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학업성취와 자율적 행동역량 : 독서시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into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Key Competency of Acting Autonomously : With a Special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Book-reading Hours

  • 이정민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 이강이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Lee, Jung-Min (Department of Child Development and Family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Kang-Yi (Department of Child Development and Family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1.06.25
  • 심사 : 2011.09.22
  • 발행 : 2011.12.31

초록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hours spent on book-read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Key Competency of Acting Autonomously. This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Korean Assessment of the Key Competencies of Youth in 2009', which was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participants were 2,781 elementary school students, 2,770 middle school students and 3,599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selected from 12 areas of Korea. The data was analyzed by means of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also through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1)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hours spent in book-reading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competency of acting autonomously, 2) the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 on the competency of acting autonomously was partially mediated by the hours spent in book-reading, 3)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the most influential when it came to elementary students, followed next by middle school and then finally high school stud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현석(2008). 인문계 고등학생의 학업 성취도 변화 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구명숙(2006). 독서요법이 중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권민균(2002). 초등학생의 읽기동기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3(3), 17-33.
  4. 권해수․김기헌(2010). 자율적 행동 역량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핵심역량, 만족도, 진로계획 및 학업성취도. 교육심리연구, 24(1), 83-102.
  5. 권해수․김민성․강영신(2011). 학교 기반의 청소년 핵심 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한국청소년연구, 22(1), 141-173.
  6. 김기헌․맹영임․장근영․구정화․강영배․조문흠 (2009). 청소년 핵심역량 개발 및 추진방안 연구 II:자율적 행동 영역. 한국청소년개발원 연구보고서, 2009(1).
  7. 김의철․박영신(2003). 한국 학생의 자기효능감, 성취 동기와 학업성취. 교육심리연구, 17(1), 37-54.
  8. 김정희(2009). 고등학생의 읽기동기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박영신․김의철․탁수연(2002). IMF시대 이후 한국학생과 성인의 성공에 대한 의식. 한국심리학회지:사회문제, 8(1), 103-139.
  10.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편(1994). 교육학 용어사전 2. 서울: 하우.
  11. 성태제(2007). 알기쉬운 통계분석. 서울: 학지사.
  12. 소경희(2007).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본 "역량(competency)"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함의. 교육과정 연구, 25(3), 1-21.
  13. 신대철(2006). 중학생의 독서와 교과 성적과의 상관관계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신우성(2009). 미국처럼 쓰고 일본처럼 읽어라. 서울: 어문학사.
  15. 이상미(2007). 집단 독서 치료가 초등학생의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이지현(2005). 독서요법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임지현(2004). 지각된 자율성 지지 정도와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동기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조증열․이임숙(2004). 초등학생의 읽기 능력, 독서, 학업효능감 및 학업성적간의 인과적 관계. 초등교육연구, 17(1), 127-143.
  19. 한국출판연구소(2010). 2010년(제13회) 국민 독서실태 조사. 문화체육관광부(도서관정책과).
  20. 한은미(2009). 고등학생들이 지각한 담임교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함수희(2008). 독서치료가 초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Bandura, A. (1977). Self-Efficacy:Toward a unification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23. Bandura, A. (1993). Perceived self-Efficacy in cognitive development and functioning. Educational Psychologist, 28(2), 117-148. https://doi.org/10.1207/s15326985ep2802_3
  24. Bandura, A. (1997). Self-efficacy: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W. H. Freeman and Co.
  25. Chemers, M. M, Hu, L., & Garcia, B. F. (2001). Academic self-efficacy and first year college student performance and adjust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3(1), 55-64. https://doi.org/10.1037/0022-0663.93.1.55
  26. Knowles, M. S. (1975). Self-directed learning:A guide for learners and teachers. New York, NY: Association Press.
  27.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28. OECD (2005).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Executive Summary. http://oecd.org/edu/statistics/deseco에서 2010년 6월 7일 인출.
  29. Pajares, F. (1996). Self-efficacy beliefs in academic setting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6(4), 543-578. https://doi.org/10.3102/00346543066004543
  30. Pajares, F., & Miller, M. D. (1994). Role of selfefficacy and self-concept beliefs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A path analysis. Journal of Eduactional Psychology, 86(2), 193-203. https://doi.org/10.1037/0022-0663.86.2.193
  31. Preacher, K. J., & Leonardelli, G. J. (2008). Calculation for the Sobel test:An interactive calculation tool for mediation tests. http://www.people.ku.edu/-preacher/sobel/sobel.htm에서 2010년 6월 5일 인출.
  32. Zimmerman, B. J., Bandura, A., & Martinez-Pons, M. (1992). Self-motivation for academic attainment: the role of self-efficacy beliefs and personal goal setting. Americal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9(3), 663-676. https://doi.org/10.3102/000283120290036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