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the Affective Effect of Whole Brain Based Cooperative Learning for the Gifted

영재 교육을 위한 전뇌 이론 기반 협동학습의 정의적 효과 분석

  • 김순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정보영재교육) ;
  • 송기상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학과)
  • Received : 2011.01.13
  • Accepted : 2011.06.07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e 21st century is called as the "Age of knowledge flood", and thus the importance of the ability which can use knowledge creatively is more emphasized. Also, not only individual problem solving but also solving problems through effective communication skills with group members are needed, and therefore, it is requested to train potential gifted learner working together with others to practice cooperation and eventually grown up as a competitive human resource to adapt successfully in future environment. In this paper, to show the effectiveness of cooperative learning in gifted learners, members for cooperative learning group has been selected using whole brain theory from the 42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summer gifted learner vacation program. From the analysis of the learners' learning motivation and frequency of interactions whole brain based cooperative learning is effective for enhancing both learning motivation and interactions. Therefore, the whole brain based cooperative learning is an effective pedagogy for enhancing the motivation as well as facilitating interactions within gifted learners.

21세기는 지식의 홍수 시대라 일컬어질 만큼 지식을 많이 아는 것보다 알고 있는 지식을 창의적으로 사용하는 능력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또한 개인으로서의 문제 해결 능력에 더하여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통한 팀 구성원 간의 문제 해결 능력이 요구되고 있으므로 영재성을 지닌 학습자들에게도 미래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유능한 인재로 성장하도록 협동 학습을 통한 문제 해결 과정을 도입하여 이 같은 능력을 기를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참석한 42명의 중등 영재 학생들을 대상으로 전뇌(全腦: Whole Brain)이론을 바탕으로 학습자들을 그룹으로 나눈 뒤 협동 학습을 실시하였고 학습 동기의 사전 사후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협동 학습 수업 과정 중 학생들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뇌 이론에 기반을 둔 협동 학습은 학습의 정의적 요소 중 하나인 학습 동기 향상에 효과가 있었고, 상호작용 또한 활발하게 일어남을 관찰하였다. 따라서 영재들에게 있어서 전뇌 이론에 기반을 둔 집단 편성 방법이 학습의 정의적 영역인 학습 동기 향상과 상호작용 촉진 측면에 있어서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권보혜 (2009). 초등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성격유형과 학습양식 비교.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2. 김영신 (2004). 협동 학습에서의 상호 작용이 초등과학 영재의 과학에 대한 태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3. 배학진, 이은경, 이영준 (2009). 문제 중심학습을 적용한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교수 학습 모형.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2(3), 11-22.
  4. 유미숙 (2004). 동기유발전략(ARCS)을 적용한 가정과 수업이 학습 동기 및 교과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5. 정순진 (2007).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성격유형과 학습양식 비교. 석사학위논문. 부산교육대학교.
  6. 정현철, 박영신, 황동주 (2008). 한국영재교육에서 소집단 탐구활동에 대한 인식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9(2), 151-162.
  7. 조윤형, 조영호, 양회창 (2005). 개인의 가치성향과 두뇌활용 유형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인사.조직연구, 13(3), 73-98.
  8. 한기순, 양태연 (2007). 최근 국내 영재교육 연구의 흐름: 2000-2006년도 연구물 분석. 영재교육연구, 17(2), 338-364.
  9. Davidson, N. (1990). Cooperative learning in mathematics: A handbook for teachers (p. 57). CA: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10. Herrmann, N. (1996). The Whole Brain Business Book, New York: McGraw-Hill.
  11. Herrmann, N. (2009). 이너북스: 홀브레인 리더십 [김병선, 유희철, 유병안, 이응기 역] (원본 출간년도: 1996). 서울: 학지사.
  12. Johnson, D. W., & Johnson, R. T. (1974). Instructional goal structure: Cooperative, competitive, or individualistic.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4, 213-240. https://doi.org/10.3102/00346543044002213
  13. Johnson, D. W., & Johnson, R. T. (1999). Learning and together and alone: Cooperative, competitive and individualistic learning (5th Ed.). Boston, MA: Allyn and Bacon.
  14. Johnson, D. W., Johnson, R. T., & Stanne, M. B. (2000). Cooperative learning methods: A meta-analysis. Retrieved January 20, 2011,. from http://www.tablelearning.com/uploads/ File/EXHIBIT-B.pdf
  15. Keller, J. M. (1987). Development and use of the ARCS model of instructional design. Journal of Instructional Development, 10(3), 2-10. https://doi.org/10.1007/BF02905780
  16. McCallum, R. S., & Glynn, S. M. (1979). Hemispheric Specialization and creative behavior.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13(4), 263-273. https://doi.org/10.1002/j.2162-6057.1979.tb00215.x
  17. Renzulli, J. S. (1984). The three-ring conception of giftedness: A development model for creative productivity. In R. J. Sternberg, & J. Cambridge. Connecticut, M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Renzulli, J. S. (2002). Expanding the conception of giftedness to include co-cognitive traits and promote social capital. Phi Delta Kappan, 84(1), 33-58. https://doi.org/10.1177/003172170208400109
  19. Sharan, S. (1980). Cooperative learning in small groups: Recent method and effects on achievement, attitudes, and ethnic relation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0, 241-271. https://doi.org/10.3102/00346543050002241
  20. Slavin, R. E. (1989). Cooperative learning and achievement: Six theoretical perspectives. In C. Ames, & M. L. Maehr (Eds.), Advances in motivation and achievement (pp. 161-177). CT: JAI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