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지역산업연관모델을 중심으로-

Economic Impact of Andong Maskdance Festival -using Regional Input-Output Model-

  • 이지석 (세명대학교 국제통상학과)
  • 투고 : 2001.09.07
  • 심사 : 2010.12.22
  • 발행 : 2011.01.28

초록

본 연구는 지역축제가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기여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는 시점에, 산업연관모델을 이용하여 '2008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지역축제의 총 경제성 분석을 위해 한국은행(2009)에서 직접조사를 통해 작성한 '지역산업연관표'를 사용하여 산업승수(생산유발계수, 수입유발계수, 부가가치유발계수)를 도출하였다. 산업연관모델을 이용하여 2008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개최로 안동지역에 미치는 총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한 결과, 축제기간중 방문객의 총 지출액인 237억 5천만원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생산유발효과는 309억 6천만원으로 평가되었고, 수입유발효과는 158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는 143억 1천만원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은 보편적인 문화유산인 '탈'이라는 컨셉을 잘 살린 축제기획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이러한 지역축제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은 지역축제를 기획하는 지방자치단체에게 의미 있는 시사점을 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estimate the economic impact of 2008 Andong Maskdance Festival, using an Input-Output(I-O) model. For the research, the Regional Input-Output analysis was used, which makes it easy to grasp the economic impact of the tourism industry and other industries in Andong. Based on the regional I-O transactions tables which were developed by Bank of Korea(2009), the industry multipliers were derived with respect to output, income, and value-added. The results show that in 2008 Andong Maskdance Festival receipts generated output impact of 30,961 million won and 15,800 million won of income impact, 14,310 million won of value-added impact, respectively. I think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n objective indicator to help to establish and implement regional festival policies for the local govern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D. Getz, "Festivals, Special events, and Tourism," New York: Van Nostrand Reinhold, 1991.
  2. 야은숙, “민속축제의 문화관광자원화 방안연구”, 여행학연구, 제6호, pp.153-178, 1997.
  3. 이충기, 서태양, 박종구, “2007경주세계문화엑스포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관광연구, 제23권, 제1호, pp.63-79, 2008.
  4. 이충기, “월드컵 외국인방문객의 실제 관광지출액 추정과 그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관광학연구, 제26권, 제4호, pp.11-26, 2003.
  5. 이희재,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안동개발연구, 제11집, pp.153-185, 2000.
  6. 한지훈, “지역축제 서비스 품질의 만족이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안동국제탈춤 페스티벌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7. 최성관, “지역이벤트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경제연구, 제24권, 제4호, pp.19-40, 2006.
  8. 최성관, 배만규, 전영록, 권오인,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2008 조사연구”, 연구보고서 2008-1, 안동대학교 지역사회발전연구소, 2008.
  9. 오정근, “축제의 의미부여와 의미구조: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의 이해집단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10. 이정재, “축제 콘텐츠의 문화원형적 구성요소에 대한 연구: 2008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1. 이재만, “지역축제 체험프로그램 만족이 재방문 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9호, pp.370-379,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9.370
  12. 한국은행, 2007년 산업연관표, 한국은행, 2009.
  13. 한국은행, 2005년 지역산업연관표, 한국은행, 2009.

피인용 문헌

  1. Work disincentive perception and welfare state attitudes: Survey experiment in South Korea pp.1468-0491, 2019, https://doi.org/10.1111/gove.123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