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중년기 주부의 추모의례에 대한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Memorial Rites By Middle-aged Housewives in Seoul

  • 구숙회 (성신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
  • 최배영 (성신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 Gu, Suk-Hoe (Dept. of Cultural Industry, Graduate School of Sungshin Women's Univ.) ;
  • Choi, Bae-Young (Dept. of Cultural Industry, Graduate School of Sungshin Women's Univ.)
  • 투고 : 2011.04.01
  • 심사 : 2011.05.11
  • 발행 : 2011.05.31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desirable model of memorial rites on the basis of their essential significance, as recognized by middle-aged housewives. This study was based on an interview survey that was conducted with 40 housewives in their 40's and 50's who live in Seoul. The interviews were carried out from August 1, 2009 to October 20, 2009, using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iddle-aged housewives recognized the significance of memorial rites as an expression of their sincerity, or as a cultural demonstration of affection commemorating their ancestors. Secondly, the housewives mentioned possible changes to different memorial rites depending on the will of their children's generation. These included a grafting of different memorial rites between religions, or a shift of the memorial rites to a religious institution or a memorial facility, in addition to maintaining the current practice in one's home. Thirdly, we proposed memorial rites that are carried out in one's home (Confucian, Christian, Confucian plus Catholic, or Confucian plus Buddhist style), a religious institution (Catholic church or Buddhist temple), and a memorial facility (arboretum, graveyard or enshrine facility).

키워드

참고문헌

  1. 구미래(2009). 일생에 대한 불교적 관념과 불교 일생의례의 특성. 비교민속학, 39, 225-257.
  2. 권태환(1999). 조상추모예식의 선교적 방향 연구. 한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계숙(2008). 가족주의.제례의식.제례행례가 제례만족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기경.박혜인(2001). 도시 가족의 재산.제사 상속 의식과 행동의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1), 269-281.
  5. 김미영(2009). 관혼상제에 투영된 유교적 세계관. 비교민속학, 39, 331-360.
  6. 김상혁(1996). 관혼상제. 서울: 하서출판사.
  7. 김시덕(2009). 한국 일생의례의 아시아적 보편성과 고유성. 비교민속학, 39, 69-96.
  8. 김시월(1997). 제사의 행태와 제사의 지속성 의식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생활문화.예술논집, 20, 67-92.
  9. 김영수(2002). 한국 가톨릭에 수용된 민간신앙적 요소. 한국민속학, 35, 5-27.
  10. 김은정(2006). 추모의식을 통한 가족관계의 회복. 침례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인옥(1990). 제사 시 제수에 관한 일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인옥(1997). 전통제례에 관한 생활문화적 고찰과 현행제례의 실태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두경자(2000). 우리나라 제례의 검토와 제례 재구성모델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8(3), 147-170.
  14. 두경자(2001). 제례 재구성 모델의 실증적 검증을 통한 제례 모델 재구성.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6), 241-263.
  15. 문옥표(1998). 한국인의 가정의례에 미친 기독교의 영향. 인문과학, 79, 147-174.
  16. 문옥표(2007). 가정제례의 변용을 통해 본 현대 한국인의 가족관계와 젠더. 한국문화인류학, 40(2), 287-319.
  17. 문옥표.정양완.최제숙.이충구 역주(2000). 증보사례편람. 조선시대 관혼상제.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8. 박병구(2003). 한국전통제례와 추모식에 대한 연구. 목원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박수정(1989). 도시주부의 제례행례의식과 제례행동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박순천(1986). 도시주부의 가정생활관과 제사 행례의식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박일영(2009). 천주교 일생의례의 종교적 특성과 세계관. 비교민속학, 39, 129-152.
  22. 박헤인.조은숙(2001). 도시지역의 가족/친족의례 실태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4), 167-184.
  23. 불교방송(2011). http://www.bbsi.co.kr.
  24. 안숙자.박경란(2001). 한국주부의 제례의식에 관한 조사연구, 중앙대학교 생활과학논집, 14, 49-68.
  25. 안혜숙.주영애.김인옥(2002). 한국가정의 의례와 세시풍속. 서울: 도서출판 신정.
  26. 윤원철(1990). 민속종교제의의 기능에 대한 고찰.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연구논총, 90(8), 109-132.
  27. 이길표(1982). 가례를 통해 본 한국인의 의식 구조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이복규(2005). 개신교 추도식의 양상 및 전통 기제사와의 공통점과 차이점. 온지논총, 13, 308-327.
  29. 이복규(2009). 한국 개신교 일생의례의 특성과 세계관. 비교민속학, 39, 13-32.
  30. 이승원(2006). 조상제사와 기독교 추도예배에 관한 연구. 계약신학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이정우.김명나(1990). 도시주부의 혼.제례에 대한 의식과 행동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8(1), 105-124.
  32. 이정우.김명나(1993). 주부의 가정의례에 대한 의식.행동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생활과학연구, 8, 23-50.
  33. 이정우.김연화(1999). 도시주부의 가치지향성.제례의식.제례수행.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3(2), 33-50.
  34. 임옥행(1981). 제사에 대한 부녀자의 의식구조 조사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아세아여성연구, 20, 139-159.
  35. 임중웅(2007). 신 장례.제례. 서울: 도서출판 신나라.
  36. 장상옥(2004). 여대생 가정의 가정행사 수행 및 사회화와 행사의식 변화.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5), 253-264.
  37. 정복미.정해옥.김은실(2004). 부산지역과 전남 여수지역 주부들의 제례준비 및 제례의식 조사연구. 한국조리학회지, 10(3), 135-154.
  38. 정각(2007). 불교 상.제례를 통해 본 죽음과 사후인식. 보조사상, 28, 396-431.
  39. 최우영(2003). 장묘문화개선을 위한 추모공원 설계기법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아트퓨전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통계청(2005). http://www.kostat.go.kr.
  41. 통계청(2009). http://survey.go.kr.
  42.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0). http://www.kihasa.re.kr.
  43. 한재숙.허성미.김정숙(1989). 제례에 대한 도시주부들의 의식구조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자원문제연구, 8, 143-153.
  44. 허윤석(2002). 한국 천주교 상제례 문화의 토착화. 사목연구, 10, 148-182.
  45. 홍현주(1986). 조상제사에 대한 가치관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Martina Deuchler(2009). 조선시대 양반사회에서 의례가 갖는 의미와 중요성. 비교민속학회 춘계학술대회자료집, 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