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Level of High School Physics Teacher's Understanding of Fundamental Physical Constants and Their Educational Application

기본물리상수에 대한 고등학교 물리교사의 인식 수준 및 교육적 활용 인식 연구

  • Received : 2011.02.10
  • Accepted : 2011.08.22
  • Published : 2011.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high school physics teachers perceive and understand fundamental physical constants as well as how they explain them and what methods they currently use in class. This study developed a questionnaire survey to recognize physics teachers' level of understanding of fundamental physical constants, which were measured by many scientists and contributed the to generation and improvement of scientific theories. Those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nducted among 130 high school physics teacher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mong them, 124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six were interviewed. The content of the survey consists of three parts: (i) basic questions about teachers, (ii) questions to measure the teachers' understanding of fundamental physical constants, and (iii) questions about the educational use of fundamental physical constants. The survey was distributed via e-mail, and respondents submitted their responses via e-mail as well.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30 minutes each, and all interviews were recorded, transcribed and analyzed twice.

본 연구는 기본물리상수의 교육적 활용 실태를 탐색하기 위하여 문헌연구를 통해 기본물리상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로 수치, 크기, 단위, 차원, 탄생배경 및 측정실험, 물리적 의미를 제안하고, 각각의 측면에서 고등학교 물리 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나아가 계층적 분석과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을 통해 각각의 기본물리상수 별로 강조되는 구성요소의 상대적 중요도를 결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기본물리상수에 대한 고등학교 물리교사들의 인식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검사도구를 개발하여 서울, 경기, 인천 소재 고등학교 물리교사 124명을 대상으로 기본물리상수에 대한 인식 수준과 교수-학습에의 적용에 대한 인식을 설문조사하였다. 또한, 설문 내용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구체적인 교수 전략을 알아보기 위하여 교사 6명과의 면담을 시행하였다. 면담 결과 교사들의 기본물리상수에 대한 인식과 구체적인 교육적 활용 실태를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희, 허명 (2005). 과학사 도입 수업이 과학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효과 - 7학년 '생물'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7), 765-772.
  2. 김재영 역(2000). Saichou, T. (1997). 물리 상수는 어떻게 생겨났을까. 도서출판 아카데미서적.
  3. 권순애 (2009).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 나오는 유도단위에 대한 9학년 학생들의 이해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박종철 (1989). 기본물리상수와 측정표준. 측정표준, 12(1), 6-10.
  5. 브리태니커 백과. http://www.britannica.com/ EBchecked/topic/458656/physical-constant
  6. 서정아, 박승재 (2003). 중학생의 속력과 밀도에 대한 어림 및 측정활동이 관련사항 이해와 능력함양에 미치는 영향. 새물리, 46(6), 305-313.
  7. 송진웅, 김혜선 (2001). 기본물리량 어림의 정확성 및 방법에 대한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3), 229-238.
  8. 이성묵 (1988). '태양상수 측정' 지도의 의의와 방법 -사범대학과 고등학교 교육 및 산업분야 응용을 연관시킨 물리교과 내용 개발의 한 모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8(1), 73-79.
  9. 이은지 (2007).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고등학교 과학교과서의 STS 내용분석 - 생물영역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이충희 (1989). 기본물리상수와 첨단기술, 측정표준, 12(1), 2-4.
  11. Born, M. (1943), Experiment and Theory in Phys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p.44.
  12. Karshenboim, S G. (2005a). Fundamental physical constants: Looking from different angles. Canadian Journal of Physics, 83(8), 1, 767-811.
  13. Karshenboim, S. G. (2005b). Fundamental physical constants: Their role in physics and metrology and recommended values. Physics- Uspekhi, 48(3), 255. https://doi.org/10.1070/PU2005v048n03ABEH002053
  14. Khuz, K. S. (1971). Visualizing large numbers. American Journal of Physics, 39, 452.
  15. Matthews, M. R. (1994). Science Teaching: The Role of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New York: Routledge.
  16. Saaty, T. L. (1990). How to make a decision: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48, 9-26. https://doi.org/10.1016/0377-2217(90)90057-I
  17. Schofield, B. (1989). Use of apparatus and measuring instruments. In Dept. of Education & Science, Science at Age 13: A Review of Assessment of Performance Unit Survey Findings, 1980-84, (pp. 55-74). London: Her Majesty's Stationery Office 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