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Wayfinding Performance in an Outpatient Clinic -Focused on Outdoor Space from Driveway to Entrance-

외래 클리닉에서의 길찾기 행위 -진입로에서 출입구까지의 외부공간을 중심으로-

  • Kim, Duk-Su (Hanbat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Architecture)
  • Received : 2011.03.28
  • Accepted : 2011.05.09
  • Published : 2011.05.30

Abstract

본 연구는 미국 텍사스 주의 소도시에 있는 스캇 앤 화이트 클리닉의 외부공간을 대상으로 하여 외래환자와 방문객들이 직면하는 길찾기의 문제점을 분석한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클리닉의 외부공간으로 한정하여 진입도로에서 진입하여 주차한 후 출입구에 도달하는 경로에서 관찰되는 행태적 특성을 분석한다. 분석의 초점은 진입도로에서 이루어지는 경로선택의 결정과 그것이 클리닉에 진입하기 위한 출입구 결정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둔다. 분석은 외부공간에서의 길찾기에 관한 기존 연구문헌을 참고하여 작성한 연구모형에 의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보면, 이용자들이 보이는 날씨, 성별, 그리고 나이에 따른 길찾기 행태의 차이를 클리닉의 남동측 출입구와 남서측 출입구에서 발생하는 이용자들의 하차 빈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하차의 위치를 행태 지도에 기록하여 연구모델에 나타나는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길찾기 행태분석 결과를 통해 파악된 외부주차장에 주차한 후 클리닉에 접근하는 이용자들의 경로선택의 문제점과 클리닉의 입구 공간에서 하차한 이용자들의 입구선택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토대로 하여 외부공간에서 발생하는 길찾기 행위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디자인 추천 사항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1) 시각적 단서를 제공하기 위해 남서쪽 출입구의 형태와 색채 차별화; (2) 도로에서 클리닉 진입공간에 위치한 안내판의 글자 크기 확대; (3) 학습된 길찾기 행태를 보조하기 위해 동쪽에 랜드마크 시설물 설치 및 목적 지점의 최종경관 개선; (4) 과도한 클리닉의 정보에 의해 감소되는 가독성을 고려하여 안내판의 정보 간략화; (5) 색채의 대조를 고려(출입구 벽에 설치된 클리닉의 이름이 갈색에 푸른색으로 설치되어 있어 색채의 대비가 낮아 가독성 떨어짐); (6) 클리닉 중앙 출입구의 하차 공간 상부에 설치된 캐노피 기둥의 과도한 크기에 의해 발생하는 가시공간의 감소에 의해 발생하는 하차 공간 사용의 혼잡 문제를 제거하기 위해 기둥규모 축소; (7) 하차점 6까지 캐노피를 확장하여 우천시에 발생하는 공간 사용의 문제점 제거; 그리고 (8) 올바른 하차공간 사용을 위해 진입 접근도로에 차선 설치.

Keywords

References

  1. Andiel, C. and Liu, L.: Working memory and older adults: Implications for occupational therapy.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9 (7), 1995.
  2. Arthur, P. and Passini, R.: Wayfinding: People, signs, and architecture. New York, NY: McGraw-Hill Book Company, 1992.
  3. Carpman, J. R. and Grant, M. A.: Design that cares: Planning health facilities for patients and visitors. Chicago, IL: American Hospial Publishing Inc., 1993.
  4. Kaplan, S. and Kaplan, R.: Cognition and environment: functioning in and uncertain world. Ann Arbor, MI: Ulrich's, 1981.
  5. Kirasic, K.: Spatial cognition and behavior in young and elderly adults: Implications for learning new environments. Psychology and Aging, 6, 1991.
  6. Lynch, K.: The image of the city. Cambridge, MA: MIT Press, 1960.
  7. O'neill, M. J.: Effects of signage and floor plan configuration on wayfinding accuracy. Environment and Behavior, 23 (5), 1991.
  8. Passini, R.: The spatio-cognitive abilities of the visually impaired population. Environment and Behavior, 22 (1), 1990.
  9. Passini, R., Rainville, C., Marchand, N., and Joanette, Y.: Wayfinding and dementia: Some research finding and a new look at design. Journal of Architectural and Planning Research, 15 (2), 1998.
  10. Schmitz, S.: Gender-related strategies in environmental development: Effects of anxiety on wayfinding in and representation of a three-dimensional maze.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7, 1997.
  11. Taylor, B. and Taylor A.: Social work with ambulatory clients: The wayfinding domain. Families in Society: The Journal of Contemporary Human Services, 3, 1997.
  12. Weisman, G.: Improving way-finding and architectural legibility in housing for the elderly. In V. regnier and J. Pynoos (Eds.), Housing the Aged: Design Directives and Policy Considerations, New York, NY: Elsevier, 1987.
  13. Weisman, G.: Wayfinding in the Built Environment: A Study in Architectural Legibil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Michigan, Ann Arbor, 1979.
  14. Witmer, B. G., Bailey, J. H., and Knerr, B. W.: Virtual spaces and real world places: Transfer of route knowledge.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Studies, 45, 1996.
  15. Wright, P., Hull, A. J., and Lickorish, A.: Navigation in a hospital outpatients' department: The merits of maps and wall signs. Journal of Architectural and Planning Research, 10 (1), 1993.
  16. Zimring, C. M.: Stress and the designed environment. Journal of Social Issues, 37 (1), 1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