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es of Secondary Science Teachers' Needs for Mentoring Programs Improving Their Professionalism in Science-Gifted Education

중등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 분석

  • Received : 2011.06.08
  • Accepted : 2011.09.28
  • Published : 2011.10.31

Abstract

In this study, we analyzed secondary science teachers' needs for mentoring programs improving their professionalism in science-gifted education.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111 teachers who had experience in teaching science-gifted secondary students in Seoul. Analyses of the results indicated that most teachers needed the mentors' support in science content knowledge, knowledge of beliefs about science-gifted education, knowledge of science-gifted students, knowledge of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science-gifted education, knowledge of curriculum for science-gifted education, knowledge of assessment in science-gifted education, and knowledge of external factors influencing in implementing science-gifted education. Most teachers, especially having the perceptions of lower levels of professionalism, relatively needed more mentors' support in the knowledge of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science-gifted education and the knowledge of assessment in science-gifted education. Most teachers wanted the mentors' supports for all subcategories of professionalism at the planning stage of the classes, and some did the support for some subcategories at the performance stage and the reflection-evaluation stage of the classes. They also relatively wanted more mentors' support for all subcategories of professionalism through lectures and/or group discussions, some did the support through face-to-face interviews and/or real-time or non real-time online interviews. They variously responded in the suitable ratio of mentors and mentees, and perceived positively the qualities required to mentor as well as the necessary factors for the effective use of mentoring.

이 연구에서는 중등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를 분석했다. 서울특별시에서 중등 과학영재수업을 진행한 경험이 있는 교사 11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 많은 교사들이 과학내용 지식, 과학영재교육 신념에 관한 지식, 과학영재학생에 관한 지식, 과학영재 교수전략에 관한 지식, 과학영재 교육과정에 관한 지식, 과학영재교육 평가에 관한 지식, 과학영재교육 관련 외부 요인에 관한 지식 측면에서 멘토의 도움을 받기를 원했다. 그 중에서도 과학영재 교수전략에 관한 지식과 과학영재교육 평가에 관한 지식 항목에 대한 요구도가 비교적 높았는데, 그런 경향성은 전문성 수준에 대한 인식이 낮은 교사일수록 약간 강했다. 수업 준비 단계에서 전문성의 모든 하위 항목에 대한 멘토링 요구가 가장 많았으며, 수업 진행 단계와 반성 및 평가 단계에서도 일부 하위 항목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전문성의 모든 하위 항목에서 강의나 집단 협의회 형태의 멘토링을 원하는 경우가 비교적 많았으며, 일부 교사들은 면대면 면담이나 온라인상에서의 실시간 또는 비실시간 면담 형태의 멘토링을 원하기도 했다. 적합한 멘토와 멘티의 비율에 대해서는 다양한 응답이 있었으며, 대부분의 교사들이 멘토에게 필요한 자질과 멘토링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 필요한 요인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문숙, 이순덕, 최정희, 남정희 (2009). 초임 과학교사의 반성적 실천을 위한 협력적 멘토링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5), 564-579.
  2. 곽영순 (2010). 멘토링 전후의 초임 과학교사의 수업 특징 변화. 한국지구과학회지, 31(4), 403-417.
  3. 곽영순 (2011). 초임 과학교사 지원을 위한 멘토링의 효율성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1), 1-13.
  4. 권재술, 김범기, 우종옥, 정완호, 최병순, 정진우 (2005). 과학교육론. 서울: 교육과학사.
  5. 교육인적자원부 (2007). 제 2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08-'12).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6. 김경진, 권병두, 김찬종, 최승언 (2005). 과학영재 학교 과학교사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신념과 교수활동 유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4), 514-525.
  7. 김득호, 강경희, 박현주 (2009). 과학영재교육원 운영에 대한 서울시과학영재교육원 교사들의 고려사항.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1), 90-105.
  8. 김선경, 백성혜 (2011). 중학교 과학영재 담당교사의 수업전략 특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2), 295-313.
  9. 김종미 (2009). 멘토링에 대한 초등 초임교사의인식. 초등교육연구, 22(4), 301-326.
  10. 남정희, 김현옥, 고문숙, 고미례 (2010). 멘토링을 통한 초임중등과학교사의 탐구지향적 교수실행 변화.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5), 544-556.
  11. 박경희, 서혜애 (2005). 과학영재학교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학생 및 교사의 인식 분석. 교육과정연구, 23(3), 159-185.
  12. 박선자, 최경희, 이현주 (2009). 교육청 영재 교육원 과학 담당 교사들의 영재성에 대한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9(2), 119-137.
  13. 박수경 (2005). 과학영재학교 교수활동에 관한 학생인식 및 과학수업에서 상호작용 유형. 한국지구과학학회, 26(1), 30-40.
  14. 배미정, 김희백 (2010). 중등 과학영재 지도교사의 수업 전문성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4), 412-428.
  15. 서혜애, 박경희, 박지은 (2007). 과학영재교육 교사 교수방법 전문지식의 수준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1(1), 1-14.
  16. 서혜애, 이윤호 (2003). 영재교육기관의 교수.학습실태 분석. 중등교육연구, 51(2), 69-86.
  17. 심규철, 김현섭 (2006). 지역 영재교육원 과학영재교육 담당 교사의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4(4), 479-484.
  18. 윤미라, 강충열 (2009). 초등학교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교사 전문성에 대한 인식과 실행 수준 분석. 초등교육학연구, 16(2), 103-123.
  19. 윤지현 (2011). 멘토링을 통한 수업 시연 준비 과정에서 나타나는 중등 과학 예비교사들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PCK) 요소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 이봉우, 손정우, 최원호, 이인호, 전영석, 최정훈 (2008). 과학영재교육에서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 초등과학교육, 27(3), 252-260.
  21. 정금순, 강훈식 (2011). 초등 과학영재수업에서 코티칭의 활용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2), 239-255.
  22. 정기영, 전미란, 최승언 (2008). 과학영재 담당교사의 과학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및 현황 조사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7(2), 161-177.
  23. 정정인, 류인숙 (2010). 초등교사의 실천적 지식 변화에 대한 사례 연구: 과학영재수업을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20(1), 317-346.
  24. 조혜진 (2009). 보육시설에서 초임교사를 멘토링하는 경력교사의 어려움과 효과적인 멘토링을 위한 중요 요소. 유아교육연구, 29(5), 21-43.
  25. 조희형, 고영자 (2008). 과학교사 교수내용지식 (PCK)의 재구성과 적용 방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618-632.
  26. 홍은경, 백영숙, 김성숙 (2006). 유치원 교사의 멘토링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유아교육학논집, 10(4), 5-24.
  27. Appleton, K. (2008). Developing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rough mentoring elementary teachers.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9(6), 523-545. https://doi.org/10.1007/s10972-008-9109-4
  28. Bradbury, L. U. (2010). Educative mentoring: Promoting reform-based science teaching through mentoring relationships. Science Education, 94(6), 1049-1071. https://doi.org/10.1002/sce.20393
  29. Hudson, P. (2004). Specific mentoring: A theory and model for developing primary science teaching practice. Europ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7(2), 139-146. https://doi.org/10.1080/0261976042000223015
  30. Hudson, P. (2005). Identifying mentoring practices for developing effective primary science teach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7(14), 1723-1739. https://doi.org/10.1080/09500690500206457
  31. Koch, J., & Appleton, K. (2007). The effect of a mentoring model for elementary science professional development.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8(2), 209-231. https://doi.org/10.1007/s10972-006-9036-1
  32. Landrum, M. S. (2001). Professional development. In M. S. Landrum, C. M. Callahan, & B. D. Shaklee (Eds.), Aiming for excellence: Annotations to the NAGC pre-Kgrade 12 gifted program standards. New York: Prufrock Press Inc.
  33. Lofstrom, E., & Eisenschmidt, E. (2009). Novice teachers'perspectives on mentoring: The case of the Estonian induction year.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5(5), 681- 689. https://doi.org/10.1016/j.tate.2008.12.005
  34. Loughran, J., Mulhall, P., & Berry, A. (2004). In search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Developing ways of articulating and documenting professional practi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4), 370-391. https://doi.org/10.1002/tea.20007
  35. Strong, M., & Baron, W. (2004). An analysis of mentoring conversations with beginning teachers: Suggestions and response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0(1), 47-57. https://doi.org/10.1016/j.tate.2003.09.005

Cited by

  1. 중등 과학영재교육에서 초임 교사의 수업 전문성 제고 전략으로써의 멘토링 적용 사례연구 vol.32, pp.2, 2011,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2.331
  2. 멘토링을 통한 초임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사들의 PCK 측면에서의 수업 전문성 변화에 대한 사례연구 vol.32, pp.7, 2011,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7.1187
  3. 예비 화학 교사의 논의와 글쓰기가 강조된 탐구 중심 과학 수업 계획과 수행: 어려움과 극복과정을 중심으로 vol.60, pp.5, 2016, https://doi.org/10.5012/jkcs.2016.60.5.3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