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친화마을 환경조성을 위한 주민들의 아파트 내.외부 및 근린환경 선호에 관한 연구 - 대전시 아파트 거주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Preferences for Apartment Interiors, Exteriors, and Neighborhood Environment for a Family Friendly Community Environment - Focused on Apartment Dwellers in Daejeon City-

  • 차성란 (대전대학교 아동교육상담학과) ;
  • 이해욱 (우송대학교 건축공학과)
  • 투고 : 2011.03.02
  • 심사 : 2011.05.19
  • 발행 : 2011.05.31

초록

Since 2008, a communal child care and 'Family Pumasi' program have been conducted as a pilot project for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These programs have been positioned as a step toward a family friendly community project. For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a family friendly community project is an essential program as a part of the policies in response to the country's low fertility. However, the people in charge face difficulties, because they do not have much experience in such projects.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preferences regarding interior and exterior apartment spaces, and neighborhood environment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how to better implement a family friendly community program.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418 housewives who are apartment dwellers in Daejeon cit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son in charge must consider child care facilities, culture, and sports centers in order to start building a community lifestyle. Second, people with relatively low levels of education and short terms of residence are more deeply motivated by community lifestyle compared to others. Third, families with their first young child showed much interest in communal child care facilities. If the people in charge can motivate and encourage such residents to be engaged in family friendly community projects, the project will effectively progres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인남(2004). 희망을 나누며 하나되는 우리 동네 38: 서울시 관악구 임대아파트 마을만들기 사례. 국토연구원. 국토 273, 119-123.
  2. 김경순(2002). 여성의 삶의 관점에서 본 공동주거 디자인 방향에 관한 연구:중산층 주부의 가정생활의 변화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선기.이소영(2007). 주민주도형 지역만들기 추진모형. 한국지방행정연구원.
  4. 김선미.김소영(2010). 살기종은 마을의 거점에 관한 사레연구: 마을도서관과 아파트입주자대표회의의 가족친화적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1), 73-96.
  5. 문숙재(1996). 가정생산. 서울:신광출판사.
  6. 박은철(2011). 공동주택 단지의 커뮤니티 활성화 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SDI 정책리포트 87, 1-18.
  7. 신중진.송승현(2010). 지속가능한 마을만들기를 위한 추진주체의 관계구도 특성 연구-살고싶은 도시만들기 시범사업을 대상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6(1), 29-306.
  8. 신중진.신효진(2008). 주민참여 마을만들기 계획과정에 관한 사레연구-독산 3동 문화마을만들기 사업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24(2), 109-120.
  9. 신효진(2006). 주민참여 마을만들기의 합의형성을 위한 프로세스와 워크숍의 수법. 도시와빈곤 83, 34-53.
  10. 이송지.김혜장.이경란.곽영선.정영화(2009). 가족친화마을만들기 모델 개발을 위한 연구. 보건복지가족부.
  11. 이유진(2008). 가족친화형 유비쿼터스 주거환경 계획요소에 대한 연구: 맞벌이 주부를 대상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이지혜.이명훈.전병혜(2009). 마을만들기 사업에 있어서 주민참여도에 관한 영향구조 분석-광주광역시 북구지역을 대상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44(1), 73-85.
  13. 조연경.김정민(2009). 마을만들기의 주민참여 수법에 관한 연구-어린이 참여 디자인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25(4), 205-216.
  14. 차성란(1994 a). 가정생산의 분리가능성 의식과 근접환경자원을 이용한 가정생산활동과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2(1), 220-232.
  15. 차성란(2010 b). 가족친화마을만들기를 위한 모델 및 핵심 요소.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2), 63-76.
  16. 차성란(2010 c). 주민주도적인 가족친화마을 만들기를 위한 기관의 역할-살기좋은마을만들기 사레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4), 77-100.
  17. 최재순.이재준(2004). 주민들의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공동주택 공유공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주거환경 2호. 111-126.
  18. 최혜진(2008). 공동주택 단지 내 커뮤니티시설에 관한 연구: '살기좋은 아파트'로 선정된 수도권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행정자치부(2006). 살기좋은 지역만들기 모델 유형화 및 공모방안 수립연구. 행정자치부.
  20. 홍승아.김혜영.류연규.소마나오코.조순주.진미정(2007). 가족친화적 지역사회 모형개발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1. 여성가족부 홈페이지 www.mogef.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