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속성 효용이론을 적용한 운전자 특성별 경로 선택 연구

Selection of Routes for Reflecting Driver's Characteristics by Adopting Multi-Attribute Utility Theory (MAUT)

  • 오지은 (부경대학교 공간정보시스템공학과) ;
  • 배상훈 (부경대학교 공간정보시스템공학과)
  • 투고 : 2010.10.20
  • 심사 : 2010.11.17
  • 발행 : 2011.06.30

초록

산업의 다각화로 지역간은 물론이고 도시내 자동차 통행량이 증가하고 있다. 고령자 및 여성 운전자의 수도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운전자 계층을 대상으로 경로별 속성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여 운전자 계층별 특성이 반영된 경로를 제시하고자 한다. 운전자 계층은 크게 성별, 연령별, 운전경력별로 구분하고 이러한 운전자 특성에 맞게 도출된 경로를 최단경로와 비교하였다. 운전자 계층별 특성에 따른 경로별 선호도를 파악하기 위해 다속성 효용이론(MAUT)을 적용하였다. 차로수, 사고건수, 경사도 등 경로속성에 대한 가중치 도출 결과, 구간길이 0.282, 제한속도 0.237, 차로수 0.191, 경사도 0.162, 사고건수 0.129로써 경로 선택 시 구간길이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사례지역을 대상으로 운전자 특성에 맞는 최적경로 도출 결과 남성운전자는 여성운전자에 비해 전체 링크의 구간길이는 1.25km단축되고 차로수가 더 많은 신속한 경로를 선호하였다. 고령운전자는 일반운전자에 비해 사고건수가 적은 안전한 경로를 선호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운전 경력 1년 미만의 운전자는 숙련된 운전자에 비해 차로수가 많고 사고가 많이 발생하지 않는 안전하고 편리한 경로를 선호하였다. 따라서, 현재 최단경로에 국한되어 있는 네비게이션을 통한 경로정보제공에 있어 운전자 계층의 특성을 반영한 정보 제공 다양화의 필요성이 본 연구를 통해 입증되었다.

Traffic volume increases due to diversification of industry. Also, Automobile ownerships also increase steadily. It is estimated that the registered number of vehicle is expected to be 20 milion in the year 2015. These trends may result in increasing the number of woman drivers and elderly driver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routes that reflect characteristics of each driver's preferences. A survey was conducted on different routes attributes for variances drivers. Driver types were classified by gender, age, and driving career. Accordingly, a weight for road composition attribute such as number of lanes, number of accidents, slope was estimated by using Swing Weighting technique in Multi-Attribute Utility Theory. In addition, a case study was conducted and identified weights were applied to routes. In result, drivers commonly prefer short route when they considered their routes. Also, male drivers prefer speedy and shorter route than that of female drivers. Elderly drivers prefer safe routes that represent low accidents rate. Moreover driving career under a year drivers prefer safe and easy routes. Therefore, we may conclude that the necessity of diversified route information is essential in the future car navigation system.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상미, "여성운전자 증가에 따른 차량충돌안전 장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pp.42-47, 2008.
  2. 통계청(http://kosis.kr), "연령별(시도) 추계인구," 2007.
  3. 지우석, "고령자 운전특성에 관한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pp.19-20, 2003. 12.
  4. G. Pang, K. Takahashi, T. Yokota and H. Takenage, "Drivers route selection : a philosophical consideration and user-interface," IEEE 0-7803-2587-7, pp.147-154, Jul. 1995.
  5. 이병주, 성수련, 김명수, 남궁문, "통행전 시간대별 교통정보 제공에 따른 동적 경로선택행태 분석," 대한교통학회, 제36회 학술발표회논문집, pp.483-488, 1999. 10.
  6. 이상훈, 김덕영, 김성환, "퍼지평가방법을 이용한 교통노선 결정," 대한교통학회지, 제20권, 제 1호, pp.65-76, 2002. 2.
  7. D. Park, R. Laurence R and C. Choi, "A class of multicriteria shortest path problems for real-time in-vehicle routing," Canadian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 34, pp.1096-1109, Sep. 2007. https://doi.org/10.1139/l07-013
  8. D. Huanbin and Z. Zhihui, "GIS-based combination of fuzzy numbers and AHP method for selection of highway route : a case study from Anhui," IEEE, 978-1-4244-7737-1, Jun. 2010.
  9. 한두현, "무인전투차량의 전역경로계획에 대한 다기준 최단경로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한국 과학기술원 석사학위논문, 2010. 2.
  10. T. Saaty,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McGraw-Hill Inc, New york, 1970.
  11. J. Neumann and O. Morgenstern, "Theory of games and economic behavior,"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47.
  12. 이학성, "RTMS 구축 우선 순위 선정에 다속성 효용함수 적용 방안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2.
  13. 하승우, "다속성 효용이론을 이용한 경량전철 차량시스템 선정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2.
  14. 국가교통DB센터, "국가교통 표준노드링크," 2006.
  15. 안재현, 방영석, 한상필, "다속성 효용이론을 활용한 소비자 선호조사," 경영정보학연구, 제18권, 제3호, pp.1-20, 2008. 2.
  16. 박상용, 이덕기, 이정태, 이상설, "다속성 효용 이론을 이용한 신규 수요관리 투자사업 선정평가 모델 개발," 대한설비공학회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231-236, 2008. 6.
  17. 도로교통공단, "전국 시도 및 도로별 사고 잦은곳 현황," 2009.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