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Rhizome Length and Node Numbers on the Proliferation of Menyanthes trifoliata Cuttings

조름나물 삽목 시 지하경의 길이와 마디 수에 따른 증식효율

  • Received : 2012.03.20
  • Accepted : 2012.04.06
  • Published : 2012.05.31

Abstract

To enhance the proliferation efficiency of Menyanthes trifoliata L. endangered species in Korea, various rhizome cuttings were tested based on cutting length and node numbers. Growth length and increased volume of rhizomes were highest on long cuttings of 10-18cm length. But relative growth length of rhizomes were higher in short cuttings of 2-4cm and medium cutting of 4-10cm length than in long cuttings. Relative increased volume of rhizomes was highest in medium cuttings. The node numbers were not contributed to the efficiency of relative growth of rhizomes. This study suggests that medium length cutting is the best practice for the proliferation of M. trifoliata.

본 연구는 우리나라 멸종위기종인 조름나물의 삽목 증식 시, 지하경의 길이 및 마디 수에 따른 증식 효율을 살펴보기 위해, 조름나물 지하경의 길이와 마디 수를 다양하게 만들어 삽목한 후 생장량을 비교하였다. 지하경의 길이 생장과 부피 생장은 긴 길이의 삽목 조건(10-18cm)에서 가장 높았다. 그러나 상대 길이 생장은 짧은 길이(2-4cm)와 중간 길이(4-10cm)에서 더 높은 값을 보였으며, 상대 부피 생장은 중간 길이(4-10cm)에서 가장 높았다. 삽목에 이용한 지하경의 마디 수는 생장량의 증가에 기여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조름나물의 지하경 삽목은 4-10cm의 길이에서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귀순. 2008. 보호식물 산개나리(Forsythia saxatilis)의 자생지환경조사 및 삽목증식. 한국식물.인간.환경학회지 11(1): 27-34.
  2. 노나영, 송은영, 김성철, 고호철, 이석영. 2010. 한반도 희귀식물인 백서향의 녹지삽목을 통한 증식. 생물환경조절학회지 19(4): 246-250.
  3. 송정호, 장경환, 허성두. 2010. 희귀수종 눈향나무 (Juniperus chinensis var. sargentii Henry) 의 삽목증식.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3(4): 368-373.
  4. 이광문, 김재근. 2011a. 조름나물의 성장에 미치는 서식 기질의 영향. 한국습지학회지 13(2); 355-362.
  5. 이광문, 김재근. 2011b. 서식 기질과 동반종이 조름나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습지학회지 13(3): 613-621.
  6. 이창복. 1998.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p 76.
  7. 최효정, 허권. 2009. 고층습원 대암산 용늪의 식 물상 모니터링. 한국자연보호학회지 3(2): 93-104.
  8. 한국약용식물학연구회. 2000. 종합약용식물학. 학창사.
  9. 환경부 UNDP/GEF 국가습지보전사업관리단. 2010. 2010 전국내륙습지 일반조사. 환경부. pp 606-621.
  10. 홍문기, 김재근. 2011. 유전 형질, 환경 인자, 식재 방법 차이에 따른 갈대 지상경 삽목 효율 비교 분석. 한국습지학회지 13(3): 603-611.
  11. 홍문기, 김재근. 2012. 세 갈대 개체군의 절단 부위별 삽목 생장 특성. 한국복원기술학회지 15(1): 53-62.
  12. Haraguchi A. 1996. Rhizome growth of Menyanthes trifoliata L. in a population on a floating peat mat in Mizorogaike pond, central Japan. Aquatic Botany 53: 163-173. https://doi.org/10.1016/0304-3770(96)01022-4
  13. Hartmann HT, Kester DE, Davies FT. 1990. Plant Propagation: Principles and Practice (4th ed.). Prentice-Hall. p 647.
  14. Hewett DG. 1964. Menyanthes Trifoliata L. Journal of Ecology 52(3): 723-735. https://doi.org/10.2307/2257858
  15. Huang C, Tunon H, Bohlin L. 1995. Antiinflammatory compounds isolated from Menyanthes trifoliata L. Yao Xue Xue Bao 30(8): 621-626.
  16. Junior P. 1989. Further investigations regarding distribution and structure of the bitter principles from Menyanthes trifoliata. Planta Medic 55(1): 83-87. https://doi.org/10.1055/s-2006-961835
  17. van den Broek T, Boudewijn B. 2006. Germination and seedling survival in fens undergoing succession. Plant Ecology 185: 221-237. https://doi.org/10.1007/s11258-006-9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