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건강성과 부모감독,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Family Health, Parental Monitoring, and the Self-esteem of Adolescents

  • 윤연정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아동가족학) ;
  • 이미숙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부 아동학과) ;
  • 전춘애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부 아동학과)
  • Yun, Yon-Jung (Dept. of Child & Family Studies, The Catholic Univ. of Korea) ;
  • Lee, Mi-Sook (Dept. of Child & Family Studies, The Catholic Univ. of Korea) ;
  • Jun, Chun-Ae (Dept. of Child & Family Studies, The Catholic Univ. of Korea)
  • 투고 : 2011.01.15
  • 심사 : 2011.04.20
  • 발행 : 2011.04.30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family health, parental monitoring, and the self-esteem of adolescents. Data gathered from 306 adolescents in Incheon City and Gyeonggi-do were analyze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generally perceived their family as healthy, perceived their mothers' monitoring as higher than their fathers' monitoring. And many adolescents also had positive self-esteem. Second,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family health, parental monitoring, and the self-esteem of adolescents. Lastly, the relatively important factors affecting adolescents' self-esteem were family health, parental monitoring, and family economic status. This study suggests we need many family life education programs in order to enhance family health, parental monitoring, and the self-esteem of adolescents.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가톨릭대학교

참고문헌

  1. 권대희.오윤자(2004). 청소년기 자녀가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자아존중감에 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1), 115-127.
  2. 금미현(2007).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소영(1996). 가족체계유형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수희(2009). 부모의 양육행동, 부모애착 및 또래애착과 남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5. 김영숙(1999).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가정환경 변인과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3(1), 69-98.
  6. 김윤경(2008).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회화.김경연(1998). 개인적 요인 및 환경적 요인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6(2), 47-60.
  8. 남영자(2009). 가족건강성이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도금혜.최보가.이지민(2006) 청소년의 지각된 인기도에 따른 공격성과 자아존중감. 대한가정학회지, 44(2), 1-11.
  10. 박선영․ 도현심.김민정(2010). 어머니의 감독이 청소년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경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3), 139-150.
  11. 박영애.최영희.박인전.김향은(2002). 아동이 지각한 어 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아동 의 성에 따른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발달, 15(4), 43-60.
  12. 박진경.도현심(2001). 어머니의 감독 및 감독방법이 청소 년의 외현화.내면화 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9(12), 129-140.
  13. 변진해(2009).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4. 송지준(2009).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파주: 21세기사.
  15. 안혜원(2008).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부모 애착 및 부모감독의 중재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양순미.유영주(2003). 자아존중감, 가족의 건강성, 사회인구 학적 변인이 농촌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1(9), 121-134.
  17. 어은주(1996). 한국 도시 가족의 건강성 및 관련변인연구. 경희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어은주․유영주(1995). 가족의 건강도 측정을 위한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3(1), 145-155.
  19. 우수명(2007). 마우스로 잡는 SPSS 14.0. 서울: 인간과 복지.
  20. 오수현(2010).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분 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옥선화.Martha Rueter.이미숙.이주리.권희경.남영주 (2006). 청소년자녀기 가족의 리질리언스 척도개발연구: 척도의 타당화 검증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4(1), 59-74.
  22. 유영주(2001). 건강가족연구. 서울: 교문사.
  23. 윤세은(2000). 청소년기 자녀가 지각한 가족의 건강성과 자아 정체감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미리(2005). 청소년기 자아존중감과 가족, 친구, 학업, 여가, 직업 변인들의 관계. 한국청소년연구, 16(2), 263-293.
  25. 임정아(2005). 청소년기 가족건강성과 학교적응 연구. 서울 여자대학교 기독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장휘숙(2004). 청년심리학. 학지사: 서울.
  27. 정옥분(1998). 청년발달의 이해, 학지사: 서울.
  28. 최지선.박성연.전춘애(2009). 사회인구학적 변인, 아버지의 양육행동 및 일상생활 참여가 아버지의 자녀교육 관심 및 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5), 167-181.
  29. 한상숙․김경미(2006).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요인. 대한간호학회지, 36(1), 37-44.
  30. 황숙영(2007). 부모애착, 부모감독, 또래관계가 중학생의 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황현정(2008).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유형과 가족건강성 연구.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32. Choa, R.(1994). Beyond parental control and authoritarian parenting style: understanding Chinese parenting through the cultural notion of training. Child Development, 65, 1111-1119. https://doi.org/10.2307/1131308
  33. Crouter, A. C., Helms-Erikson, H., Updegraff, K. & McHale, S. M.(1999). Conditions underlying parents' knowledge about children's daily lives in middle childhood: Between-and within-family comparisons. Child Development, 70, 246-259. https://doi.org/10.1111/1467-8624.00018
  34. DuBois, D. L., Felner, R. D., Brand, S., Adan, A. M., & Evans, E. G. (1992). A prospective study of life stress, social support, social supporter, and adaptation in early adolescence. Child Development, 63, 542-557. https://doi.org/10.2307/1131345
  35. Fletcher, A. C., Darling, N., & Steinberg, L.(1995). Parental monitoring and peer influences on adolescent substance use. In J. McCord(Ed.), Coercion and punishment in long-term perspectives(pp. 259-271). Cambridge University Press.
  36. Harter, S. (1990). Self and identity development. In S. S. Feldman & G. R. Elliott (Eds.), At the threshold: The developing adolescent.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37. Harter, S. (1999). The construction of the self: A developmental perspective. N.Y.: The Guilford Press.
  38. Hong, Z. R.(2002). An investigation of self-esteem and school achievement of taiwanese secondary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nnesota, Minneapolis. USA.
  39. Kindlon, D.(2006). 최정숙 역(2007). 새로운 여자의 탄생 알 파걸. 미래의 창.
  40. Lorenz, F. O., Simons, R. L., Whitbeck, L. B.(1992). A family process model of economic hardship and adjustment of early adolescent boys. Child Development, 63, 526-541. https://doi.org/10.2307/1131344
  41. Maja, D. & Wim, M.(1997). Peer relations in adolescence: Effects of parenting and adolescents' selfconcept. Journal of Adolescence, 20(2), 163-176.
  42. Patterson, G. R.(1982). Coercive family process: A social learning approach (Vol.3). Eugene. Oreg.: Castalia.
  43. Rosenberg, M.(1979). Conceiving the self. Robert E. Krieger Publishing Company, Inc. : Malabar, Florida.
  44. Stattin, H., & Kerr, M.(2000). Parental monitoring: A interpretation. Child Development, 71(4), 1072-1085. https://doi.org/10.1111/1467-8624.0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