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Analysis of the Ability to Control Variables and the Types of Controlling Variables by Junior High School Students

중학생들의 변인 통제 논리력과 변인 통제 유형 분석

  • Received : 2010.07.19
  • Accepted : 2011.01.05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bility to control variables and the ways by which variables are controlled. First, the assessment criteria for evaluating the students' ability to control variables were developed for 8th grade students. Second, the ways variables are controlled were classified from student activity reports. These students' answers were categorized into six types (type A~ type F). Type A is defined as the group that excelled in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controlling variables, eliminating unnecessary variables and identifying manipulated, dependent and controlled variables. Third, the scores of ability to control variables (CV score) and the classroom test of scientific reasoning (Lawson SRT) scores were measur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V score was highly correlated with Lawson SRT scores (r=.67, p<.01). Therefore, the assessment criteria developed in this study was used to evaluate the ability to control variables (CV score) and to measure the students' scientific reasoning.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변인 통제 논리력과 변인 통제 활동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변인 통제 능력에 대한 구체적인 채점 기준을 개발하였다. 이어서, 중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3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변인 통제 유형을 알아보았다. '계단 빨리 왕복하기'전략을 설계하도록 하는 과제를 부여한 후 얻어진 학생들의 응답 내용을 바탕으로 변인 통제 유형을 분석하였다. 변인 통제의 필요성 인식 여부, 불필요 변인의 배제 여부, 통제 변인의 설계 여부, 조작 변인과 종속 변인의 설계 여부의 네 가지 측면에 따라 유형A~유형F의 여섯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Lawson의 과학적 사고 수준 검사 문항 중 변인 통제 논리에 해당하는 4개 문항에 대한 답변을 본 연구에서 개발한 채점 기준으로 채점하여 변인 통제 논리력을 측정하였다. Lawson이 개발한 과학적 사고 검사지로 측정한 점수와 변인 통제 논리력 점수의 상관 계수는 .67로 과학적 사고력와 변인 통제 논리력의 상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1). 이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채점 기준이 학생들의 변인 통제 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또한 학생들의 과학적 사고력을 측정하는데 이용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순희 (2002). 과학 교수 전략에서 학생의 인지 수준과 교과 내용의 인지 요구 수준. 이화교육총서 교과교육연구소 2002-01.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2. 강순희 (2010). 과학 창의적 문제 해결력 평가 도구와 평가 준거. 이화교육총서 교과교육연구소 2010-13.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3. 김선자, 최병순 (2005). 변인통제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난 초등학생의 실험설계 및 증거제시 특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2), 111-121.
  4. 김영민, 김수현 (2009).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논리적 사고 능력에 대한 메타 분석 - 1980-2000년까지의 학술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4), 437-449.
  5. 김영정 (2005). 인문, 역사 : 비판적 사고와 토목공학 9 ; 비판적 사고의 9요소와 9기준. 자연과 문명의 조화(구 토목-대한토목학회지), 53(11), 217-225.
  6. 김영채 (2004). 사고력: 이론, 개발과 수업. 서울: 교육과학사.
  7. 김재우, 오원근, 박승재 (1999).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탐구 문제에 대한 변인 판별 및 통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4), 674-683.
  8. 김희령, 여성희 (2004).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2학년 과학교과서의 과학 탐구 과정과 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 실태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2(4), 390-397.
  9. 남정희, 김성희, 강순희, 박종윤, 최병순 (2002). 변인통제 문제해결 활동에서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따른 상호작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110-121.
  10. 박종원, 정병훈, 권성기, 송진웅 (1998a). 물리학에서 이론적 설명과 실험에 포함된 이상조건에 대한 고등학생과 과학교사의 이해 조사 I - 이상화의 의미와 특성을 중심으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2), 209-219.
  11. 박종원, 정병훈, 권성기, 송진웅 (1998b). 물리학 에서 이론적 설명과 실험에 포함된 이상조건에 대한 고등학생과 과학교사의 이해 조사 II - 이상화가 물리학습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2), 245-256.
  12. 박효순, 조희형 (2003). 중학교 2학년 과학 교과서의 탐구 영역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3), 239-245.
  13. 성민웅, 곽대오, 성호건 (2004). 제7차 중학교 과학교과서의 탐구 기능 요소 분석. 수록처 : 경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센터 엮음. 제7차 교육과정과 교과서 : 과학, (pp. 135-168). 서울: 교육과학사.
  14. 양일호, 권용주, 장신호, 이혜정, 최현동 (2006). 초등학교 과학탐구과정요소별 지도자료 - 사다리 타고 오르는 통합 탐구 여행. 교육인적자원부.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15. 유모경, 조희형 (2003). 중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의 탐구 영역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5), 494-504.
  16. 최미화 (2002). 'Thinking Science'활동이 중학생의 인지 가속에 미치는 효과 및 인지 수준과 동기 유형에 따른'Thinking Science'문제 해결 과정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7. 하소현, 곽대오, 성민웅 (2001). 초∙중∙고등학교 탐구 기능요소에 대한 6차와 7차 과학 교육과정의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 706-716.
  18. 한효순, 최병순, 강순민, 박종윤 (2002). '생각하는 과학'프로그램의 변인활동이 초등학생의 변인통제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571-585.
  19. Adey, P. (1988). Cognitive acceleration: Review and prospec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0(2), 121-134. https://doi.org/10.1080/0950069880100201
  20. Adey, P. & Shayer, M. (1994). Really raising standards: Cognitive interven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London: Routledge.
  21. Adey, P., Shayer, M. & Yates, C. (1995). Thinking science(2nd ed.). London: Thomas Nelson and Sons Ltd.
  22. Germann, P. J., Haskins, S. & Auls, S. (1996). Analysis of nine high school biology laboratory manuals: Promoting scientific inqui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5), 475-499.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605)33:5<475::AID-TEA2>3.0.CO;2-O
  23. Inhelder, B. & Piaget, J. (1958). The growth of logical thinking from childhood to adolescence.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24. Lawson, A. E. (1995). Science te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thinking. Belmont, C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25. Linn, M. C. (1980). When do adolescents reason?. Europea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 429-440. https://doi.org/10.1080/0140528800020409
  26. Lipman, M. (2005). 고차적 사고력 교육(박진환, 김혜숙 역). 경기 : 인간사랑. (원저 2003 출판)
  27. Nosich, G. M. (2009). Learning to think things through(3rd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Prentice Hall.
  28. Paul, R. & Elder, L. (2006). Critical thinking(2nd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Prentical Hall.
  29. Shayer, M. & Adey, P. (1989). Towards a science of science teaching. Oxford, London: Heinemann Educational Books Ltd.
  30. Shayer, M. & Adey, P. (1992). Accelerating the development of formal thinking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I : Postproject effects on science achieve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1), 81-92. https://doi.org/10.1002/tea.3660290108
  31. Shayer, M. & Adey, P. (1993). Accelerating the development of formal thinking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V: Three years on after a two-year inven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0(4), 351-366. https://doi.org/10.1002/tea.3660300404
  32. van Jooligen, W. R. & de Jong, T. (1991). Supporting hypothesis generation by learners exploring an interactive computer simulation. Instructional Science, 20, 384-404.
  33. Zohar, A., Weinberger, Y. & Tamir, P. (1994). The effect of the biology critical thinking project on the development of critical think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2), 183-196. https://doi.org/10.1002/tea.3660310208

Cited by

  1. 창의적 문제 해결력 신장을 위한 중학교 과학 수업 전략의 개발 및 적용 효과(제III보) vol.55, pp.6, 2011, https://doi.org/10.5012/jkcs.2011.55.6.1056
  2. 변인 통제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수업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효과 분석 vol.55, pp.3, 2011, https://doi.org/10.5012/jkcs.2011.55.3.519
  3. 탐구 기능의 직접적 수업을 위한 탐구 기능 하위 요소 추출 vol.32, pp.2, 2011,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2.236
  4. Teaching strategy of the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using the making hypotheses by activities of substituting and combining variables in college vol.18, pp.4, 2014, https://doi.org/10.24231/rici.2014.18.4.1201
  5. Teaching strategy of scientific term seeking and substitution or addition term on the making hypotheses of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in college vol.19, pp.2, 2011, https://doi.org/10.24231/rici.2015.19.2.499
  6.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탐구실험 교과서에 나타난 참탐구 요소 분석 vol.63, pp.3, 2011, https://doi.org/10.5012/jkcs.2019.63.3.1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