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Learning Coaching : Focused on Families with School Aged Children

학습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 학령기 가족을 중심으로

  • 노명숙 (전주비전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 김순옥 (성균관대학교 소비자가족학과)
  • Received : 2011.03.09
  • Accepted : 2011.07.25
  • Published : 2011.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Learning Coaching which enhances parent's learning-support behaviors, as well as, children's self-Effica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capability, and to implement and evaluate the program for the families with school aged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the experimental model of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Learning Coaching' were specified as five factors namely; offering options, offering democratic rules, pursuing appropriate results, offering school-related information, offering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for children.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xperiment group were found in pre- and post-test scores of parent's learning-support behaviors and children's self-effica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capability, but not for the control group. Thus, based on these findings, a modified model of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Learning Coaching' was presented as a conclusion.

Keywords

References

  1. 곽소현(2000). 청소년이해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권순영(2007). 초등학생 학습기술향상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명자․이정우․계선자․박미석․송말희․김경아․박수선․유을용․정진희(2003). 청소년 자녀와 어머니를 위한 세대간 이해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실시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1(1), 59-76.
  4. 김민수(2006). 자기결정성 및 부모의 학습지원 행동과 학습전략 및 학업성취의 관계.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김봉호(2008). 부사관의 코칭능력향상을 위한 코칭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검증.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순옥․노명숙․류경희․유현정․이영호(2008). 청소년기 자녀를 둔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6(8), 37-54.
  7. 김순옥․송현애(1998). 자녀와의 대화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및 효율성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3(1), 93-119.
  8. 김연수(2007). 어머니의 학습관여와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업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종덕(2001). 부모의 학습관여형태가 자녀의 학업동기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김태현(1997). 가족관계 역동성과 문제인식. 생활문화연구, 11, 21-48.
  11. 김향은․정옥분(1999). 자녀의 힘을 북돋우는 부모 프로그램이 어머니와 자녀에게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학회지, 20(4), 179-193.
  12. 김혜선(2006). 학습동기 훈련 프로그램이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김혜숙․최동욱․강신덕․이명우(1993). 부모교육평가보고서. 청소년대화의광장.
  14. 김혜연(2008).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활용할 수 있는 라이프 코칭(Life Coaching)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008년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81-88.
  15. 김희수(2004). 대학생들의 자아효능감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한국교육문제연구소 논문집, 19, 101-115.
  16. 문은식․김충회(2003). 부모의 학습지원행동과 초중학생의 학업동기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17(2), 271-288.
  17. 박기종(2000).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자아효능감 및 학업성적간의 관계.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송정아․윤명선(1997). 청소년자녀와 부모자녀 관계 향상 프로그램 모형.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5(1), 71-82.
  19. 양애경(2007). 감성지능, 학습동기, 학습자스트레스 및 자기 주도학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 예서현(2004). 의사소통 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 효능감 및 부모-자녀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초등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오세철(1997). 뇌성마비아 부모의 대처전략 훈련 프로그램의 적용효과.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2. 오인경(2003). 구성주의 교육-학습 전략으로서의 코칭의 역할과 프로세스. 기업교육연구, 5(2), 5-25.
  23. 유은희(1996). 청소년 자녀의 부모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1), 1-17.
  24. 유은희․홍숙자(1998). 부모교육 프로그램. 대한가정학회지, 36(1), 157-168.
  25. 윤미선(2006). 중학생의 부모 학습관여 지각과 교과흥미 및 교과성적의 관계. 교육방법연구, 18(2), 139-155.
  26. 윤인숙(2005). 부모의 학습관여 형태와 자녀의 학습동기 및 자기조절학습능력의 관계.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윤종희(2006). 건강가정지원 서비스에서 가족-중심 개입 프로그램 개발 및 실시 : 통합 장애가 가족의 능력강화를 위한 생태학적 접근. 대한가정학회지, 44(4), 191-205.
  28. 윤주영(2000). 현실요법을 바탕으로 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내적 통제성 증대 및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이미숙(2006).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의 관계. 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이숙자(2007). 부모의 학습지원행동과 초등학생의 자기조절학습의 관계.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임은미(1998). 학업동기 및 부모행동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2. 장영진(2000). 청소년 자녀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정병오(2008). 로직모델(Logic Model)을 기반으로 한 프로그램 기획. 서울특별시 건강가정지원센터 강의자료집.
  34. 정옥분․정순화(2008). 부모교육. 서울: 학지사.
  35. 조혜영․이경상(2005). 사교육시간, 개인공부시간, 학교수업 참여도의 실태 및 주관적 학업성적향상 효과. 한국교육, 32(4), 29-56.
  36. 지은구(2008). 사회복지평가론. 서울: 학현사.
  37. 최경희(2006). 부모의 학업 성취 압력 및 아동의 귀인성향과 시험불안 및 학업성취의 관계.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 최대헌․이인수․김현아(2007). 새터민 아동․청소년의 적응력향상을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 아동교육, 16(2), 277-291.
  39. 추미애․박아청(2006).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 및 학교적응간의 관계. 아동교육, 15(2), 271-288.
  40. 한국가족상담교육연구소(1997). 연수교재 : 가족생활교육실습 : 가족생활교육사(2급)연수과정. 한국가족상담교육연구소.
  41. 한국가족상담교육연구소(2005).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자료집. 한국가족상담교육연구소.
  42. 한국청소년상담원(1993). 자녀의 힘을 북돋우는 부모. 한국청소년상담원.
  43. 한국청소년상담원(1998). 부모교육활성화 추진 방향과 방안. 1998년 전국 부모교육 활성화 추진대회 자료집.
  44. 허정무(2005). 부모교육 이론 및 프로그램 모형 분석. 청주교육대학교 논문집, 32, 398-428.
  45. 황성철(2008).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서울: 공동체.
  46. Bandura, A. (1982). Self-efficacy: Towo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47. Coopersmith, S.(1967).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 Francisco: Saga Publication.
  48. Dinkmeyer, D., & Mckay, G.(1985). 당신도 유능한 부모가 될 수 있다. 이경우(편역). 서울:창지사.
  49. Ginott, H. G.(2008). Between Parent and Child. N.Y. : Three Rivers Press. 부모와 아이 사이. 신홍민(역). 서울: 양철북.
  50. Harter, S. (1985). Mannual for the Social Support Scale for Children. Denver: University of Denver.
  51. Kanigsberg J. S., & Levant R. F.(2006). Parental attitudes and children's self-concept and behavior following parents' participation in parent training groups.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6(2), 152-160
  52. Popkin, M. H.(2007). Active Parenting Now: Parent's Guide. Georgia:Active Parenting Publishers, Inc. 부모 코칭 프로그램 적극적인 부모역할. 홍경자․노안영․ 차영희․최태산(공역). 서울: 학지사.
  53. Posavac, E.J., & Carey, R. G.(1997). Program evaluation: methods and case studies.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