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신임사서공무원을 위한 기본소양 사이버 연수용 콘텐츠 개발

Development of Cyber Training Content for Newly Employed Public Services Librarians

  • 이신호 (국립중앙도서관,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
  • 양해술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 투고 : 2011.08.25
  • 심사 : 2011.09.08
  • 발행 : 2011.09.30

초록

본 연구는 신임사서 공무원을 위한 기본소양교육에 필요한 연수용 콘텐츠 개발을 위해, 신임사서 공무원의 연수과정을 실태 조사하고, 연수용 교육콘텐츠의 기획 설계 제작과정에 대한 개발모형을 제시하였다. 또한 소양교육 사이버연수용 콘텐츠를 평가하기 위한 자체 평가 도구를 개발하고, 전문가 집단에 의한 델파이 방식의 평가문항 및 척도의 검증작업도 실시하였다. 사이버 콘텐츠개발모형에 따라 개발된 최종 콘텐츠는 6개 영역 28차시로 제안되었고, 교육용 콘텐츠 타당성 평가 목적으로 평가문항 및 척도 구성을 위해 17개 문항에 대한 요인분석의 결과 변량치 .40 이상 4개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콘텐츠개발 모형에 대한 요인별 인식차이는 통계적인 의미를 보이지 않았지만, 문항별 적절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일부 문항에서 현저히 낮은 결과를 보였다.

This study sets out to examine training courses for newly government-employed librarian for developing training contents to learn their basic knowledge, and suggests development model about training contents' planning, designing and making-process. In addition, in order to evaluate cyber training contents it devises self-evaluating tool, conducts a reviewing of questionnaire and measure by Delphi method. The final content made under the cyber contents development model proposes the six areas and 28th trials. Feasibility assessment for the purpose of evaluating educational contents, based on 17 questions to measure the factor analysis results, it yields, it yields 4 factors having more than .40 variance. Though differences in perception depending on factors did no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difference in the adequacy of questions results significantly lower in some of them.

키워드

참고문헌

  1. 공무원교육훈련법. 2010. 행정안전부.
  2. 국립중앙도서관. 2011. 2011년도 사서교육훈련. 서울: 계문사.
  3. 국립중앙도서관. [online]. [cited 2010.2.1]. .
  4. 김자미, 박종선, 한태인. 2009. 콘텐츠품질인증 길라잡이. 서울: (사)한국이러닝산업협회.
  5. 김지혜. 2008.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 관점에서 본 e-러닝 콘텐츠 평가 기준 개발: 상호작용성과 인터페이 스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컴퓨터교육공학과.
  6. 김희배, 박인우, 임병노. 2005. 대학 e-러닝 콘텐츠 공동개발 및 활용유통 활성화 방안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교육유관기관보고서, 7(2): 13-17.
  7. 도서관법. 2011. 문화체육관광부.
  8. 도서관법 시행령. 2011. 문화체육관광부.
  9. 문화체육관광부. 2011. 2010 문화예술정책백서.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10. 박덕영, 김혜창. 2002. 온라인 디지털 콘텐츠 산업발전법 제정의 의미 및 그 효과에 관한요소. 연세법학회 연세법학연구, 12(3):227-248.
  11. 서우석, 김수옥, 김재호, 이윤조. 2008. 신임환경 공무원을 위한 환경소양 사이버 연수 콘텐츠 개발. 환경교육, 21(2): 25-39.
  12. 손경아. 2007. 이러닝 콘텐츠 개발을 위한 멀티미디어 자원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개발. 컴퓨터교육학회 컴퓨터교육학회지, 10(4): 73-82.
  13. 염명숙, 조은순. 2010. 원격교육 활용론. 서울: 남두도서.
  14. 오석홍. 1997. 인사행정론. 서울: 박영사.
  15. 오현경. 2009. 공무원 교육훈련의 개선방안에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배재대학교 법무행정대학원, 행정학과.
  16. 이혜정, 박경선. 2009. 이러닝 콘텐츠 개발의 질관리를 위한 학습자 중심의 사용성 평가 방안 연구. 교육정보방송연구, 15(3):63-88.
  17.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1999.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서울: 교육과학사.
  18. 정미숙. 2008. 공공도서관 이러닝 이용자교육 콘텐츠 평가항목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원격교육공학과.
  19. 조미헌, 김민경, 김미량, 이옥화, 허희욱. 2010. e-Learning 컨텐츠 설계. 파주: 교육 과학사.
  20. Allen, M. W. 2003. Michael Allen's Guide to e-Learning: Building Interactive, Fun, and Effective Learning Programs for Any Company. New York: John Wiley & Sons.
  21. Chadwick, C. 2002. "Why Computers are Filing in the Education of Our Children." Educational Technology, 42(5): 29-34.
  22. Dwivedi, O. P. and A. Ernest. 1981. "Engelbert." Public Personnel Management, 10(1): 140-145. https://doi.org/10.1177/009102608101000120
  23. Garrison, D. R. and T. Anderson. 2003. E-Learning in The 21st Centurt: A Framework for Research and Practice. NY: RoutledgeFalmer.
  24. John E. Kerrigan and Jeffs. Luke. 1987. Management Training Strategies for Developing Countries. Colo: L. Rienner Publishers.
  25. Kahn, B. H. 2002. "Discussion of e-Learning Dimensions." Educational Technology, Jan/Feb: 59-60.
  26. Peter F. Drucker. 1999. Harvard Business Review on Knowledge Management. Boston, MA: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27. Pigors P. and Meyers C. A. 1977. Personnel Administration. New York: Mcgraw Hill.
  28. Schank, R. S. 2002. Designing World-class e-Learning. New York: Mcgraw Hill.

피인용 문헌

  1. 사서직 계속교육 동향 분석 - 온라인교육과 역량기반 교육을 중심으로 - vol.50, pp.2, 2016, https://doi.org/10.4275/kslis.2016.50.2.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