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Regional-Scale Weather Model Applicabilities for the Enforcement of Flood Risk Reduction

홍수피해 감소를 위한 지역규모 기상모델의 적용성 분석

  • 정용 (건설기술연구원) ;
  • 백종진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 최민하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Received : 2012.04.25
  • Accepted : 2012.08.29
  • Published : 2012.09.15

Abstract

To reduce the flood risk caused by unexpected heavy rainfall, many prediction methods for flood have been developed. A major constituent of flood prediction is an accurate rainfall estimation which is an input of hydrologic models. In this study, a regional-scale weather model which can provide relatively longer lead time for flood mitigation compared to the Nowcasting based on radar system will be introduced and applied to the Chongmi river basin located in central part of South Korea. The duration of application of a regional weather model is from July 11 to July 23 in 2006. The estimated rainfall amounts were compared with observations from rain gauges (Sangkeuk, Samjook, and Sulsung). For this rainfall event at Chongmi river basin, Thomson and Kain-Frisch Schemes for microphysics and cumulus parameterization, respectively, were selected as optimal physical conditions to present rainfall fall amount in terms of Mean Absolute Relative Errors (MARE>0.45).

기후변화로 증가하는 홍수피해를 대처하기 위해 여러 예측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홍수예측의 가장 핵심 요소는 홍수예측을 위한 수문모델의 입력자료로 사용하는 강우에 대한 정확하고 신속한 예측이다. 기존의 레이더 강우를 이용한 Nowcasting 보다 더 많은 대응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중소규모의 기후모델인 WRF(Weather Research Forecast)-ARW(Advanced Research WRF)를 소개하고, 이를 한반도 중부지방의 청미천 지역에 적용하려 한다. WRF-ARW의 적용기간은 2006년 7월 11일부터 7월 23일까지이며 이 결과를 청미천 유역에 있는 강우 관측소들(생극, 삼죽, 설성)의 실제 강우관측소의 관측 값과의 비교에 의해 이 강우 사상에 대해 Thomson scheme(미세물리)와 Kain-Frisch scheme(적운형 매개변수)의 조합이 청미천유역에서 가장 적합한 기후물리 조합이며 Mean Absolute Relative Error를 통해 세 개의 강우관측지점이 0.45 이상의 값을 나타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유근, 정주희, 배주현, 오인보, 권지혜, 서장원(2006) WRF 모형을 통한 복잡 연안지역에서의 해상풍 모의 개선. 한국대기환경학회지, 한국대기환경학회, 제22권, pp. 309-323.
  2. 박종임, 김현미(2010) 앙상블 칼만 필터를 이용한 태풍 우쿵 (200610) 예측과 앙상블 민감도 분석. 대기, 한국기상학회, 제20권 제3호, pp. 287-306.
  3. 노영경(2010) 태풍 크로반(KROVANH)의 전향점에 기여하는 미세물리 방안에 대한 고찰.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4. 박순영, 이화운, 이순환, 이귀옥, 지효은(2011) 해안지형의 복잡성에 따른 해풍침투 변화가 대기경계층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환경과학회지, 한국환경과학회, 제20권, pp. 275-289. https://doi.org/10.5322/JES.2011.20.2.275
  5. 변재영, 원혜영, 조천호, 최영진(2007) WRF 모델에서 모의된 2005년 장마 기간 강수의 동조성 연구. Atmosphere, 대한대기학회, 제17권 제2호, pp. 115-123.
  6. 안중배, 허지나, 심교문(2010a) 수치예보모형을 이용한 역학적 규모축소 기법을 통한 농업기후지수 모사. 한국농림기상학회지, 한국농림기상학회, 제12권, pp. 1-10. https://doi.org/10.5532/KJAFM.2010.12.1.001
  7. 안중배, 홍자영, 심교문(2010b) 대기-해양-지면-해빙 접합 대순환 모형으로 모의된 이산화탄소 배증시 한반도 농업기후지수 변화 분석. 한국농림기상학회지, 한국농림기상학회, 제12권, pp. 11-22. https://doi.org/10.5532/KJAFM.2010.12.1.011
  8. 이승환, 문윤섭(2007) 대기질예보모델의 입력장으로서 MM5 및 WRF 최신 모델의 기상예보 정확도에 관한 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 2007년 환경공동학술대회 초록집, 한국대기환경학회, pp. 1558-1560.
  9. 이지우, 홍서유(2006) WRF 모형을 이용한 한반도 집중 호우에 대한 지형 효과의 수치 모의 연구. Atmosphere, 대한대기학회, 제16권 제4호, pp. 319-332.
  10. Betts, A. and Miller, M. (1986) A new convective adjustment scheme. Part II: Single column tests using GATE wave, BOMEX, ATEX and arctic air mass data sets. Quarterly Journal of the Royal Meteorological Society, Vol. 112, pp. 693-709.
  11. Hong, S.Y., Dudhia, J. and Chen, S.H. (2004) A revised approach to ice microphysical processes for the bulk parameterization of clouds and precipitation. Monthly weather review, Vol. 132, pp. 103-120. https://doi.org/10.1175/1520-0493(2004)132<0103:ARATIM>2.0.CO;2
  12. Janjic, Z.I. (1994) The step-mountain eta coordinate model: Further developments of the convection, viscous sublayer, and turbulence closure schemes. Monthly Weather Review, Vol. 122, pp.927-945. https://doi.org/10.1175/1520-0493(1994)122<0927:TSMECM>2.0.CO;2
  13. Jasper, K., Gurtz, J., and Lang, H. (2002) Advanced flood forecasting in Alpine watersheds by coupling meteorological observations and forecasts with a distributed hydrological model. Journal of hydrology, Vol. 267, pp. 40-52. https://doi.org/10.1016/S0022-1694(02)00138-5
  14. Kain, J. (2004) The Kain-Fritsch convective parameterization: an update. J. Appl. Meteorol, Vol. 43, pp. 170-181. https://doi.org/10.1175/1520-0450(2004)043<0170:TKCPAU>2.0.CO;2
  15. Kain, J.S. and Fritsch, J.M. (1990) A one-dimensional entraining/ detraining plume model and its application in convective parameterization.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Vol. 47, pp. 2784-2802. https://doi.org/10.1175/1520-0469(1990)047<2784:AODEPM>2.0.CO;2
  16. Kessler, E. (1969) On the distributed and continuity of water substance in atmospheric circulation. Meteor. Monogr., Vol. 32, pp. 84.
  17. Lin, Y., Farley, R.D., and Orville, H.D. (1983) Bulk parameterization of the snow field in a cloud model. Journal of Climate and Applied Meteorology, Vol. 22, pp. 1065-1092. https://doi.org/10.1175/1520-0450(1983)022<1065:BPOTSF>2.0.CO;2
  18. Pattanayak, S. and Mohanty, U. (2008) A comparative study on performance of MM5 and WRF models in simulation of tropical cyclones over Indian seas. Current Science, Vol. 95, pp. 923-936.
  19. Skamarock, W.C., Klemp, J.B., Dudhia, J., Gill, D.O., Barker, D.M., Wang, W., Powers, J.G., MESOSCALE, N.C.F.A.R.B.C., DIV., and M.M. (2005) A description of the Advanced Research WRF Version 2. NCAR TECHNICAL NOTE.
  20. Web site : www.ncdc.noaa.go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