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Investigation into Students' Perception of Problem-Based Learning Implemented in Middle School Open-Inquiry Program

문제 중심 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탐색: 중학교 1학년 과학 자유탐구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1.03.16
  • Accepted : 2011.07.28
  • Published : 2011.08.30

Abstract

Problem-based learning (PBL) is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strategy for enhancing students' motivatio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reativity. Its educational values coincide with the aim of open-inquiry activity introduced in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rom this aspect we designed the PBL open-inquiry program and implemented to 202 first year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for one semester. We developed an energy related PBL problem. The program was designed in four steps: 'understand the problem,' 'investigate information,' 'solve the problem,' and 'present and evaluate the result.' Through the program, students did such activities as 'make Know/need to know chart,' 'group discussion,' 'search information,' and 'preparation of group report.' After completing the program, a surve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students' perception of the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40.6% of students showed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program. Especially, students responded that 'make Know/need to know chart' was very useful. However, some students responded that 'search information' and 'preparation of group report' were difficult to perform. Second, male students showed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PBL program compared to female students. Also students had higher scores in attitude toward science,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PBL program.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ttitude toward science and perception of PBL steps. Based on survey results, some suggestions were made for teachers who were planning to implement PBL in open-inquiry program.

본 연구에서는 문제 중심 학습(problem-based learning, PBL) 전략의 자기 주도적인 수업 방식과 교육적 효과가 2007 개정 교육 과정에 도입된 자유 탐구의 목적과 부합한다는 측면에서 PBL을 적용한 자유탐구 수업 전략을 개발하고, 이를 한 학기 동안 경기도에 있는 두 개의 중학교 1학년 학생 202명을 대상으로 적용해 보았다. 에너지를 주제로 PBL 문제를 개발하였고, ‘‘문제 이해하기’, ‘탐색하기’, ‘문제 해결하기’, ‘발표 및 평가하기’의 4단계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을 통하여 학생들은 ‘문제 해결 계획표 작성하기’, ‘토의하기’, ‘자료 조사하기’, ‘보고서 작성하기’의 활동을 수행하였다. 자유 탐구 수업 시작전에 가설생성능력 검사와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를 시행하였고, 수업이 모두 끝난 후 설문을 통하여 학생들의 PBL 수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학생의 40.6%가 PBL 수업에 대하여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냈으며 특히, 학생들은 ‘문제 해결 계획표 작성’이 유용했다고 응답하였다. 하지만, 학생들은 ‘자료 조사’와 ‘보고서 작성’이 어려웠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남학생들이 여학생들보다 PBL 수업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과학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PBL 수업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셋째,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는 PBL 수업에 대한 인식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p<.01).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가 PBL 수업을 자유탐구에 적용하고자 할 때 고려해야 할 점들을 제안해 보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애, 김선자 (1998). PBL에 의한 수업 설계와 적용: 초등사회과 수업사례. 교육공학연구, 14(3), 1-31.
  2. 강숙희 (2008). 중학교 과학교과에서의 실시간 PBL 사이버 수업이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4(1), 51-72.
  3. 교육과학기술부 (2007). 제 7차 개정 교육과정: 과학과 교육과정 및 해설.
  4. 김경희 (2008). 문제 중심 학습(PBL)의 수업 단계별 학습활동의 특성과 교육적 의미 탐색. 초등교육연구, 21(1), 269-296.
  5. 김희경, 윤희숙, 이기영, 조희형 (2010). 2007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자유탐구' 에 대한 중등과학교사의 인식. 중등교육연구, 58(3), 213-235.
  6. 박성희, 조규성 (2006). 제 7차 교육과정 10학년 과학교과서 '지구' 영역의 탐구활동 분석. 과학교육논총, 31집, 75-82.
  7. 박수경 (2004). 환경단원 수업을 위한 문제중심학습 설계 및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25(4), 205-213.
  8. 박은미 (2006). 귀추에 근거한 가설-연역적 수업프로그램이 창의적 사고와 비판적 사고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서경선 (2002). 웹 활용 문제 중심 학습 모형의 실증적 효과. 교육방법연구, 14(2), 45-68.
  10. 손영식 (2000). 과학과 교수-학습 개선에 관한 연구. 연구논총 경기도 교육연구정보원, 12(9), 165-191.
  11. 심규철, 김현섭, 박영철 (2002). 제 7차 교육과정7학년 과학 교과 생명 영역의 탐구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550-559.
  12. 심재호, 신명경, 이선경 (2010). 2007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의 실행에 관한 과학 교사의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1), 140-156.
  13. 윤회정 (2009). 문제중심학습(PBL) 전략의 개발과 적용 및 그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윤회정, 우애자 (2009). PBL과 온라인 토론을 적용한 방과 후 실험수업의 효과. 열린교육연구, 17(4),147-169.
  15. 이용섭 (2009). 초등 예비 교사의 자유탐구 방법에 대한 선호도 및 실행 결과 분석. 초등과학교육, 28(4), 440-449.
  16. 이진형, 고석범 (2007). 제 7차 과학교육과정에 의한 고등학교 화학I 교과서 비교 분석. 과학교육논총, 32집, 91-102.
  17. 임성만, 양일호, 김순미, 홍은주, 임재근 (2010). 초등 예비교사들이 자유 탐구 활동 중에 겪은 어려움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2), 291-303.
  18. 전민지, 전영석 (2009). 초등학교 과학 자유탐구 지도전략의 고안과 적용. 국제과학영재학회지, 3(1), 67-74.
  19. 조연순, 성진숙, 체제숙, 구성혜 (2000). 창의적 문제 해결력 신장을 위한 초등과학교육과정 개발 및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 307-328.
  20. 차정호, 이혜인, 김유정, 노태희 (2006).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성별에 따른 협동적 문제해결학습의 효과. 열린교육연구, 5(1), 1-15.
  21. 최경희, 김경미 (2001). 여학생에게 친근한 과학 학습 내용 및 방법을 적용한 수업이 여학생들의 과학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1), 149-159.
  22. 홍기칠, 김세찬 (2004). 웹기반 문제 중심 학습이 자기주도적 학습력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육대학교 논문집, 39, 537-571.
  23. Allen, D. E., Duch, B. J., & Groh, S. E. (1996). The power of problem-based learning in teaching introductory science course. New Direc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68, Winter, 43-52.
  24. Barrows, H. S. (1985). How to design a problem-based curriculum for the preclinical years.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5. Barrow, H. S. (1992). The tutorial process. Springfield, IL: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26. Barrows, H. S., & Myers, A. C. (1993). Problem-based learning in secondary schools. Unpublished monograph. Springfield, IL, Problem-based Learning Institute. Lanphier high school and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Medical School.
  27. Bude, L., Imbos, T., Wiel, M. W. v. d., Broers, N. J., & Berger, M. P. F. (2009). The effect of directive tutor guidance in problembased learning of statistics on students' perceptions and achievement. Higher Education, 57, 23-36. https://doi.org/10.1007/s10734-008-9130-8
  28. Caplow, J. H., Donaldson, J. F., Kardash, C. A., & Hosokawa, M. (1997). Learning in a problem-based medical curriculum: students' conceptions. Medical Education, 31(6), 440- 447. https://doi.org/10.1046/j.1365-2923.1997.00700.x
  29. Delisle, R. (1997). How to use problembased learning in the classroom.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30. Gallagher, S. A., Stepien, W. J., & Rosenthal, H. (1992). The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on problem solving. Gifted Child Quarterly, 36(4), 195-200. https://doi.org/10.1177/001698629203600405
  31. Hassan, G. (2008). Attitudes toward Science among Australian terti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Research in Science & Technological Education, 26(2), 129-147. https://doi.org/10.1080/02635140802034762
  32. Hung, W., Bailey, J. H., & Jonassen, D. H. (2003). Exploring the tensions of problembased learning: Insights from research. New Direc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95, Fall, 13-23.
  33. IMSA (1996). PBL Network: Collaborative Inquiry in Action, Retrieved from .
  34. Lieux, E. M. (2001). A skeptic's look at PBL. In B. J. Duch, S. E. Groh, & D. E. Allen (Eds.), The power of proble-based learning: A practical 'how to'for teaching undergraduate courses in any discipline. Sterling, VA: Stylus Publishing.
  35. Martin, K. J., Chrispeels, J. H., & D'eidio- Caston, M. (1998). Exploring the use of problem-based learning for developing collaborative leadership skills. Journal of school Leadership, 8, 470-500.
  36. Neuman, L. H., Pardue, K. T., Grady, J. L., Gray, M. T., Hobbins, B., Edelstein, J., & Herrman, J. W. (2009). What does an innovative teaching assignment strategy mean to nursing students?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 30(3), 159-163.
  37. Randall, G. J. (1987). Gender differences in pupil-teacher interactions in workshops and laboratories. In G. Weiner & M. Arnot (Eds.) Gender under scrutiny. Milton Keynes: Open University Press.
  38. Savin-Baden, M., & Major, C. H. (2004). Foundations of problem-based learning. Society for Research into Higher Education. NY: Open University Press.
  39. Shepherd, N. G. (1998). The probe method: A problem-based learning model's affect on critical thinking skills of fourth and fifth grade social studies students.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Section A: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59(3-A): 0779.
  40. Torp, L., & Sage, S. (2002). Possibilities; problem-based learning for K-16 education,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41. Vernon, D. T. A., & Blake, R. L. (1993). Does problem-based learning work? A metaanalysis of evaluative research. Academic medicine, 68(7), 550-563. https://doi.org/10.1097/00001888-199307000-00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