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rying Shrinkage Evaluation of Concretes with Various Volume-Surface Ratios, Aggregate Types and Concrete Pavement Mixes

시험체 형상비와 골재종류 및 배합특성에 따른 건조수축 특성평가

  • Received : 2011.12.09
  • Accepted : 2012.01.31
  • Published : 2012.02.15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est results on drying shrinkage for concrete specimens mixed with various constituents in concrete mixes. Test variables are coarse aggregate types(Limestone, Sandstone, Granite, Andesite, Gneiss), fine aggregate types(natural sand, crushed sand) and cement amounts(normal strength, high strength). Epoxy coating of(U&V-H(A,B)) was applied onto the specimen surface to simulate diverse volume surface ratios(22.2, 40, 85.7, 150, 200, 300) with different specimen sizes. The experiments had been executed during 1,014 days at a condition of $20^{\circ}C$ and relative humidity of 60% in environmental chambers. Test results showed that shrinkage strain from the specimen equivalent to real pavement decreased to 39% compared to the standard specimen recommended by KS. Test results also showed that shrinkage strain of the specimen mixed with Limestone was 56~76% of that with Sandstone, thus Limestone mix seems to be suitable to the concrete pavement.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포장용 콘크리트 배합의 건조수축 특성에 관한 실험결과를 분석하였다. 실험변수는 굵은골재의 종류(석회암, 사암, 화강암, 안산암, 편마암)와 잔골재의 종류(자연사, 부순모래) 및 콘크리트의 배합강도(보통강도, 고강도)를 달리하였다. 그리고 형상비가 22.2, 40, 85.7, 150, 200, 300을 갖도록 시편의 크기를 달리하였으며 코팅제(U&V-H(A,B))를 활용하였다. 다이얼게이지를 이용하여 항온($20^{\circ}C$) 항습(60%)에서 수행된 건조수축 실험은 길게는 1,014일 동안 측정하였다. KS에서 제시하는 표준시편에 비해 도로포장 모사용 슬래브 시편의 건조수축 변형률은 약 39%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일한 형상비에 대해 굵은골재의 변화에 따른 건조수축 실험결과 석회암이 배합된 시편의 변형률이 사암대비 형상비별로 56~76% 범위에서 가장 낮게 측정되어 포장용 콘크리트로 사용되는데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고속도로공사(2009), 고속도로 전문시방서
  2. 김연복 등(2004), "한국형 포장설계법 개발과 포장성능 개선방안 연구: 콘크리트 포장 설계법 개발," 1단계 3차년도 최종보고서, 건설교통부
  3. 김연복 등(2006), "한국형 포장설계법 개발과 포장성능 개선 방안 연구: 설계입력 변수 정량화," 2단계 2차년도 최종보고서, 건설교통부
  4. 김연복 등(2010), "한국형 포장설계법 개발과 포장성능 개선방안 연구: 설계입력 변수 정량화," 3단계 2차년도 최종보고서, 국토해양부
  5. 김진근, 양은익, 권극헌(1988), "콘크리트 건조수축에 관한 실험과 통계적 예측,"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4권 제3호, pp.131-139
  6. 김진철(2003),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메커니즘과 예측모델," 도로포장공학회지, 제5권 제3호, pp.32-41
  7. 박정우, 정영도, 임진선, 정진훈, "콘크리트 슬래브 건조수축 응력 감소에 관한 초기 연구," 한국도로학회논문집, 2009 11권 4호, pp.87-94
  8. 양성철, 권수안, 임유진(2010), "재령에 따른 포장용 콘크리트의 강도특성 예측식 개발," 한국방재학회논문집, 제10권 제6호, pp.35-43
  9. 양성철, 안남식, 최동욱, 강승민(2004), "형상비 및 골재의 종류에 따른 콘크리트 시편의 건조수축특성 연구," 한국도로학회 논문집, 제6권 제4호, pp. 109-121
  10. 이동근(2002), "골재종류에 따른 CRCP 콘크리트 포장의 건조수축 특성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11. 전범준, 이승우, 채성욱, 배재민 (2009), "소입경 골재노출콘크리트포장의 환경하중 저항성에 대한 연구," 한국도로학회 논문집, 11권 2호, pp.99-109
  12. 조윤호 등(2000), "콘크리트 포장의 잔존수명 추정을 위한 기초물성연구," 한국도로공사 연구보고서, 한국도로공사
  13. ACI 209R-92(1997), "Prediction of Creep, Shrinkage, and Temperature Effects in Concrete Structures," pp.1-47
  14. McDonald, D.(1993), "Development of a simplified Code Procedure for the Prediction of Shrinkage and Creep," Creep and Shrinkage of Concrete, Proceedings of the Fifth International Symposium, Barcelona, Spain, pp. 637-6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