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실감미디어 아트 분석을 통한 3D 입체영상의 미래 조망

Future of Stereoscopic 3D through the Analysis of Realistic Media Art

  • 투고 : 2011.07.21
  • 심사 : 2011.12.28
  • 발행 : 2012.01.28

초록

오늘날 문화산업은 전반적으로 예술에 대한 관심보다 상업적 경제적 가치에 치중해 왔으나, 본 연구는 예술적 문화적 의미가 궁극적으로 상업적 경제적 가치를 포괄하여 뛰어넘을 수 있는 돌파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실감미디어 아트의 사례분석과 실감미디어 현황살피기를 통하여 3D 입체영상이 나아갈 바를 예측하고 제시한다. 먼저 기술개발과 소비환경의 변화를 살펴보면, SF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에 나온 모션인식기술이 현재 실현가능한 기술이다. 3D 입체영상은 테마파크와 체험관에서 단체 상영되었지만 오늘날 3D TV와 3D 모니터 개발은 개별적인 소비환경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에서 거의 연구되지 않았던 실감미디어 아트를 크게 세 분류로 나누어 분석한다. 그 결과는 첫째, CAVE방식에서 관람자들이 자유롭게 인터페이스를 조작하거나 관람자의 직접적인 움직임에 따라 연동할 수 있는 관람자의 영향력 확대를 예상한다. 둘째, HMD방식과 센서슈트 혹은 통신장비를 통해 관람자의 지각확장과 상호 네트워크적인 형태를 예측한다. 셋째, HMD와 모션트래킹 재킷의 활용도 예견된다. 이 세 가지 특징의 융합적 활용을 통해 관람자의 시점에서 디스플레이 기기 착용으로 3D 입체영상을 체감하고 개입할 수 있는 능동적 4D의 가능성을 전망한다.

Generally today's culture and the arts industry has been focusing more on economic value than the arts. Therefore this paper will elucidate the meaning of the culture and the arts can be a break though which can only include commercial and economic values but transcend its values ultimately. First of all, this paper will suggest an advanced 3D stereoscopic images by analysis of examples and environments of realistic media arts. Looking into the changes of related technologies and market environments, the motion-recognition technology, as seem in SF film "Minority report", has become a feasible technology. In the past, 3D stereoscopic images were shown in the theme park theatre and exhibition halls for group viewing. but recent 3D TV and display devices have changed those environments to personal. Since domestic researches of realistic media art has been little, this paper will analyze them respecting to three broad classifications. The results are : Firstly, in CAVE method, more impact capabilities of spectators are expected that they can manipulate interactive interfaces freely and the physical movements of spectators can operate interactively. Secondly, inter-network communications and expansion of viewers' perceptions are predicted by way of HMD method, sensor suites and communication equipments. Thirdly, combinations of HMD and motion tracking utilization is foreseen. With the convergent usages of these three features, we can prospect the possibilities of interactive 4D that spectators wearing 3D stereoscopic display devices can experience and make their own 3D stereoscopic images actively at the point of their views.

키워드

참고문헌

  1. 첨단신기술정보분석연구회, 3D 융복합콘텐츠 산업기술 동향과전망, jinhan M&B, 2010.
  2. 권정아, 김성민, 박광만, "실감미디어에 대한 소비자 수용도 분석 및 산업 전망",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4권, 제2호, 2009(4).
  3. Bernard Mendiburu, 3d Movie Making : Stereoscopic Digital Cinema from Script to Screen, Elsevier, 2009.
  4. 베니김 편역, 입체영화산업론, MJ미디어, 2009.
  5. http://en.wikipedia.org/wiki/Virtual_Reality
  6. 진중권 엮음, 미디어 아트 예술의 최전선, 휴머니스트, 2009.
  7. 이수진, "가상현실의 체험과 현실세계의 상호성",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4.
  8. 스티브 존스 엮음, 이재현 옮김, 디지털 시대의 문화와 예술과 법률의 최신 지식, 커뮤니케이션 북스, 2006.
  9. 모토끼 토시오, 야노수미오, 이승현, 3차원 영상과 인간과학, 진샘미디어, 2010.
  10. http://www.jeffrey-shaw.net/html_main/frameset-works.php
  11. http://at.zkm.de/node/297
  12. Florence de Meredieu, Arts et Nouvelles Technologies, Larousse, 2003.
  13. http://kuchingching.blogspot.com/2010/10/ kazuhiko-hachiya.html
  14. http://www.stenslie.net/?page_id=59
  15. Laurie. McRobert, Char Davies' immersive virtual art and the essence of spatiality,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07.
  16. http://www.cyberstage.org/archive/cstage21/ osmose21.html
  17. http://digitalarts.lcc.gatech.edu/unesco/vr/ artists/vr_a_cdavies.html
  18. http://www.acmi.net.au/char_davies.htm
  19. 이수진, "가상현실의 체험과 현실세계의 상호작용성,"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4.
  20. 박소연, "CAVE기반의 석굴암의 디지털 복원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연구, 제4권, 제2호, 2003.
  21. http://www.virtualgalen.com/virtualhealing/ index.htm
  22. 김미연, "디지털 융합기술을 활용한 체험형 테마 파크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27권, 제3호, 2011(3).
  23. 이찬복, "영화 영상 전공에서의 스트레오코픽 3D 제작 교육 과정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0(6).
  24. http://www.stenslie.net/?page_id=57
  25. 안상철, 황재인, "하이테크 테마파크 영상관의 동향 및 전망", 정보과학회지, 제26권, 제12호,2008(12).
  26. 지수미, "문화콘텐츠 기반 테마파크 하이테크 발전방안 연구", 한국멀티미디어학회추계학술발표논문집, 2010(11).
  27. 하유솔, 고은지, 김명준, "손동작 인식 기반의 마우스 입력 장치", 정보과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응용, 제38권, 제10호, 2011(10).
  28. 민병우, "시공간상의 궤적 분석에 의한 제스쳐 인식", 정보과학회논문지, 제26권, 제1호, 1999(1).
  29. http://en.wikipedia.org/wiki/Gesture_recogn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