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iveness of a Motion Picture Contents in Middle School Career Education

중학교 진로교육에서 동영상 콘텐츠의 교육효과성 및 선호도에 대한 연구

  • 정연순 (한국고용정보원 진로교육센터) ;
  • 유병민 (건국대학교 사범대학) ;
  • 노경란 (성신여자대학교 교육학과) ;
  • 이승철 (한국고용정보원 진로교육센터) ;
  • 박혜진 (건국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공학과)
  • Received : 2011.01.22
  • Accepted : 2011.03.20
  • Published : 2011.03.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instructional method using by a motion picture at cognitive and affective learning domain, and students' preferences for instructional methods in middle school career education.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research design was appli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to a control group. A pair of 75students from four classes participated in an experiment. The results show higher learning achievements both of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in experimental group than in control group. Higher students' preferences for instructional methods were found in experimental group than in control group. It is concluded that a motion picture could give a more concrete experience and a more pleasure to students than traditional lecture. Higher learning achievements in cognitive and affective learning domain of career education and higher preferences were came out in consequence of using a motion picture.

Keywords

References

  1. 강운선. (1997). 사회과 교육에서 매체활용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주관적 평가에 관한 연구: 환경영역의 교수-학습 과정을 대상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5(1), 329-360.
  2. 강은수. (2004). 영상매체를 활용한 음악 감상 교육 방법 연구: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와 연계하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강지영. (1999). 영상자료를 활용한 환경수업의 효과에 대한 연구. 지리환경교육, 7(1), 329-360.
  4. 고재성, 이종범, 서현주, & 정명진. (2007). 직업심리검사 효과성 연구. 한국고용정보원.
  5. 고형석. (2006). 영상매체를 이용한 체육수업이 중학교 여학생의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국민정. (2003). 지리교과에서 동영상 자료의 활용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1(3), 119-132.
  7. 김미숙. (2009). 초등학교 저. 중. 고학년용 진로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안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김병숙, & 채희원. (2007). 영상매체 및 사실적 인쇄매체의 직업정보 전달이 청소년의 직업정보확장과 친밀도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20(2), 165-180.
  9. 김봉환, & 최명운. (2005). 학과 및 직업카드를 활용한 단기 진로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직업교육연구, 24(3), 163-183.
  10. 김성자. (1998). 중학교 과학교육을 통한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김수욱, & 박상훈. (2005). 농업환경교육의 학습효과 제고를 위한 멀티미디어 활용 방안 연구.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7(1), 225-242.
  12. 김연옥. (2003). 청소년의 영상매체 등장인물 동일시 현상과 자아개념간의 관계.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김영수, 양영선, 허희옥, & 두민영. (2006). 교육매체 연구의 동향. 권성호, 임철일.(편.), 교육공학연구의 동향-회고와 전망. 서울: 교육과학사.
  14. 김현옥. (1996). 교육개혁안에 따른 중등학교 진로교육 실천 방향. 한국진로교육학회, 5, 67-81.
  15. 김희수. (1992). 천문수업의 효율화를 위한 망원경 및 영상매체의 활용: 고등학교 <과학 I하>를 중심으로. 과학교육연구, 23(1), 269-283.
  16. 박가열, & 노경란. (2005). 청소년 직업체험 학슴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고용정보원.
  17. 박성열, 이종연, 유병민, 서용권, & 이현아. (2005). 친환경농업 교육 웹 사이트 및 컨텐츠 개발과 교육효과성 평가.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7(3), 29-46.
  18. 박성열, 김수욱, 유병민, 남민우, 김학섭, & 이현아. (2006). 친환경농업 애니메이션 e-learning 컨텐츠 교육효과성 검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8(2), 137-152.
  19. 박숙희. (1986). 교육공학 발전에 배경이 된 교수이론에 관한 연구. 교육공학연구, 2(1), 53-88.
  20. 박현수. (2007). 새로운 미디어 환경과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 鄕防저널, 13(11), 49-52.
  21. 신성용. (2007). 역사수업에서 영상매체 활용의 학령별 적절성과 효과분석. 역사와 역사교육, 13, 99-140.
  22. 이종호, & 김종운. (2009). 커리어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전문계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효과. 수산해양교육연구, 21(2), 1-15.
  23. 이혜숙, & 김유미. (2009). PBL 기반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초등 상담연구, 8(1), 33-50.
  24. 임진호, 이현석, & 김형주. (2005). 교육정보화 효과성 분석 연구: 정의적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서.
  25. 조일현. (2007). 보육교사 양성 e-러닝 과정의 효과성 분석. 정보교육학회 논문지, 11(3), 289-298.
  26. 최경애. (2008). 이러닝의 대인 상호작용 유형과 성인학습자의 교육효과에 대한 인식간의 관계 연구. 교육공학연구, 24(4), 167-191.
  27. 최성봉. (2008). 환경교육 영상매체 활용 수업이 환경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과학지, 17(1), 1181-1193.
  28. 한관종. (1999). 사회과에서의 영상매체 활용 수업모형 개발. 한국사회과학교육연구회, 32, 283-302.
  29. Chu & Schramm, W. (1967). Learning from television: What the research says. Stanford, CA: Stanford Univ. institute for Communication Research.
  30. Colin, J. M. (1987). Teaching social studies. Sydney: Pretice-Hall of Australia.
  31. Newman, J. A. (1981). Television in the class room: What the research says. Washington Office of the State Superintendent of Public Instruction, Olympia, Division of Instructional and Professional Services. ERIC DOCUMENT ED 206263.
  32. Sharf, R. S. (2006). Applying Career Development Theory to Counseling (4th ed.). Belmont, CA: Brooks/Cole.

Cited by

  1.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성취 목표, 학습 태도 및 학업성취도 실증적 고찰 : 교과연계 진로교육 경험을 중심으로 vol.24, pp.5, 2012, https://doi.org/10.13000/jfmse.2012.24.5.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