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서울숲 공원관리조직의 사회 연결망 분석

Analysis of Social Networks in the Management Organization of Seoul Forest Park

  • 투고 : 2011.03.04
  • 심사 : 2011.06.26
  • 발행 : 2011.06.30

초록

본 연구는 공원관리 참여조직간의 사회적 연결망을 분석하고, 참여조직의 활동을 활성화하는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공원관리 참여조직 간의 신뢰, 참여, 정보교류의 실태를 사회 연결망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서울숲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행정기관, 시민단체, 주민단체, 기업으로 구성된 15개 참여조직과 핵심인물 30명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설문조사는 조직간 신뢰, 참여, 정보교류 및 연구 통계적 속성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으며, 분석은 사회 연결망 분석 프로그램인 UCINET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1) 신뢰, 참여, 정보교류의 연결구조에서 다른 조직에 비해 많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중추조직(HUB)는 서울숲 사랑모임과 서울숲 관리사무소로 나타났다. 2) 함께 일하고 싶은 조직과 향후 활발한 참여를 바라는 조직에 대한 연결망 분석에서는 환경 예술분야의 시민단체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3) 부녀회, 통장단 등 지역 주민단체 연결망을 살펴보면 중심성이 매우 낮으며 서로간의 연결관계도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와 함께 다양한 도시공원과 지역을 대상으로 공원관리 참여조직간의 사회 연결망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주민참여와 협력 이 활발한 공원관리 방안을 마련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vise means to encourage participation for organizations taking part in "resident participation parks.", "Resident participation" has become increasingly recognized as an effective means of park management in Korea.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social networks for civic organizations participating in park management with respect to their degree of participation, credibility and trust, and exchange of information. Among resident participation parks, "Seoul Forest Park" has been widely recognized as a model example; accordingly this study designated Seoul Forest Park as its primary research focus. Thirty core members of resident participation organizations were selected as test subjects. Members of the resident participation organizations under review came from various backgrounds, including government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citizens' groups, residents' groups, and private businesses. Surveys were used to provide data on credibility and trust between organizations, levels of participation, and exchange of information, as well as statistics on demographic affiliation. Results were examined through UCINET, a program designed to analyze social networks. Survey results indicated that 1) The "Seoul Forest Park Conservancy" and the "Seoul Forest Park Management Office" constituted a hub within their social networks that maintained significantly more relationships than other organizations with regard to levels of credibility and trust, participation, and exchange of information; 2) Social networks for organizations wishing to work together, or desiring active participation in the future tended to center on citizens' organizations in the environmental and arts fields; and 3) Women's associations and meetings of neighborhood("tong") leaders had very little significance as a center in the social networks of local residents groups, and indeed very few connections amongst themselv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applied in the devising of proposals for encouraging participation in resident participation parks in consideration of the social networks between organizations engaging in park management activities for a diverse array of urban parks and other area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미나, 심정선, 김효정, 김용근(2009) 서울숲 공원관리참여 활성화를 위한 관리주체와 공원이용객 인식 연구. 국토계획 44(1):223-234.
  2. 김용근, 조중현, 박태희(2002) 도시공원 관리에 있어서 주민의 참여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3):287-295.
  3. 김용학(2007) 사회 연결망 분석. 박영사.
  4. 류상일(2008) 지방자치단체의 재난대응 네트워크 분석.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0(1):53-70.
  5. 박윤주(1998) 도시소공원 이용실태분석 및 이용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손동원(2002) 사회 네트워크 분석. 경문사.
  7. 양진희, 김해경, 김영희, 조중현, 김용근(2002) 공원관리에 있어서 장소 귀속감에 따른 주민참여의식 비교. 한국조경학회지 30(5):66-77.
  8. 이규목, 이준미(2004) 도시공원녹지관리의 자발적 공동체내 사회적 자본 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지 39(2):271-284.
  9. 이명규(2006) 살기 좋은 국토 공간 만들기를 위한 주민참여와 협력방안. 도시문제 2006(6):57-68.
  10. 이영주, 이동호, 이주연, 김현, 김성일(2006) 국립공원 이해당사자간 갈등 관리를 위한 사회연결망 분석의 적용. 한국임학회지, 95(3):235-239.
  11. 이은엽, 명현(2008) 도시공원 정비 및 관리의 다양한 수법에 관한 연구. 한국녹지환경디자인학회지 4(2):34-39.
  12. 이준미, 이규목(2004) 도시공원 자원봉사행동의 지속성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2(2):1-10.
  13. 조경진(2009) 21세기 도시공원의 비전과 전략.울산 그린시티 조성 국제심포지엄.
  14. 하혜경(2005) 서울시 공원녹지행정에 있어서의 주민참여 연구. 서울시립대대학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Chris Walker(2004) The Public Value of Urban Parks. The Urban Institute.
  16. Freedman(1979) Centralityin Social Networks Conceptual Clarification, Social Networks. 1:215-239.

피인용 문헌

  1. Interest based-participation requiring accountability in greening vol.14, pp.4, 2018, https://doi.org/10.1080/21580103.2018.15125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