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Analysis of Writing Types on the Hypothetical Deductive Inquiry Experiment of the 7th Gifted in Science

중학교 1학년 과학 영재의 가설-연역적 탐구 실험 글쓰기 유형 분석

  • Received : 2011.04.26
  • Accepted : 2011.06.14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Writings of gifted students were classified by the writing analysis protocol built on the scientific inquiry process and writings of scientific journals. These writings were classified 7 types based on the existence of tentative explanations and types of conclusion. In addition the writings were classified by linear form, double linear form, supporting-conclusion form based on the number and position of writings. The characteristics of writings show that, first, the tentative explanation is located at the beginning and the drawing conclusion at the end of articles. Secondly, students prefer the linear form writing to explain their logics. Finally, supporting-conclusion writings are shown when answers of question is written only in the drawing conclusion without estimation.

과학 탐구 과정 및 과학 학술지의 논문 양식을 기초로 글쓰기 분석틀을 만들었으며, 중학교 1학년 과학 영재의 글을 글쓰기 분석틀에 근거하여 분류하였다. 연구 대상 학생들의 글을 임시적 설명의 유무와 결론의 형태를 기준으로 7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고, 그리고 각 유형별 사례를 연구 방법 또는 연구 결과 및 자료 해석 내용의 기술 횟수와 글쓰기에서 연구 방법 또는 연구 결과 및 자료 해석이 기술된 위치를 기준으로 단선형, 복선형, 결론 보강형으로 나누었다. 단선형은 연구 방법 또는 연구 결과 및 자료 해석이 1회 일 때, 복선형은 연구 방법 또는 연구 결과 및 자료 해석이 2회 이상, 결론 보강형은 연구 방법 또는 연구 결과 및 자료 해석을 1회 이상의 과정을 통해 결론을 내린 후 다시 앞에 제시한 과정 이외의 연구 방법 또는 연구 결과 및 자료 해석이 나타날 경우라 하였다. 학생들은 과학 글쓰기를 통하여 과학자와 같이 글을 쓸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고, 학생들의 글쓰기 유형은 학생들을 평가할 수 있는 기준으로써 적용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인적자원부 (2007). 과학과 교육과정(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 - 79호 [별책 9]).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2. 교육인적자원부 (2007).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서(III) 수학, 과학, 기술가정.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3. 교육과학기술부 (2009). 고교 과학과 교육과정 해설서(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09 - 41호).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4. 김요한 (2005). 디지털 시대의 글쓰기. 독일언어문학, 27, 245-259.
  5. 김희경, 송진웅 (2004). 학생의 논변활동을 강조한 개방적 과학탐구활동 모형의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6), 1216-1234.
  6. 박은미, 강순희 (2007). 가설-연역적 수업 프로그램이 창의적 사고와 비판적 사고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3), 225-234.
  7. 정영란, 최진미 (2007).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과학적 소양 평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1), 9-17
  8. 정혁, 정용재, 송진웅 (2004). 빛을 주제로 한 11학년 학생의 과제 유형에 따른 글쓰기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1008-1017.
  9. 진순희, 장신호 (2007). 과학 탐구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지도 경험. 초등과학교육, 26(2), 181-191.
  10. Chinn, C. A., & Malhotra, B. A. (2002). Epistemologically authentic inquiry in school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evaluating inquiry tasks. Science Education, 86(2), 175-218. https://doi.org/10.1002/sce.10001
  11. Driver, R., Newton, P., & Osborn, J. (2000). Establishing the Norms of Scientific Argumentation in Classrooms. Science Education, 84(3), 287-312.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200005)84:3<287::AID-SCE1>3.0.CO;2-A
  12. Fellows, N. (1994). A window into thinking: Using student writing to understand conceptual change in science learn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9), 985-1001. https://doi.org/10.1002/tea.3660310911
  13. Hand, B., Prain, V., & Wallace, C. (2002). Influences of writing tasks on students' answers to recall and higher-level test question.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2, 19-34. https://doi.org/10.1023/A:1015098605498
  14.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15. Rivard, L. P., & Straw, S. B. (2000). The effect of talk and writing on learning science: An exploratory study. Science Education, 84, 566-593. https://doi.org/10.1002/1098-237X(200009)84:5<566::AID-SCE2>3.0.CO;2-U
  16. Watson, J. R., Swain. J. R. L., & McRobbie, C. (2004). Students' discussions in practical scientific inquiri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6(1), 25-45. https://doi.org/10.1080/09500690320000727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