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토론 활동이 초등학생의 과학글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mall Group Discussion on the Science Writ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투고 : 2012.05.29
  • 심사 : 2012.08.22
  • 발행 : 2012.10.31

초록

과학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교수 학습 전략으로 과학글쓰기를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초등학교 학생들은 과학글쓰기를 어려워한다. 본 연구에서는 소집단 토론이 학생들의 과학글쓰기에 도움을 줄 것이라는 가정 하에 과학글쓰기 전에 소집단 토론을 도입하였으며 소집단 토론의 내용, 토론 중 나타난 학생의 특성이 과학글쓰기 세 영역(과학성, 논리성, 독창성) 향상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해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 중 같은 소집단을 이루는 4명의 학생들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수업의 전 과정을 녹음, 녹화한 후 전사하였으며 학생들의 과학글쓰기 결과물을 수집하여 평가틀에 맞춰 세 영역으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소집단 토론 내용은 과학글쓰기의 과학성 영역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성취도가 낮은 학생은 우수한 학생의 도움과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과학글쓰기 영역 중 논리성 영역 중 구성의 체계성은 비교적 짧은 시간 안에 향상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논지 전개의 일관성은 학생이 개방성이 부족하거나 토론에 대한 잘못된 생각을 가지고 있을 경우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바른 논증의 형식과 논증의 목적, 의미에 대한 교육이 선행되어야 하며, 지속적인 토론과 글쓰기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셋째, 성취수준이 중인 학생은 토론의 주제가 친숙할수록 독창성 영역에서 좋은 평가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글쓰기 수업에 참여해 4명의 학생은 모두 과학성, 논리성, 독창성 영역에서 향상되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소집단 토론을 통해 성취수준이 낮은 학생이 과학글쓰기 능력에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취수준이 높은 학생이 소집단 토론을 통해 과학글쓰기 능력에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를 구체적으로 밝히지 못했으므로 이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mall group discussion on elementary students' science writing. In this study, four 6th grade students were chosen from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Students were involved in eight science writing classes and the contents of a small group discussion and interactions were recorded and observed. Students' science works were collected and analysed based on three domains: scientific thinking, logic and originality.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contents of a small group discussion greatly affected the scientific thinking domain. A low-achieving student received lots of help from a high-achieving student. It was easy to improve in the logic domain through the science writing classes. Average students got good grades in an originality domain when the subject was related to their real life. A small group discussion would have an effect on science writing ability positively if the students acquired proper guidance on the procedure and manner of discussion. The science writing lesson would be more effective if the learning group was organized homogeneously in the aspects of intelligence achieve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석진, 노태희(2000). 토론 과정에서 사회적 합의 형성을 강조한 개념 학습 전략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 250-261.
  2. 교육인적자원부(2007). 과학과 교육과정 권봉재 (2008). 과제변인에 따른 초등학생들의 과학적 논증의 유형과 수준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권재술, 김범기 (1994). 초등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 측정도구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3), 251-264.
  4. 박은희, 전영석, 이인호 (2007). 초등 분야 과학논술대회 참가자들의 과학 글쓰기 능력 분석. 초등과학교육, 26(4), 385-394.
  5. 박지영, 신영준(2008). 초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글쓰기 선호 유형 조사-생명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6(4), 600-609.
  6. 성숙경, 최병순 (2007). 이질 모둠이 수행한 과학 탐구실험 과정에서 상호작용의 변화와 특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9), 870-880.
  7. 성태제 (2002). 현대교육 평가. 서울: 학지사.
  8. 신영준, 황현옥, 박헌우(2009). 논리적 사고력을 강화한 과학 글쓰기가 초등학생의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7(1), 151-161.
  9. 윤주현 (2009). 초등학교 6학년 과학 수업에서 과학 글쓰기 활동에 나타난 글쓰기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형철, 문주영, 배진호 (2008). 초등학교 과학 협동 학습에서 소집단 구성을 달리한 효과. 초등과학교육, 27(4), 446-454.
  11. 장혜진, 신영준(2009). 과학 관련 도서 독후 활동이 초등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28(2), 187-196.
  12. 정재찬, 이성영, 서혁, 박수자 (1998). 초등학생의 읽기 능력과 과학 탐구 능력 및 과학 성취도와의 관계.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0(2), 137-142.
  13. 천재훈(2006). 과학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과학글 쓰기 활동.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천재훈, 손정우 (2004). 과학글쓰기에 나타난 창의적 사고기능의 유형 분석-중학교과학교과서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7(2). 285-304.
  15. Anders, P. L., & B. J. Guzzetti. (1996). Literacy instruction in the content areas. New York: Harcourt Brace.
  16. Burke, K., Poock, J., Greenbowe, T., & Hand, B. (2005). Training chemistry teaching assistants to use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Journal of College Science Teaching, 35(1), 36- 41.
  17. Cavagnetto, A., Hand, B. M. & Norton- Meier, L. (2010). The Nature of Elementary Student Science Discourse in the Context of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2(4), 427-449. https://doi.org/10.1080/09500690802627277
  18. Chen, Ying-Chih (2011). Examining the integration of talk and writing for student knowledge construction through argumentation. The University of Iowa. Ph.D.
  19. Eggen, P., & Kauchak, D. (2001). Strategies for Teachers: Teaching Content and Thinking Skills. Boston: Allyn and Bacon. 임청환, 권성기 (역) (2006). 교사를 위한 수업전략. 서울: (주)시그마 프레스..
  20. Eichinger, D. C., Anerson, C. W., Palincsar, A., & David. Y. (1991). An illustration of the roles of content knowledge: Scientific argument and social norms in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Paper presented at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Chicago.
  21. Nattiv, A. (1994). Helping behaviors and math achievement gain of students using cooperative learning. Elementary School Journal, 94(3), 285-297. https://doi.org/10.1086/461767
  22. Trowbridge, L. W., Bybee, R. W., & Powell, J. C. (2000). Teaching Secondary School Science: Strategies for Development Scientific Literacy(7th ed).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Merrill.
  23. von Aufschnaiter, C., Erduran, S., Osborne, J., & Simon, S. (2008). Arguing to learn and learning to argue: Case studies of how students''argumentation relates to their scientific knowledg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5(1), 101-131. https://doi.org/10.1002/tea.20213
  24. Yerrick, F. K., Doster, E., Mugent, J. S., Parke, H., & Carwley, F. E. (2003). Social interaction and the use of analogy: An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talk during physics inquiry lesson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5), 443-463. https://doi.org/10.1002/tea.10084
  25. Yore, L., B. Hand, and V. Prain. (1999) Writing-to-learn science: Breakthroughs, barriers, and promises.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Education. ERIC Doc. Rep. No. ED441688
  26. Zohar, A., & Nemet, F. (2002). Fostering students''knowledge and argumentation skills through dilemmas in human genetic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1), 35-62. https://doi.org/10.1002/tea.10008

피인용 문헌

  1. Trends in Research Studies on Scientific Argument and Writing in Korea vol.34, pp.2, 2014,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2.0107
  2. A Case Study of Beginn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View Changes on the Nature of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through Teacher Education of La main à la pâte Program vol.52, pp.2, 2013, https://doi.org/10.15812/ter.52.2.201308.215
  3.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a Storytelling Teaching-learning Method Using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vol.17, pp.3, 2012, https://doi.org/10.24231/rici.2013.17.3.709
  4. The Effects of a Science Writing Program, including Teacher Feedback, on Middle School Students’ Creativity vol.18, pp.1, 2012, https://doi.org/10.24231/rici.2014.18.1.57