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Field Experiment and Numerical Modeling for Efficiency Analysis of Selective Withdrawal in Imha Reservoir

임하호 선택취수 효과분석을 위한 현장실험 및 수치해석 연구

  • 김태원 ((주)웹솔루스 수자원시스템본부) ;
  • 김영도 (인제대학교 환경공학부(낙동강유역환경연구센터)) ;
  • 이용곤 (경남발전연구원 환경교통연구실)
  • Received : 2011.10.26
  • Accepted : 2012.03.05
  • Published : 2012.04.30

Abstract

When a heavy rain brings flooding, a high turbid water is flowing into a reservoir. In this study, the effectiveness of the intake structures for the selective withdrawal from the various levels of a stratified reservoir was evaluated by the field experiments and the numerical modeling of the three-dimensional approaching flows. The temperature, the turbidity, and the velocity fields for the selective withdrawal were measured using both YSI6600EDS and YSI6600ADV, respectively. A threedimensional model, FLOW-3D, was used to predict the performance of the intake tower in Imha reservoir. The comparisons of the vertical velocity field showed a good agreement with the field measurements. The efficiency of the turbid-water elimination of the selective withdrawal method from low levels was higher up to 46% than that of the surface withdrawal. From the analysis of the numerical simulation, the efficiency of turbidity elimination increased by 10% for the selective withdrawal from middle levels, and by 30% from low levels.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selective withdrawals from middle and low levels are more effective than the surface-water intake. The similar results were obtained by the one-dimensional model, SELECT, which is much more computationally time-efficient.

유역에서 집중호우가 발생하였을 경우 저수지 내로 고탁수층이 유입된다. 본 연구에서는 성층저수지로 유입된 고탁수층에 대한 선택취수 탁수배제 능력을 검토하기 위하여 3차원적인 접근흐름에 대한 현장실험 및 수치해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다항목수질모니터링시스템(YSI6600EDS)과 초음파유속계(YSI6600ADV)을 이용하여 선택취수시의 온도, 탁도 및 유속분포를 측정하였다. 3차원 모형인 FLOW-3D를 이용하여 저수지 내 취수탑 주변에서 유동형태를 예측하였으며, 현장실험에서의 유속 측정값과 비교분석한 결과 연직유속분포를 잘 모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관측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표면 취수에 비해 저층 선택취수를 수행하는 것이 고탁수층에 대한 저수지내 탁도 배제능력이 46%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차원 수치모의 해석결과, 표면취수에 비하여 중층취수를 하는 경우에는 저수지내 탁도 배제능력이 10% 증가하였고, 저층취수를 하는 경우에는 30% 증가하였다. 따라서 저수지 내 고탁수를 배제하기 위해서는 중층 또는 저층의 선택취수를 수행하는 것이 탁수배제 능력 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수치효율이 매우 높은 1차원 SELECT 모형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도, 박재현, 손병주(2011) 선형 성층수조에서의 선택취수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문집, 대한토목학회, 제31권 제6B호, pp. 499-505.
  2. 김유경, 정세웅, 이흥수, 정용락(2007) 부상웨어 설치에 따른 대청호 조류 성장 억제 효과 수치모의,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한국물환경학회, 제23권 제5호, pp. 581-590.
  3. 윤성완, 정세웅, 최정규(2008) 홍수 규모별 대청호에 유입하는 하천 밀도류의 특성 변화,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1권 제12호, pp. 1219-1230.
  4. 이용곤, 김영도, 박기영, 김우구(2005) 임하호 탁도변화 분석을 위한 2차원 수치모의,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5 권 제4B호, pp. 257-266.
  5. 이흥수, 정세웅, 신상일, 최정규, 김유경(2007) 성층화된 저수지의 방류수 수질예측을 위한 SELECT 모델의 적용성 검토,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한국물환경학회, 제23권 제5호, pp. 591-599.
  6. 정세웅(2004) 성층화된 저수지로 유입하는 탁류의 공간분포 특성 및 연직 2차원 모델링, 대한환경공학회지, 대한환경공학회, 제 26권 제9호, pp. 970-978.
  7. 정세웅, 박재호, 김유경, 윤성완(2007) 대청호 부영양화 모의를 위한 CE-QUAL-W2 모델의 적용,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한국물환경학회, 제23권 제1호, pp. 52-63.
  8. 정세웅, 오정국(2006) 대청호 상류 하천에서 강우시 하천 수온 변동 특성 및 예측 모형 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1호, pp. 79-88.
  9. 정세웅, 오정국, 고익환(2005) CE-QUAL-W2 모형을 이용한 저수지 탁수의 시공간분포 모의,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8권 제8호, pp. 655-664.
  10. 정세웅, 이정현, 류인구(2011a) ELCOM-CAEDYM을 이용한 용담호 3차원 수리-수질 연동 모델링,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한국물환경학회, 제27권 제4호, pp. 413-424.
  11. 정세웅, 이흥수(2011b) ELCOM-CAEDYM을 이용한 대청호 Microcystis Bloom 해석,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한국물환경학회, 제27권 제1호, pp. 73-87.
  12. 정세웅, 이흥수, 류재일, 류인구, 오동근(2008a) ELCOM-CAEDYM 을 이용한 대청댐 유입탁수의 3차원 모델링,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1권 제12호, pp. 1187-1198.
  13. 정세웅, 이흥수, 윤성완, 예령, 이준호, 추창오(2007) 홍수시 대청호 유역에 발생하는 탁수의 물리적 특성,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한국물환경학회, 제23권 제6호, pp. 934-944.
  14. 정세웅, 이흥수, 정용락(2008b) 입자크기 분포를 고려한 부력침강 저수지 밀도류의 탁도 모델링,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한국물환경학회, 제24권 제3호, pp. 365-377.
  15. 정세웅, 이흥수, 최정규, 류인구(2009) 3차원 ELCOM 모형을 이용한 대청호 수온성층 모의,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한국물환경학회, 제25권 제6호, pp. 922-934.
  16. 정세웅, 정용락, 고익환, 김남일(2008c) 실시간 저수지 탁수 감시 및 관리를 위한 의사결정지원시스템 개발 및 검증: 대청댐 사례,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1권 제3호, pp. 293-303.
  17. 정용락, 류환, 김유경, 예령, 정세웅(2007) 선택취수에 따른 대청호 탁수 조절효과 및 수질영향 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0권 제8호, pp. 601-615.
  18. 정용락, 정세웅, 류인구, 최정규(2008) 대청호와 하류하천 연속시 스템의 2차원 수리.수질 모의,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한국물환경학회, 제24권 제5호, pp. 581-591.
  19. 한국수자원공사(2004a) 밀도성층화된 저수지내의 탁수배제시설 접근흐름에 관한 수치해석(1차년도).
  20. 한국수자원공사(2004b) 임하댐 탁수저감 방안 수립 보고서.
  21. 한국수자원공사(2006) 임하댐 취수설비의 탁수배제 능력에 대한 연구용역보고서.
  22. 허우명, 김범철, 김윤희, 최광순(1998) 소양호 유역에서 비점오염원의 홍수유출과 오염수괴의 호수내 이동, 한국육수학회지, 한국육수학회, 제31권 제1호, pp. 1-8.
  23. Bohan, J.P. and Grace, J.L., Jr. (1973) Selective withdrawal from man-madelakes; Hydraulic laboratory investigation, Technical Report H-73-4, U.S. Army Engineer Waterways Experiment Station, Vicksburg, MS.
  24. Chapra, S.C. (1997) Surface Water-Quality Modeling, McGraw- Hill, Singapore.
  25. Chung, S.W. and Gu, R. (1998) "Two-dimensional simulations of contaminant currents in stratified reservoir", J. of Hydraulic Engineering, ASCE, Vol. 124, No. 7, pp 704-711. https://doi.org/10.1061/(ASCE)0733-9429(1998)124:7(704)
  26. Fischer, H.B., List, E.J., Koh, R.C.Y., Imberger, J., and Brooks, N.H. (1979) Mixing in inland and coastal waters. Academic Press, New York.
  27. Flow Science (2003) Flow-3D.
  28. Smith, D.R., Wilhelms, S.C., Holland, J.P., Dortch, M.S., and Davis, J.E. (1987) Improved description of selective withdrawal through point sinks, Technical Report E-87-2, U.S. Army Engineer Waterways Experiment Station, Vicksburg, MS.
  29. Vanoni, V.A. (1975) Sedimentation Engineering.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New York, 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