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quatic Ecosystem Assessment and Habitat Improvement Alternative in Hongcheon River using Fish Community

어류군집을 이용한 홍천강의 수환경 평가 및 서식처 개선방안

  • 강형식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물환경연구실) ;
  • 허준욱 (생물모니터링센터)
  • Received : 2012.06.11
  • Accepted : 2012.08.14
  • Published : 2012.09.15

Abstract

In this study, the site investigation for fish was performed in the 15 km of Hongcheon river including Oancheon stream. The river ecosystem health was evaluated using the field data for fish. The field survey was carried out at 9 sites, 4 times from August to November 2011. The ecological diversity, including dominance, evenness, and richness and the ecological health using IBI and QHEI were evaluated. The result shows that the mean IBI in the 9 sites is in good-common condition, but the downtown section has a common-worse condition. The result evaluated by QHEI shows optimum-good condition. Also, the habitat suitability index for Pseudopuntungia tenuicorpa, which is one of endangered species, was evaluated, and then the environment flow was calculated by using the PHABSIM model. The previous research in the literature reports that Acheilognathus signifer, one of the endangered species, inhabited in Hongchen river. However, the existence of Acheilognathus signifer was not found in the recent research and this study. Thus, the physical habitat condition for Acheilognathus signifer was evaluated using the field data in the previous study. Also, the habitat improvement for Acheilognathus signifer in Hongcheon river was proposed.

본 연구는 홍천강과 홍천강 지류인 오안천을 포함한 총 15 km 구간에서의 어류 중심의 현장조사를 수행하고, 조사된 결과를 이용하여 수생태 건강성을 평가하였다. 현장 조사 지점은 각 교량을 중심으로 총 9개 지점에서 8-11월 사이 4회 조사가 이루어졌다. 각 지점별로 조사된 어류 데이터를 이용하여 우점도, 균등도 및 풍부도 등의 생물다양도를 산정하였으며, IBI 및 QHEI를 이용한 수생태 건강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홍천강 대상구간 전체에 대한 IBI는 양호-보통 상태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심구간에서는 보통-악화 상태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QHEI를 이용한 평가 결과, 최적-양호를 보였다. 또한, 멸종위기종인 가는돌고기를 이용하여 서식처적합도지수를 산정하고, PHABSIM 모형을 이용하여 생태유량을 산정하였다. 기존 문헌에서는 홍천강에서 멸종위기종인 묵납자루가 서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최근의 연구 및 본 연구에서는 묵납자루의 서식이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기존 연구에서 조사된 결과를 이용하여 묵납자루 서식을 위한 물리적 서식처 범위를 산정하고, 홍천강에서 묵납자루 서식처 개선 방안을 고찰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정훈, 이은태, 이주헌, 이도훈(2004) 어류의 서식처 조건을 고려한 하천의 필요유량 산정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37(11), 915-927. https://doi.org/10.3741/JKWRA.2004.37.11.915
  2. 강형식, 임동균, 김규호(2010) 댐 하류 하천에서 발전방류로 인한 어류 물리서식처 변화 수치모의.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30(2B), 211-217.
  3. 강형식, 임동균, 허준욱, 김규호(2011) 금강수계 하천에서의 어류서식처적합도지수 산정.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31(2B), 193-203.
  4. 국립환경과학원(2009)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2009년 보고서.
  5. 국토해양부(2010) Eco-River21 보고서.
  6. 김규호(1999) 하천 어류 서식 환경의 평가와 최적유량 산정.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7. 변화근(1987) 홍천강 어류의 환경요인과 미분포 군집상.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서울지방국토관리청(1998) 한강수계 하천수 사용실태 조사 및 하천유지유량 산정 보고서, 건설교통부.
  9. 성영두, 박봉진, 주기재, 정관수(2005) 하천의 어류 서식환경을 고려한 생태학적 추천유량 산정.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38(7), 545-554. https://doi.org/10.3741/JKWRA.2005.38.7.545
  10. 안광국, 염동혁, 이성규(2001) 생물보전지수(Index of Biological Integrity)의 신속한 생물평가 기법을 이용한 갑천 수계의 평가. 한국환경생물학회 논문집, 한국환경생물학회, 19(4), 261-269.
  11. 양홍준, 채병수, 남명모(1991) 홍천강 상류역의 추계어류상. 한국육수학회지, 한국육수학회, 24(1), 37-44.
  12. 우효섭(2001) 하천수리학, 청문각. pp. 362-363.
  13. 이광열, 장영수, 최재석(2006) 평창강의 어류상 및 법적보호종의 서식 실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 20(3), 331-339.
  14. 이주헌, 정상만, 이명호, 이용수(2006) 유지유량 증분 방법론(IFIM)에 의한 한강수계 주요 지류에서의 어류서식 필요유량 산정.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26(2B), 153-160.
  15. 이충렬, 김용호(2002) 홍천인제, 백암산 일대의 담수어류, 제2차 전국 자연환경조사 보고서. 314-346.
  16. 최기철(1986) 강원도의 자연(담수어편). 강원도 교육위원회, 246-254.
  17. 최재석, 김재구(2004) 홍천강의 어류상 및 어류군집. 환경생물학회지, 18(3), 446-455.
  18. 한강홍수통제소(2009) 자연, 사회환경 개선을 고려한 권역별 하천유지유량 평가, 산정 및 확보방안, 국토해양부.
  19.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2011) 한강수계 수생태벨트 조성방안 연구.
  20. 허준욱, 강형식, 장민호(2011) 한강수계 달천의 어류상과 물리적 서식지 조건에 관한 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논문집, 대한환경공학회, 564-571. https://doi.org/10.4491/KSEE.2011.33.8.564
  21. 허준욱, 서진원(2011) 한강의 대표적 하천에 서식하는 참갈겨니(Zacco koreanus)의 물리적 서식조건에 관한 연구, 환경영향평가, 20(2), 207-215.
  22. Bovee, K.D. (1982) A guide to stream havitat analysis using the instream flow analysis incremental methodology.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Fort Collins.
  23. Hur, J.W., Park, J.W., and Kim, J. (2009) Physical habitat assessment of Microphysogobio longidorsalisin the Han River Basin. Journal of Hydrologic Environment, 5(1), 49-56.
  24. Im, D.K., Kang, H.S., Kim, K.-H., and Choi, S.-U. (2011) Changes of river morphology and physical fish habitat following weir removal. Ecological Engineering, 37(6), 883-892. https://doi.org/10.1016/j.ecoleng.2011.01.005
  25. Karr, J.R. (1981) Assessment of biotic integrity using fish communities. Fishieries, 6, 21-27. https://doi.org/10.1577/1548-8446(1981)006<0021:AOBIUF>2.0.CO;2
  26. Margalef, R. (1968) Perspectives in Ecological Theory, Chicago.
  27. Pielou, E.C. (1975) Ecological Diversity, Wiley, New York, 165.
  28. Plafkin, J.L., Barbour, M.T., Porter, K.D., Gross, S.K., and Hughes, R.M. (1989) Rapid assessment protocols for use in streams and rivers: binthic macroinvertebrats and fish, EPA/444/4-89-001, Office of Water Regulations and Standards, U.S.EPA, Washington, DC, USA.
  29. Rutherford, D.A., Echelle, A.A., and Maughan, O.E. (1987) Changes in the fauna of the little river drainage, southeastern Oklahoma, 1948-1955 to 1981-1982: Test of the Hypothesis of environmental degradation. Community and evolutionary ecology of north American stream fishes, Univ. of Oklahoma, pp. 17.
  30. Simpson, E.H. (1949) Measurement of diversity. Nature, 163, 1-688. https://doi.org/10.1038/163001a0
  31. Steffler, P. and Blackburn, J. (2002) River2D, Two-dimensional depth averaged model of river hydrodynamics of fish habitat, Introduction to depth averaged modeling and user's manual, University of Alberta.
  32. Wentworth, C.K. (1922) A scale of grade and class terms for clastic sediments. The Journal of Geology, 30, 377-392. https://doi.org/10.1086/622910

Cited by

  1. Riparian Connectivity Assessment Using Species Distribution Model of Fish Assembly vol.23, pp.2, 2015, https://doi.org/10.7319/kogsis.2015.23.2.017
  2. Hydraulic experiments of urban river meandering method and fish habitat revitalization vol.20, pp.7, 2016, https://doi.org/10.1007/s12205-015-06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