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Culture Goods with Traditional Lady's Art Craft Work

전통규방공예를 이용한 문화상품 개발

  • Song, Jung-A (Dept of Fashion Design, School of Textile Engineering & Fashion Design kyang pook National University)
  • 송정아 (경북대학교 패션디자인전공)
  • Received : 2011.03.04
  • Accepted : 2011.05.02
  • Published : 2011.08.31

Abstract

In the tide of globalization, culture products play pivotal role in effectively introducing our tradition and culture to the world. This research is about developing culture products using our traditional lady's art craft work to attain the purpose of modern application through recreation of tradition along with modern technology. First, the types of traditional lady's art craft work include pouches, wrapping clothes and other accessories made by sewing except costumes. The materials used were cotton, silk, ramie, hemp and decorating techniques involved were embroidery, patchwork, quilting, knot. Seco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veloping culture products with traditional images which also satisfy modern sense. Therefore, items that could be used readily in daily life were selected. Such items include bags, mufflers, name card cases, brooches. In addition, the Korean traditional Patchwork images which have both western-style and modern sense were selected out of the many kinds of traditional lady's art craft works. Third, cultural products (bags, mufflers, name card cases, brooches) were created by DTP in silk with sacdong and free-styled division Korean traditional Patchwork images and quilting techniqu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examining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modern culture products using traditional lady's art craft work. A way to further develop this study would be to shed new light on traditional crafts and local cultural resources and actively carry on the study of cultural product development to provide the foundation for developing cultural products with modern applications.

Keywords

References

  1. 권수연, 장현주. (2009). 조선시대 자수 규방공예품의 유형과 특성. 복식, 59(4), 1-13.
  2. 김경기, 임철민, 정성환, 장영순. (2007). 전통문화 상품의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전통문화 상품 쇼핑몰을 중심으로-. 디자인학연구, 20(4), 143-154.
  3. 김보경. (2003). 규방공예의 전통 침선기법에 관한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정미. (2006). 조각보의 조형성을 응용한 현대복식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0(4), 507-518.
  5. 김지영, 김문진.(2000). 규방공예. 컬처라인, pp. 17-18.
  6. 김희숙. (2007). 안동지역 전통문화와 연계한 전통문화상품의 디자인 개발: 소비자 의식조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9(6), 645-650.
  7. 남재경. (2004). 한국적 이미지를 응용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연구-스카프, 넥타이 상품을 중심으로-. 조형예술학연구, 6, 249-266.
  8. 박혜신, 이건희. (2006). DTP 문화상품 개발을 위한 디자인 연구-패턴 디자인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2(4), 38-47.
  9. 배순미, 김정희. (2004). 한국 전통매듭을 응용한 복식디자인 연구 - 조선 후기의 한국 전통매듭 기법을 중심으로-.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4(2). 35-46.
  10. 산업디자인진흥원. (1999). 전통소재에 의한 한국문화상품의 특성화 연구.
  11. 신희경.(2005). 우리나라 공예문화상품의 특성 문석과 발전 방안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1(4), 97-108.
  12. 엄경희. (2004). 한국 전통자수문양을 활용한 문화상품디자인 개발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0(2), 107-113.
  13. 이미석. (2009). 전통 색동이미지를 응용한 문화상품개발에 관한 연구. 복식, 59(2), 101-110.
  14. 이연순, 권현정, 이정은. (2008). 한국 전통 당초문양을 활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0(4), 479-488.
  15. 이종분, 이수철. (2002). 한국의 전통적 곡선미를 이용한 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섬유소재를 이용한 인테리어 및 패션소품을 중심으로. 서울디자인포럼학회지, 6(1), 457-465.
  16. 최경숙, 이해주. (2003). 한국의 문화상품 개발과 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제53차 추계학술대회 발표집, pp. 111-112.
  17. 최선미, 양숙향. (2007). 조각보 이미지를 이용한 여성생활한복 디자인 개발. 한국의류산업학회지, 9(2), 145-150.
  18. 최승연, 이미숙, 신윤숙. (2006). 전통문화상품에 나타난 문양분석-서울지역과 광주 지역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4(1), 101-113.
  19. 최윤혜, 은영자. (2004). 전통조각보의 색채, 면구성을 응용한 패턴의 감성이미지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6(3), 266-274.
  20. 허동화. (1997).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규방문화. 현암사, pp. 269-304.
  21. 허동화. (2001). 이렇게 고운색 The World of Colorful Delight. 한국자수박물관출판부, pp. 40-86.
  22. 21세기 문화산업 어떻게 할 것인가. (1998. 3). 문화예술, pp. 16-29

Cited by

  1. The Development of Local Festival Costumes in Andong vol.19, pp.1, 2017, https://doi.org/10.5805/SFTI.2017.1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