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Acid-Base Related Concepts Using Three Different Neutralization Titration Technologies

세 가지 다른 중화적정 실험 방법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산.염기 관련 개념의 이해 분석

  • Received : 2011.02.22
  • Accepted : 2011.09.27
  • Published : 2011.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acid-base related concepts using three different titration technologies. The test population was composed of 209 students from three classes in the 10th grade. The different titration experiments using indicator, or pH-meter or MBL were performed in each class unit, respectively. The analyses of the effect on the understanding of different titration technologies were carried out by comparing the mean scores of the concept test taken before and after the titration for the three groups. The results of the acid-base related concept test indicated that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were shown by all groups. Comparing the effect on the comprehension of the three groups, the MBL group showed the most significant effect, while the pH-meter group showed the least significant. It was also attempted to analyze the effect on comprehension of the concepts by the cognitive and the motivational levels of students.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students in the formal operation stage showed higher understanding of the acidbase related concepts, while those in the concrete operation stage showed lower comprehension. It was also shown that the students at the active motivational level scored higher in comprehension than those who had a low sc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d that each group showed differently enhanced comprehension of concepts by titration technologies. Therefore, teachers need to promote an appropriate experiment technology for the cognitive and motivational levels of students as well as try to help students express freely their own perspectives.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중 세 가지 다른 중화적정 실험 방법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산 염기 관련 개념의 이해 분석 873 화적정 방법에 따른 산 염기 및 중화반응 개념의 이해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세 개의 집단은 각각 지시 약, pH미터, MBL을 이용하여 중화적정 실험을 하도록 하였다. 각 집단별로 중화적정 실험 수업을 하기 전과 후에 산 염기 및 중화반응 개념 검사를 하여 그 향상 정도를 알아본 후 고등학생들이 산 염기 및 중화반응에 대한 과학적인 개념을 형성하는데 효과적인 실험 방법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세 집단 모두 중화적정 실험 수업을 마친 후 사후검사에서 개념 이해에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지만 그 중에서도 MBL을 이용한 집단의 향상도가 가장 높았고 pH미터를 이용한 집단의 향상도가 가장 낮았다. 적극적인 동기 유형을 가진 학생들이 소극적인 학생들보다 사전검사 및 사후 검사 점수는 높았지만 평균 점수 차이를 볼 때 소극적인 학생들의 개념 이해의 향상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적극적인 학습 동기를 갖는 학생들은 개념 이해에 있어서 실험 방법에 의존하지 않지만 소극적인 학생들은 그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MBL을 사용할 때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인지수준에 따른 개념 이해 정도에서는 인지수준이 높을수록 산 염기 관련 개념 이해 정도가 높았다. 그리고 중화적정 실험 수업을 하기 전과 후의 개념 이해 향상 정도는 과도기를 포함한 구체적 조작기 학생들이 가장 큰 폭으로 상향변화 하였다. 각 집단별 인지수준과 학습동기에 따른 개념 이해를 비교해보면 적정 방법에 따라 향상 정도에 차이가 있었으므로 학습자의 인지수준과 동기 유형에 따라 적절한 실험 방법을 선택해 줌으로써 학생들의 개념 이해의 어려움을 최소화하도록 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순희, 조성아(1999).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산.염기 이해 조사. 대한화학회지, 43(6), 707-719.
  2. 구양삼, 박금홍, 최병순, 신애경, 이국행(2007). 토론을 강조한 MBL실험 수업에서 리더유형에 따른 언어적 상호작용 특성. 대한화학회지, 50(6), 494- 505.
  3. 구혜원(1993). 과학과 수업에 적용한 MBL실험 방식의 효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권소현, 최병순(2002). 고등학교 학생들의 인지양식과 인지 수준이 화학 문제 해결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132-140.
  5. 남정희, 김성희, 강순희, 박종윤, 최병순(2002). 변인통제 문제해결 활동에서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따른 상호작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110-121.
  6. 문홍무, 최병순(1987). 고등학생의 지적 발달 수준과 화학 내용이 요구하는 조작 수준과의 관계 연구. 화학교육, 14(2), 116-127.
  7. 박금홍, 구양삼, 최병순, 신애경, 이국행, 고석범 (2007).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의 MBL실험에 대한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1), 59-63.
  8. 박금홍, 구양삼, 최병순, 신애경, 이국행, 고석범 (2008),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MBL실험 수업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4), 331-339.
  9. 박상용, 박재근, 여상인(2006). 과학실험 수업에서 MBL의 적용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과학관련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초등과학교육, 25(4), 454-464.
  10. 박종윤, 강순희, 김선영, 김성희, 김인주, 이자현 (1993). 고등학교 화학 교과서 내용이 요구하는 과학적 사고력 수준과 학생들의 인지수준 비교연구(제1보). 대한화학회지, 37(4), 285-296.
  11. 백성혜, 김혜경, 채우기, 권균(1999). 학습 동기에 따른 학습자의 개념 변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1), 91-99.
  12. 신애경(2006). MBL 실험 수업의 소집단 활동에서 나타난 학생들의 언어적 상호작용 특성.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신영민, 김현경, 최병순(2010). 학습자의 인지수준 및 학습 동기 유형에 따른 자유주제 과학탐구의 효과 및 탐구 단계별 상호작용 특성. 30(5), 533-543.
  14. 유은희, 임희영, 강성주, 최병순(2008). MBL을 활용한 산-염기 적정 실험에서의 학생 간 언어적 상호작용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1), 67-74.
  15. 임희준, 노태희 (2001). 이질적으로 구성된 소집단 협동학습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4), 668-676.
  16. 최미화(2002). 'Thinking Science'활동이 중학 생의 인지 가속에 미치는 효과 및 인지 수준과 동기 유형에 따른 'Thinking Science' 문제 해결 과정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홍현수(2001). 변인통제에 관한 과학 수업에서 학생들의 동기 수준에 따른 언어적 상호작용의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Adey, P., & Shayer, M.(1994). Really raising standards. Routledge: London and New York.
  19. Anderman, E. M. & Young, A. J.(1994). Motivation and strategy use in science: Individual differences and classroom effec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8), 811-831. https://doi.org/10.1002/tea.3660310805
  20. David, W. R., Keith, B. L., & Campbell, J. M.(2004). Role of the microcomputer-based laboratory display in supporting the construction of new understandings in thermal physic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2), 165-185. https://doi.org/10.1002/tea.10129
  21. Lapp, D. A., & Cyrus, V. F.(2000). Using data-collection devices to enhance students' understanding. Mathematics Teacher, 93, 504- 511.
  22. Linn, M. C., & Songer, N. B.(1991). Teaching thermodynamics to middle school students: What are appropriate cognitive demand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8(10), 885-918.
  23. Nakhleh, M. B., & Krajcik, J. S.(1993). A protocol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technology on students'actions, verbal commentary, and thought processes during the performance of acid base titration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0(9), 1149-1168. https://doi.org/10.1002/tea.3660300911
  24. Nakhleh, M. B., & Krajcik, J. S.(1994). Influence on levels of information as presented by different technologies on students' understanding of acid, base, and pH concep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10), 1077-1096. https://doi.org/10.1002/tea.3660311004
  25. Roadrangka, V., Yeany, R. H., & Padilla, M. J.(1983). Th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group assessment of logical thinking(GALT).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RST.
  26. Settlage, J. Jr.(1995). Children' s conceptions of light in the context of a technology-based curriculum. Science Education, 79(5), 535-553. https://doi.org/10.1002/sce.373079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