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version Analysis of Magnetotelluric Data Acquired in Geothermal Area of Seokmo Island

석모도 지열지대 자기지전류 탐사 자료의 역산 해석

  • Lee, Seong-Kon (Geothermal Resources Group, Geological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Park, In-Hwa (Geothermal Resources Group, Geological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Chung, Yong-Hyun (Natural Resources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
  • Lee, Tae-Jong (Geophysical Exploration Major,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이성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토지질연구본부 지열자원연구실) ;
  • 박인화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토지질연구본부 지열자원연구실) ;
  • 정용현 (한양대학교 자원환경공학과) ;
  • 이태종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물리탐사공학)
  • Received : 2011.08.10
  • Accepted : 2011.09.14
  • Published : 2011.10.31

Abstract

A field campaign of magnetotelluric (MT) and audio-frequency MT (AMT) survey was done at 36 measurement points as a complementary for the previous 44 MT measurements completed during the period of 2005-2006. The purpose of additional MT survey is to investigate the possible fracture system in Seokmo Island, which is conceived to be crucial in accumulation and migration of geothermal hot spring in this area. We have done 2D and 3D inversions of overall MT and AMT data distributed on a grid to interpret subsurface of extended area. The inversion results reveal that at least two major faults are imaged in the inversion results, one of which is in NNE-SWW with steep dip, and another is in E-W direction.

본 연구에서는 석모도 지역의 지열에너지 개발에 중요한 심부 파쇄대 시스템에 대한 보다 광범위하고 정밀한 조사를 위하여 2005-2006년에 수행되었던 44 측점의 탐사 영역을 확대하여 추가로 36 측점에서 자기지전류 및 가청주파수 자기지전류 심부물리탐사 현장 탐사 자료를 획득하였다. 이전의 자료와 함께 모든 자료는 격자상으로 분포하도록 설계하여 관심 영역 내에서 2차원 및 3차원 역산을 통하여 지질 구조 해석을 실시하였다. 역산 해석 결과 지열수가 발견된 시추공 주변으로 파쇄대로 추정되는 최소 2 조의 큰 전기비저항 불연속면을 영상화하였는데, NNE-SWW(북북동-남서) 방향으로 발달한 불연속대는 지열수가 발견된 시추공 방향으로 발달되어있고, 이와 함께 인접한 바다로부터 EW(동-서) 방향으로 불연속면이 발달되어 있음을 볼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박덕원, 이창범, 2007, 강화군 석모도 일대의 중생대 화강암류 및 화강암질 암맥류에서 발달하는 미세균열의 분포특성. 암석학회지, 16, 129-143.
  2. 송윤호, 이창범, 박덕원, 김형찬, 이철우, 이성곤, 박인화, 이태종, 심병완, 조병욱, 염병우, 이승구, 기원서, 현혜자, 손정술, 황세호, 오재호, 이윤수, 박찬, 정용복, 김통권, 이진수, 고동찬, 안은영, 윤욱, 2005, 심부 지열에너지 개발 사업. 한국지질자원연구원, OAA2003001-2005(3), 147 p.
  3. 송윤호, 이창범, 박덕원, 김형찬, 이철우, 이성곤, 박인화, 이태종, 심병완, 조병욱, 염병우, 이승구, 황세호, 이상규, 이윤수, 김통권, 이진수, 안은영, 윤욱, 김연기, 임현철, 이병대, 2006, 심부 지열에너지 개발 사업. 한국지질자원연구원, OAA2003001-2005(3), 190 p.
  4. 이승구, 김통권, 이진수, 송윤호, 2006, 강화 석모도 화강암류와 온천수의 지구화학: 온천수의 기원규명을 위한 Sr 동위원소의 응용. 암석학회지, 15, 60-71.
  5. 이태종, 송윤호, 이창범, 박덕원, 김형찬, 조병욱, 이승구, 김통권, 황세호, 윤욱, 이상규, 이철우, 이영민, 이성곤, 박인화, 심병완, 이윤수, 2008, 지열수 자원 실용화 기술 개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GP2007-002-03-2, 185 p.
  6. 황재하, 김유홍, 2005, 강화.온수리도폭 지질조사보고서(1:50,000 장기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5 p.
  7. Constable, S.C., Parker, R.L., and Constable, C.G., 1987, Occam's inversion: A practical algorithm for generating smooth models from electromagnetic sounding data. Geophysics, 52, 289-300. https://doi.org/10.1190/1.1442303
  8. deGroot-Hedlin, C. and Constable, S., 1990, Occam's inversion to generate smooth, two-dimensional models from magnetotelluric data. Geophysics, 55, 1613-1624. https://doi.org/10.1190/1.1442813
  9. Ledo, J., Queralt, P., Marti, A., and Jones, A.G., 2002, Two-dimensional interpretation of three-dimensional magnetotelluric data: An example of limitations and resolution. Geophysical Journal International, 150, 127-139. https://doi.org/10.1046/j.1365-246X.2002.01705.x
  10. Lee, S.K., Kim, H.J., Song, Y., and Lee, C.-K., 2009, MT2DInvMatlab--A program in MATLAB and FORTRAN for two-dimensional magnetotelluric inversion. Computers and Geosciences, 35, 1722-1734. https://doi.org/10.1016/j.cageo.2008.10.010
  11. Lee, T.J., Han, N., and Song, Y., 2010, Magnetotelluric survey applied to geothermal exploration: An example at Seokmo Island, Korea. Exploration Geophysics, 41, 61-68. https://doi.org/10.1071/EG10001
  12. Siripunvaraporn, W., Egbert, G., Lenbury, Y., and Uyeshima, M., 2005, Three-dimensional magnetotelluric inversion: Data-space method. Physics of the Earth and Planetary Interiors, 150, 3-14. https://doi.org/10.1016/j.pepi.2004.08.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