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Educational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in Health Section and None Health Section based on 'D' college

보건계열 학생과 비보건계열 학생의 교육만족도 조사 - D대학을 중심으로 -

  • 박명호 (대구보건대학교 치기공과) ;
  • 이희경 (대구보건대학교 치기공과) ;
  • 김상연 (대구보건대학교 안경광학과) ;
  • 권순일 (대구보건대학교 임상병리과) ;
  • 전성희 (대구보건대학교 치위생과)
  • Received : 2011.08.16
  • Accepted : 2011.12.28
  • Published : 2011.12.30

Abstract

Purpose: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iculum satisfaction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effective school management of Dept. of Health section. Methods: This survey, modified questionnaires based on Hee-Joo Moon's(2005), is accordance with undergraduate students and shows very high credibility upper than Cronbach's Alpha. 1,500 questionnaires are distributed(01. Oct. 2010~30. Oct. 2010) but only 1,213(80.8%) are returned and, except for 14 insincerely answered, 1,199(79.9%) are used.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following. The population characteristic of this survey is that 445(18.1%) are male, 739(61.9%) are female, 595(49.6%) are in health section, and 604(50.4%) are in none health section. 628(53%) chose getting jobs as their motivations for school choice and 727(60.8%) chose getting jobs and career guidance as theirs. The satisfaction of 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urriculum satisfaction. The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in none health section was higher than that of those in health section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urriculum satisfaction. This survey indicates that once the satisfaction with the major courses and career guidance increase, the overall satisfaction grows. Conclusion: The keys to improve the curriculum satisfaction including students' in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are to provide and develop differentiated curriculums and support programs that meet students' expectations. In addition, the customized curriculums based on the level and aptitudes of female students are needed.

Keywords

References

  1. 곽병선 등. 2주기 전문대학 학과평가 진단 및 발전방안 연구.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2007.
  2. 교육인적자원부. 평생직업교육국 전문대학지원과. 전문대학 발전방안, 2001.
  3. 권두승. 대학혁신체제(CIS) 구축을 위한 BSC 도입방안 연구. 명지전문대, 2006.
  4. 김재진. 실업계 고등학교 현장체험학습 과목의 연계를 통한 전문대학 학생모집 및 적응 훈련 프로그램 개발. 극동대, 2006.
  5. 김정길. 2009학년도 전문대학 교육지표.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2009.
  6. 김효진. 지방대학 육성방안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7. 노재성. 전문대학 취업지원체제 구축 및 운영방안 연구.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2009.
  8. 류지성. 전문대학의 성공조건. 삼성경제연구소, 2007.
  9. 류지성. 청년고용 확대를 위한 대학교육 혁신방안. 삼성 경제연구소, 2010.
  10. 문희주 등. 전문대학 교육전반에 관한 학생만족도 조사연구,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2005.
  11. 박성종. 주문식교육 혁신을 위한 전문대학 직업기초능력 평가 방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6.
  12. 부산정보대학. 2007년도 학사제도 개선 시범 전문대학 우수사례 발표 자료집,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2007.
  13. 신인용. 대학교육서비스가 학교 성과와 학생의 전반적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4. 오교성. 전문대학의 다문화교육 현황 및 제도 개선 연구. 2010년도 정책연구과제 발표 자료집, 2010.
  15. 윤여송 등. 전문대학 교육혁신을 위한 실천방안 연구.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2005.
  16. 윤찬근. 전문대학 교육의 경쟁력 향상방안. 한국전문대학 교육협의회. 교육과학기술부, 2010.
  17. 이경철. 대학교육서비스품질이 학생만족, 대학이미지 및 긍정적 행동의지에 미치는 인과모형 연구. 교육행 정학 연구, 22(4), 287-309, 2004.
  18. 이영학. 대학특성을 반영한 대학종합평가 준거모형구안.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7.
  19. 이윤철. 직업교육 선진화정책과 전문대학의 역할.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2010.
  20. 이의용. 잘 가르치는 교수. 샘 앤 파커스, 2010.
  21. 임해규. 전문대학교육의 경쟁력 제고 및 국제화 방안.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2010.
  22. 정호성. 베이비붐 세대 은퇴의 파급효과와 대응방안. 삼성경제연구소, 2010.
  23. 함봉수. 현장에서 건져 올린 전문대학의 위기. 삼성경제연구소, 1-144,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