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국내 광물성 혼화재의 종류 및 혼입률에 따른 알칼리-실리카 반응 특성

Characteristics of Alkali-Silica Reaction according to Types and Substitution Ratios of Mineral Admixtures in Korea

  • 투고 : 2010.07.08
  • 심사 : 2010.10.20
  • 발행 : 2011.02.28

초록

국내에서는 알칼리-실리카 반응에 의한 피해사례가 거의 보고된 바 없었고, 골재의 품질도 양호한 것으로 알려져서 알칼리-실리카 반응에 대하여 안전하다고 평가되었다. 그러나 최근 국내 일부 고속도로 콘크리트 포장구간에서 알칼리-실리카 반응에 의한 피해 사례가 보고되어 알칼리-실리카 반응에 대한 대책과 억제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국내 콘크리트용 굵은골재를 대상으로 ASTM C 1260 촉진 모르타르 봉 시험방법을 이용하여 광물성 혼화재인 플라이애쉬, 고로슬래그미분말, 실리카퓸의 종류 및 혼입률에 따른 알칼리-실리카 반응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혼화재 무첨가의 경우 재령 14일에 실트암과 이암은 'potentially deleterious expansion'으로, 규장질유리질 응회암과 안산암-1은 'innocuous and deleterious'로 판정되었다. 플라이애쉬 10, 20, 30% 혼입의 경우 플라이애쉬 10%를 혼입한 이암을 제외한 모든 시험편에서 재령 14일에 'innocuous behavior'로 판정되었으며, 고로슬래그 미분말 30, 40, 50% 혼입의 경우에는 모든 시험편에서 재령 14일에 'innocuous behavior'으로, 실리카퓸 5, 7.5, 10%를 혼입한 경우에도 모든 시험편에서 재령 14일에 'innocuous behavior'로 판정되어 광물성 혼화재의 알칼리-실리카 반응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현장여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distresses of alkali-silica reaction (ASR) was recently reported at highway cement concrete pavement in Korea, which showed typical cracking and spalling patterns of ARS. Korea is was no longer safe zone against ASR, needding to find a control methodology against AS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provide a control methodology against ASR using mineral admixtures through a series of laboratory test program. Laboratory works included the accelerated mortar bar test (AMBT) by ASTM C 1260 regulation with five types of aggregate and three types of mineral admixtures (fly ash, ground granulated blast-furnace slag and silica fume). The result of ASTM C 1260 test for five types of aggregates without mineral admixtures showed that Siltstone and Mudstone were found to be "reactive." Tuff and Andesite-1 were found to be "possiblely reactive." In case of concrete mixed with 10, 20, and 30% fly ash, all specimens except Mudstone mixed with 10% FA were found to be "non-reactive". In cases of concrete mixed with 30, 40, and 50% ground granulated blast-furnace slag and 5, 7.5, and 10% silica fume, all specimens were found to be "non-reactive." These results could be selectively applied in constructions in Korea.

키워드

참고문헌

  1. Stanton, T. F., “Expansion of Concrete through Reaction between cement and aggregate,” Proc. Amer. Soc. of Civ. Engrs., Vol. 66, 1940, pp. 1781-95.
  2. 농어촌진흥공사 농어촌연구소, 콘크리트용 대체골재 개발에 관한 연구, 1994, pp. 168-174.
  3. 대한주택공사 주택연구소, 삼표산업, 콘크리트용 부순 모래의 실용화 연구, 1997, pp. 146-148.
  4. 윤경구, 김성권, 홍승호, 한승환, “시험방법에 따른 국내 골재의 알칼리-실리카 반응성 평가,” 콘크리트학회 논문집, 20권, 6호, 2008, pp. 689-696. https://doi.org/10.4334/JKCI.2008.20.6.689
  5. 윤경구, 홍승호, 한승환, “ASTM C 1260 실험에 의한 국내 골재의 알칼리-실리카 반응 팽창 특성,” 콘크리트학회 논문집, 20권, 4호, 2008, pp. 431-437. https://doi.org/10.4334/JKCI.2008.20.4.431
  6. 홍승호, “국내 콘크리트의 알칼리-실리카 반응에 대한 조사 및 억제 방안,”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pp. 125-155.
  7. 강원대학교, “알칼리-골재 반응 억제용 혼화재 물리적인 특성 및 반응성 골재 DB 구축 연구,”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연구용역 최종보고서, 2008, pp. 103-136.
  8. 국토해양부, “산업부산물 재활용 도로 포장 잠정지침,” 간행물등록번호 11-1611000-000055-01, 2008, pp. 9-32.
  9. ASTM C 1260, “Standard Test Method for Potential Alkali Reactivity of Aggregates (Mortar-Bar Test),”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2002, pp. 1-5.

피인용 문헌

  1. Characteristics of alkali–silica reaction according to substitution ratios of limestone powder in cement mortar vol.19, pp.sup8, 2015, https://doi.org/10.1179/1432891715Z.0000000001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