: Continuity and change, antecedents, and implications for social development. Developmental Psychology, 36, 220-232. https://doi.org/10.1037/0012-1649.36.2.220
  57. Korn, S. J. (1984). Continuities and discontinuities in difficult/easy temperament: Infancy to young adulthood. Merrill-Parmer Quartery, 30(2), 189-199.
  58. Levin, H. & Wardwell, E., (1971). The research use of doll play. In R. E. Herron & B. Sutton-Smith(Eds.). Child's play(pp. 145-184). New York : John Willey & Sons.
  59. Lieberman, J. N.(1965). Playfulness and divergent thinking: An investigation of their relationship at the kindergarten level.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07, 219-224. https://doi.org/10.1080/00221325.1965.10533661
  60. Scarr, S., & McCartney, K. (1983). How people make their own environments: A theory of genotype environment effects. Child Development, 54, 424-435.
  61. Shiner, R., & Capsi, A. (2003). Personality differences in childhood and adolescent: Measurement, development, and consequence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4(1), 2-32. https://doi.org/10.1111/1469-7610.00101
  62. Thomas, A., & Chess, S. (1977). Temperament and development. New York: Brunner/Mazel.
  63. Van den Boom, D. C., & Hoeksma, J. B. (1994). The effect of infant irritability on mother-infant interaction: A growth -curve analysis. Developmental Psychology, 30, 581-590. https://doi.org/10.1037/0012-1649.30.4.5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