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arents' Recognitions and Attitudes on Identification of Gifted Students Using Observation and Nomination by Teachers in Busan

교사 관찰.추천제를 활용한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방식에 대한 부산지역 초등학교 학부모의 인식과 태도

  • Choe, Ho-Seong (Kyungnam University) ;
  • Park, Hoo-Hwi (Kyungnam University, Busan Institute for Gifted Education & Promotion) ;
  • Kim, Eel (Kyungnam University, Busan Institute for Gifted Education & Promotion)
  • 최호성 (경남대학교) ;
  • 박후휘 (경남대학교, 부산광역시영재교육진흥원) ;
  • 김일 (경남대학교, 부산광역시영재교육진흥원)
  • Received : 2011.05.08
  • Accepted : 2011.06.16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parents about the teachers' recommendation system through their observations to identify the gifted. We conducted surveys for parents who had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Busan metropolitan city and analysed the results to find out about the differences among parents groups in terms of their monthly incomes and opinions on teachers' observation and nomination for the gifted.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approx. 80% of the respondents recognized the changes in the giftedness identification system. Also, 40.5% of the parents positively thought about the teachers' observation and nomination system (positive group), whereas 32.3% of the parents showed their negative opinions about the system (negative group). There were also 27.2% of the parents who did not make their decisions (no-decision-making group). Second, most of the parents accepted that the teachers who were professionally trained in gifted education should be the persons for observing and nominating gifted students.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among the different monthly income groups of the parents in regards to who should be the person taking charge of recommending the gifted and how trustworthy this person could be. Third, the positive parents' group mostly expected that as the teachers' observation and nomination system is adopted, expenses for private education would decrease, whereas the negative group and no-decision-making group thought that the opposite result would occur. These results will be helpful for the successful adoption of teachers' observation and recommendation system to identify the gifted in the field of education.

본 연구는 영재교육대상자 선발에 활용되는 교사 관찰 추천제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과 태도를 조사한 것이다. 초등학교 자녀를 둔 부산지역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관찰 추천제에 대한 의견차와 월수입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변화된 선발방식에 대해 응답자의 약 80%의 학부모가 인지하고 있었으며, 관찰 추천제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학부모(긍정집단)가 40.5%,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학부모(부정집단)가 32.3%, 아직 판단을 내리지 않은 학부모(미판단집단)가 27.2%로 나타났다. 둘째, 영재교육 대상자로 학생을 관찰하고 추천할 적임자로 영재교육관련 연수를 이수한 교사에 대해 응답 학부모들의 공감대가 높았다. 그러나, 관찰 추천제에 대한 의견차와 월수입에 따라 적임자는 누구인가와 적임자에 대한 신뢰수준은 어떠한가에 대해 각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셋째, 정부의 사교육대책 일환으로 실시하는 관찰 추천제의 도입에 따른 향후 사교육비 지출은 긍정집단에서는 현재보다 감소할 것이라는 응답이 다소 많은 반면, 부정집단과 미판단집단에서는 증가할 것이라는 응답이 훨씬 많았다. 본 연구결과는 교육현장에서 관찰 추천에 의한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방식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2009). 공교육 경쟁력 향상을 통한 사교육비 경감 대책. 보도자료.
  2. 김명환 (2009). 글로벌 창의인재 양성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3. 김미숙 (2008).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 제도 개선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4. 류지영 (2010). 관찰 . 추천을 통한 영재판별에 대한 영재담당교사들의 인식과 태도. 한국교원교육연구, 27(2), 159-178.
  5. 박민정, 전동렬 (2008). 과학영재교육 대상자 선발방법으로써 교사 추천제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2), 111-119.
  6. 박선자, 최경희, 이현주 (2009). 교육청 영재교육원 과학 담당교사들의 영재성에 대한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9(2), 119-137.
  7. 박숙희 (2009). 소외계층 영재교육. 영재와 영재교육, 8(3), 5-21.
  8. 박승배 (2010). 영재교육 관찰 . 추천 선발도구 매뉴얼. 울산: 울산광역시교육청.
  9. 서혜애 (2010). 영재교육대상자 관찰 . 추천 도구 매뉴얼. 부산: 부산광역시교육청.
  10. 서혜애, 박경희 (2007). 영재교육 교사연수의 교사 전문성 신장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 영재교육연구, 17(3), 421-442.
  11. 송경순 (2004). 고등학생과 부모의 교사에 대한 신뢰연구. 석사학위 논문. 인하대학교.
  12. 신보미 (2010). 수학 영재 관찰 . 추천 도구의 개발과 모의 적용 사례 연구. 영재교육연구, 20(1), 31-59.
  13. 신희선, 김선자, 박종욱 (2010). 과학 관련 특목고에 진학한 과학영재교육원 수료생 부모들의 과학영재교육원에 대한 인식 및 과학교육참여에 대한 분석. 과학영재교육, 2(1), 27-43.
  14. 심재영, 정세환, 이길승 (2007). 국제과학올림피아드 참가자의 진로에 대한 연구. 영재교육연구, 17(1), 145-171.
  15. 안순란 (2004). 초등학생과 부모의 교사에 대한 신뢰연구.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16. 윤초희 (2007). 언어영재 교사 전문성 신장의 현황과 과제. 영재와 영재교육, 6(2), 37-64.
  17. 이경화, 최병연, 박숙희 (2005). 영재교육. 서울: 박학사
  18. 이숙정 (2005). 교사신뢰척도 개발 및 교사신뢰와 학교효과 변인의 관계 모형 검증. 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19. 이인호, 한기순 (2009).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에서 교사 추천의 효용성 분석. 영재교육연구, 19(2), 381-404.
  20. 전미나 (2010). 사교육 경험이 영재판별 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초등학교 영재학생 및 학부모의 인식.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21. 최호성 (2009). 2009학년도 초등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 직무연수 교재. 부산: 부산광역시영재교육진흥원
  22. 최호성 (2010). 영재성 판별도구의 개발과 적용. 부산: 부산광역시영재교육진흥원.
  23. Baum, S. (1994). Meeting the need of gifted/learning disabled students. The Journal of Secondary Gifted Education, 3(5), 6-16.
  24. Fox, L. H. (1976). Identification and program planning: Models and methods. In D. P. Keating (Ed.), Intellectual talent: Research and development. Baltimore, Md: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25. Renzulli, J. S., & Reis, S. M. (1986). The enrichment triad/revolving door model: A school wide plan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e productivity. J. S. Renzulli (Ed.), System and models for developing program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rning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