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s of Inquiry Learning-Based Analogical Experiments on Experimental Design Processes of Science-Gifted Students

비유 실험을 활용한 탐구학습이 과학영재의 실험설계 과정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1.06.08
  • Accepted : 2011.08.23
  • Published : 2011.10.31

Abstract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alogical experimental activities to foster scientific creativity in inquiry learning and applied them to 7th grade science-gifted students. The influences of inquiry learning-based analogical experiments were investigated with respect to the experimental design processes. We classified the patterns of experimental design processes by creative thinking processes and analyzed performance levels by the elements of experimental design processes. The students' experimental design process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kinds of patterns such as reinitiated motion, backward-divergent motion and stationary motion. Those belonging to the reinitiated motion performed precise experimental design from new perspectives by identifying the mapping in depth and considering the elements of experimental design processes. In the case of the backward-divergent motion, they shifted their positions to new directions, but the concreteness of experimental design was insufficient due to the lack of mapping or considering the elements. In the type of stationary motion, maintaining their previous positions, they showed less performance of experimental design without considering the elements sufficiently. Educational implication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이 연구에서는 탐구학습에서 과학적 창의성을 계발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비유 실험 활동을 개발, 적용하여 비유 실험을 활용한 탐구학습이 중학교 1학년 과학영재 학생들의 실험설계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과학영재 학생들의 실험설계 과정을 창의적 사고과정의 유형에 따라 분류하고 각 유형에 따른 특징 및 실험설계 과정요소별 수행수준을 분석하였다. 비유 실험을 활용한 실험설계 과정의 유형은 확장이동형, 후진-확산이동형, 제자리이동형의 세 가지 유형이 나타났다. 확장이동형은 대응 관계를 심층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새로운 관점에서 전반적으로 모든 과정요소를 고려하며 정교한 실험설계를 수행하였다. 후진-확산이동형은 비유 실험을 활용해 새로운 방향으로 관점을 전환하지만 대응의 수준이나 과정요소에 대한 고려에 미흡한 부분이 있어 실험설계의 구체성이 다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자리이동형은 기존의 관점을 새로운 문제 상황에 그대로 적용하고 필요한 과정요소를 고르게 고려하지 못하며 적절한 실험설계를 수행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순, 양찬호, 노태희 (2009). 화학 개념학습에서 역할놀이 비유가 대응 관계 이해도 및 대응 오류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8), 898-909.
  2. 김유정 (2011). 과학영재를 위한 비유 생성 수업 전략의 개발 및 적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3. 김유정, 문세정, 노태희 (2009). 크로마토그래피 개념에 대해 중학교 과학영재가 만든 비유의 유형과 대응 오류 및 비유 만들기 활동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8), 861-873.
  4. 김종백 (2006). 과학영재를 위한 교수-학습 전략. 영재와 영재교육, 5(2), 19-32.
  5. 노태희, 양찬호, 강훈식 (2010). 초등학교 5학년 과학영재와 일반 학생들의 포화 용액 개념에 대한 비유 만들기 과정의 유형과 비유 만들기에 대한 인식. 초등과학교육, 29(2), 219-232.
  6. 류설진 (2009). 생물학자와 과학영재의 실험설계 활동에서 나타나는 과정요소와 특성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7. 박종원 (2004). 과학적 창의성 모델의 제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2), 375-386.
  8. 박지영, 이길재, 김성하, 김희백 (2005). 과학영재 교육 프로그램 분석 모형의 고안과 국내의 과학영재를 위한 생물프로그램의 실태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3(1), 122-131.
  9. 성은현 (2001). 심상적 사고를 통한 창의력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14(1), 161-180.
  10. 유지연, 박연옥, 양찬호, 노태희 (2011). 과학영재들의 적용실험 설계 과정에서 나타나는 과정요소 및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4), 528-538.
  11. 정현철, 한기순, 김병노, 최승언 (2002). 과학 창의성 개발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이론과 예시를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3(4), 334-348.
  12. Arce, J., & Betancourt, R. (1997). Studentdesigned experiments in scientific lab instruction. Journal of College Science Teaching, 27(2), 114-118.
  13. Baer, J. (1998). The case for domain specificity of creativity.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1(2), 173-177. https://doi.org/10.1207/s15326934crj1102_7
  14. Darius, P. L., Portier, K. M., & Schrevens, E. (2007). Virtual experiments and their use in teaching experimental design. International Statistical Review, 75(3), 281-294. https://doi.org/10.1111/j.1751-5823.2007.00028.x
  15. Duit, R., Roth, W., Komorek, M., & Wilbers, J. (2001). Fostering conceptual change by analogies: Between scylla and charybdis. Learning and Instruction, 11(4), 283-303 https://doi.org/10.1016/S0959-4752(00)00034-7
  16. Etkina, E., Karelina, A., Ruibai-Villasenor, M., Rosengrant, D., Jordan, R., & Hmelo- Silver, C. E. (2010). Design and reflection help students develop scientific abilities: Learning in introductory physics laboratories.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19(1), 54-98. https://doi.org/10.1080/10508400903452876
  17. Etkina, E., Murthy, S., & Zou, X. (2006). Using introductory labs to engage students in experimental design. American Journal of Physics, 74(11), 979-986. https://doi.org/10.1119/1.2238885
  18. Han, K. (2000). Varieties of creativity: Investigating the domain-specificity of creativity in young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Nebraska, NE.
  19. Hu, W., & Adey, P. (2002). A scientific creativity test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4), 389-403. https://doi.org/10.1080/09500690110098912
  20. Karelina, A., & Etkina, E. (2007). Acting like a physicist: Student approach study to experimental design. Physics Education Research, 3(2), 1-12.
  21. Kipnis, N. (2005). Scientific analogies and their use in teaching science. Science and Education, 14(3), 199-233. https://doi.org/10.1007/s11191-004-6406-y
  22. Matthew, B. M., & Huberman, A. M. (1994). Qualitative data analysis: An expanded sourcebook. Thousand Oaks, London, New Delhi: SAGE Publications.
  23. Mayo, J. A. (2001). Using analogies to teach conceptual applications of developmental theories. Journal of Constructivist Psychology, 14(3), 187-213. https://doi.org/10.1080/10720530126292
  24. Rule, A. C., & Furletti, C. (2004). Using form and function analogy object boxes to teach human body system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4(4), 155-169. https://doi.org/10.1111/j.1949-8594.2004.tb18237.x
  25. Singer, J. E., Wu, H., & Tal, R. (2003). Students'understanding of the particulate nature of matter.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3(1), 28-44. https://doi.org/10.1111/j.1949-8594.2003.tb18111.x
  26. Snir, J., Smith, C. L., & Raz, G. (2003). Linking phenomena with computing underlying models: A software tool for introducing students to the particulate model of matter. Science Education, 87(6), 794-830. https://doi.org/10.1002/sce.10069
  27. Solomon, J. (1980). Teaching children in the laboratory. London: Croom Helm.
  28. Sternberg, R. J., Kaufman, J. C., & Pretz, J. E. (2002). The creativity conundrum: A propulsion model of kinds of creative contributions. New York: Psychology Press.
  29. Treagust, D. F., Harrison, A. G., & Venville, G. J. (1998). Teaching science effectively with analogies: An approach for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9(2), 85-101. https://doi.org/10.1023/A:1009423030880
  30. Wellington, J. (2004).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Which way now? London: Routledge.

Cited by

  1. 이해와 검토 단계를 강조한 비유 실험 설계 전략을 활용한 탐구수업에서 나타나는 과학영재 사이의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vol.32, pp.4, 2011,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4.671
  2. 발성사고법을 이용한 학생들의 과학 글쓰기 과정 탐색 vol.33, pp.5, 2011,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5.881
  3. 주장하는 글쓰기에서 나타나는 글쓰기 과정 요소 및 글쓰기 전략 연구 vol.33, pp.7, 2011,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7.1418
  4. 과학 영재들의 학습양식에 따른 소집단 구성이 언어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탐색 vol.58, pp.4, 2011, https://doi.org/10.5012/jkcs.2014.58.4.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