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Mediation Effect of Cognitiv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in Science

과학영역에서의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인지적 자기조절학습전략의 매개효과

  • Received : 2011.06.02
  • Accepted : 2011.09.14
  • Published : 2011.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among scientific self-efficacy, achievement in science and cognitive self-regulation learning strategy. 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158 elementary school students. Data of students' self-efficacy related to science and cognitive self-regulation learning strategy measured by questionnaire were analyzed. Science achievement scores were also collec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self-efficacy and cognitive self-regulation learning strategy predicted science scores. The findings showed that cognitive selfregulation learning strateg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in science. Memory learning strategy, considered a cognitive self-regulation learning strategy, did not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science scores. The implications of science education to develop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in the classroom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ers a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영역에서의 자기효능감, 과학성취, 인지적 자기조절학습전략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있다.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초등학교 5학년 158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되었다. 학생들의 과학관련 자기효능감과 인지적 자기조절학습전략(시연, 정교화, 조직화, 초인지)이 측정되었고 과학성적이 수집되었다. 기초통계분석으로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사용하였고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검증방법과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이 사용되었다. 매개 효과가 있을 경우 이를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가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인지적 자기조절학습전략은 과학성적을 예측하는 중요한 요인이었으며 과학영역관련 자기효능감 역시 과학성적을 예측하는 중요한 심리적 구인임이 검증되었다. 매개효과검증 결과 인지적 자기조절학습전략은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의 관계에 있어 부분매개자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 분석결과 시연전략은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매개자의 역할을 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학생들의 과학성취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적 제언을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순자, 양정은, 여성희 (2002). 중학생의 과학성취도와 자기조절학습, 학습환경과의 상관관계.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0(2), 190-196.
  2. 김성식, 김양분, 강상진, 김현철, 신종호 (2007). 한국교육종단연구 2005(III): 조사개요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3. 김아영, 차정은 (2010). 모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양육행동 지각,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자기조절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24(3), 563-582.
  4. 김희수 (2007). CSQ3Rs 독서전략이 고등학생의 학습태도, 자기효능감 및 읽기이해능력에 미치는 효과. 교육심리연구, 21(2), 477-496.
  5. 김희수 (2008). 읽기이해능력 학습전략 훈련이 중학생의 자기조절 학습기능 습득과 국어 교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CSQ3Rs 학습전략을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22(2), 385-403.
  6. 류관열, 엄우용, 최성열 (2010). 중.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타인기대와 학업성취도 관계에서 자기조절학습전략의 효과. 교육심리연구, 24(3), 661-685.
  7. 류수진, 김윤석, 이지화, 문성배 (2011). 문제생성 훈련 수업이 중학생의 메타인지와 자기효능감 및 문제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2), 225-238.
  8. 문병상 (2011). 쓰기 지식, 쓰기 동기, 자기조절학습전략 및 쓰기 능력간의 구조적 관계. 초등교육연구,24(1), 1-19.
  9. 문병상, 고종선 (2009). 인신론적 신념, 자기조절 학습 및 학업성적의 구조적 분석. 교육심리연구, 23(3), 581-599.
  10. 서영석 (2010). 상담심리 연구에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검증: 개념적 구분 및 자료 분석 시 고려 사항.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4), 1147- 1168.
  11. 송인섭, 박성윤 (2000). 목표지향성, 자기조절학습, 학업성취와의 관계 연구. 교육심리연구, 14(2), 29-64.
  12. 신종호, 이현주, 김용남 (2006). 사회심리적 환경이 자기조절 학습 행동을 매개로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제1회 한국교육종단연구 학술대회, 서울대학교 호암 교수회관, 서울, 9월, 2006.
  13. 전경문, 박현주, 노태희 (2006). 동기 및 인지 변인이 화학 선다형 수리 문제 해결에 미치는 영향: 성취 목적, 유능감, 학습 전략, 자기 조절 능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1), 1-8.
  14. 정미경 (1999).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의 관계에 관한 구조모형 검증.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 정미선 (2007).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이 과학탐구능력, 학업성취도, 과학적 태도 및 탐구동기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정미선 (2008). 10학년 과학 생명 단원 실험 수업에서 자기 조절 학습 전략이 과학적 태도 및 탐구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6(3), 368-375.
  17. 정미선, 박원혁 (2006). 과학 탐구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 조절 학습 요인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4(2), 145-154.
  18. 정시화, 김봉곤, 구인선, 박종근 (2010). 반응속도 실험 수업에서 자기조절 학습 전략이 과학탐구 능력, 과학적 태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6), 681-692.
  19. 정영란, 안미경 (2010). 자기조절학습 수업 모형을 적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업적 자기조절능력 및 학업 성취,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29(4), 389-400.
  20. 조한익 (2010). 희망과 자기효능감의 관계연구: 학업성취도와 학교생활적응을 종속변인으로. 한국교육심리학회 2010년도 제 3차 학술대회, 91-94.
  21. 최성연, 김성연, 김성원 (2007). 학생과 부모의 과학에 대한 태도 측정 도구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27(3), 272-284.
  22.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161-177.
  23. Bandura, A. (1995). Self-efficacy in changing societie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25. Britner, S. L., & Pajares, F. (2006). Sources of science self-efficacy beliefs of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3(5), 485-499. https://doi.org/10.1002/tea.20131
  26. Frazier, P. A., Tix, A. P., & Barron, K. E. (2004). Testing moderator and mediator effects in counseling psychological research.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1(1), 115-134.
  27. Hair, J. F. Jr., Black, W. C., Babin, B. J., Anderson, R .E., & Tatham, R. L. (2006). Multivariate Data Analysis.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Prentice Hall.
  28. Hoyle, R. H., & Robinson, J. I. (2004). Mediated and moderated effects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Measurement, design, and analysis issues. In C. Sansone, C. Morf, & A. T. Panter (Eds.), The Sage handbook of methods in social psychology (pp.213-233). Thousand Oaks, CA: Sage.
  29. Hu, L. Z., & Bentler, P. M. (1999). Cut 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6, 1-55. https://doi.org/10.1080/10705519909540118
  30. Liu, X., & Koirala, H. (2009). The effect of mathematics self-efficacy on mathematics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In: Proceedings of the NERA Conference 2009.
  31. Pajares, F. (1996). Self-efficacy beliefs in academic setting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6(4), 543-578. https://doi.org/10.3102/00346543066004543
  32. Pajares, F., & Miller, M. D. (1994). Role of self efficacy and self-concept beliefs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 path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6(2), 193-203.
  33. Pintrich, P. R., & DeGroot, E. V. (1990).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1), 33-40.
  34. Pintrich, P. R., Smith, D. A., Garcia, T., & McKeachie, W. J. (1993). Reliability and predictive validity of the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 (MSLQ).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53(3), 801-813. https://doi.org/10.1177/0013164493053003024
  35. Randhawa, B. S., Beamer, J. E., & Lundberg, I. (1993). Role of mathematics selfefficacy in the structural model of mathematics achieve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5(1), 41-48.
  36. Schraw, G., Crippen, K. J., & Hartley, K. (2006). Promoting self-regulation in science education: Metacogniton as part of a broader perspective on learning,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6, 111-139. https://doi.org/10.1007/s11165-005-3917-8
  37. Tabachnick, B. G., & Fidell, L. S. (1996).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NewYork, NY: Harper Collins College.
  38. Zimmerman, B. J. (1990).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An overview, Educational Psychologist, 25(1), 3-17. https://doi.org/10.1207/s15326985ep2501_2
  39. Zimmerman, B. J., & Bandura, A. (1994). Impact of self-regulatory influences and writing course attainment.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1(4), 845-862. https://doi.org/10.3102/00028312031004845
  40. Zimmerman, B. J., & Martinez-Pons, M. (1990). Student differences in self-regulated learning: relating grade, sex, and giftedness to self-efficacy and strategy us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1), 51-59.

Cited by

  1. Investigat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cience Experience, Learning Motivation, Achievement and Career Orientation of Highschool Students vol.18, pp.3, 2011, https://doi.org/10.24231/rici.2014.18.3.625
  2. 공과대학 캡스톤 디자인의 학습성과에 대한 자기조절학습전략의 매개효과 검증 vol.20, pp.5, 2011, https://doi.org/10.18108/jeer.2017.20.5.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