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Meaning of Rurality in Traditional Three-verse Korean Poem Written by Sadaebu

사대부 시조(時調)의 농촌성(Rurality)을 활용한 체험프로그램 연구 - 충남 홍성군 거북이마을 -

  • 최자운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김상범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김은자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Received : 2011.02.12
  • Accepted : 2011.03.21
  • Published : 2011.03.30

Abstract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the rurality in traditional three-verse Korean poem written by Sadaebu(사대부). We will discuss integration method for Rural and rurality. Rurality is not physical truth, but personal and subjective thing. The meaning of the rurality produce socially. So, the concept of the Rurality can be interpreted in many ways. Sadaebu in the Joseon period put emphasis on rural as a object of a self-discipline and govern. They compose a poem from rural life. There are various meaning related to rurality in traditional three-verse Korean poem. The rurality meaning of the Sijo written by Yakcheon and Jonjae can define union between the natural order and poetic narrator. poetic narrators accept theirselves to nature and work willingly. The host of the program must make visitors homesick and gives more energy by Sijo experience program. The most import thing is the identification of the visitor and rural. To accomplish these purpose, It needs visitors can sing a sijo by oneself.

Keywords

References

  1. 김영주. (2008). 약천 남구만의 문학론 연구. 퇴계학과 한국문화, 33, 212-218.
  2. 김정식, & 황한철. (2002). 농촌마을 정체성의 개념 정립과 확립방안 모색. 한경대학교 논문집, 34, 171-176.
  3. 김정태, 강동우, & 이성우. (2009). 농촌성과 도시성의 인식론적 이해. 농촌계획, 15(3), 51-56.
  4. 남구만. (2004). (국역)약천집. 서울: 한국고전번역원.
  5. 문옥표. (2000). 그린투어리즘의 생산과 소비. 농촌사회, 10, 205-232.
  6. 박덕병, 이민수, & 윤유식. (2006). 농촌관광 방문객의 농촌성(Rurality) 인지 영향 요인. 호텔관광연구, 8(3), 205-209.
  7. 박석희. (2001). 농산촌 관광목적지 방문 및 체재의도 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공원휴양학회지, 3(2), 165-175.
  8. 박석희, 이동기, & 윤상헌. (2002). 농촌성의 의미와 측정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관광농업연구, 9(1), 22-37.
  9. 신연우. (2000). 사대부 시조와 유학적 일상성. 서울: 이회.
  10. 신영명. (1999). 17세기 강호시조에 나타난 '田園'과 '田家'의 형상. 한국시가연구, 6, 148-157.
  11. 성당제. (2005). 약천 남구만 시의 품격. 한국한문학연구, 35, 258-280.
  12. 안동만, 손주동, & 김명수. (2005). 농촌경관의 농촌성과 선호도 평가연구. 농촌계획, 11(3), 43-52.
  13. 이정원, 정윤희, & 임승빈. (2006). 농촌어메니티자원의 농촌성 특성. 농촌계획, 12(2), 2-7.
  14. 이민수, & 박덕병. (2007). 도시민의 농촌성 인지 유형과 사회인구학적 특성. 농촌경제, 30(3), 38-43.
  15. 임주탁. (2010). 조선시대 사족층의 시조와 일상성 담론. 한국시가연구, 29, 45-60.
  16. 여기현. (1988). 강호시가의 한 양상. 반교어문연구, 1, 148-152.
  17. 장경수. (2010). 농촌관광 방문객의 만족결정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7), 402.
  18. 장정룡. (1995). 동해시 망상동 유적과 약천 남구만 시조작품. 강원민속학, 11, 91-96.
  19. 조영국. (2009). 수도권 한 대학생집단의 농촌인식. 국토지리학회, 43(2), 246-253.
  20. 조용훈. (2003). 학교 건축의 도시성과 농촌성: 학교건축의 경계성, 지역성, 낭만성을 중심으로. 교육시설, 10(3), 94-101.
  21. Cloke, P., & Edwards, G. (1986). Rurality in England and Wales 1981. Regional Studies, 9(2), 113-121.
  22. Mormont, M. (1990). Who is rural? or how to be rural? In T. Marsden, P Lowe & S. Whatmore (Eds.), Rural Restructuring: Global Processes and Their Responses. London, UK: Fulton Publishers.
  23. Newby, H. (1980). Rural sociology. Current Sociology, 28(1), 1-141. https://doi.org/10.1177/001139218002800101
  24. Willits, Fern K., & Luloff, A. E. (1995). Urban residents' view of rurality and contacts with rural places. Rural Sociology, 60(3), 454-4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